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ng the Level-Of-Service for Walkways by Using Fuzzy Approximate Reasoning

퍼지근사추론을 이용한 보행 서비스수준 산정

  • 김경환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
  • 박상훈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대학원 도시공학전공) ;
  • 김대현 (전남대학교 교통물류학부 교통전공)
  • Received : 2005.09.13
  • Accepted : 2005.10.12
  • Published : 2006.03.30

Abstract

Although walking is an important transport mode which should be promoted, realistic studies about walking is not sufficient. Especially, due to the transportation planning oriented toward automobile, there is not realistic analysis method for walking in the Highway Capacity Manua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uzzy approximate reasoning was employed to build a model for the analysis of walkways service level. For the input variable the noise level and brightness as well as the pedestrian flow rate were employed and the output variable was the walking satisfaction degree. The fuzzy models were constructed for daytime and nighttime separately. The forecastability analysis for the models were conducted using $R^2$, MAE and MSE. The values of them for the daytime model are 0.802, 0.729 and 0.735 respectively and the values for nighttime are 0.893, 0.878 and 0.860 respectively, so it can be said that the models explain the real situation wel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oise level has stronger effects to walking satisfaction then the brightness in night.

보행은 가장 권장되어야 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자동차 위주의 교통계획으로 인하여, 도로시설의 용량분석 및 서비스수준 평가를 위해 제정된 "도로용량편람(HCM)"에서 조차 보행 및 보행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재의 보행 서비스수준의 분석 기준인 보행유율에 소음수준과 주변밝기 정도를 추가로 고려하는 보행자가 직접 느끼는 서비스수준을 산정하기 위하여 퍼지근사추론을 사용하였다. 입력변수는 보행유율, 소음수준, 밝기정도를 사용하였으며 주간과 야간으로 나누어 퍼지근사추론 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의 예측력 분석은 $R^2$와 MAE 그리고 MSE를 사용하였으며 그 값은 주간모형의 경우 각각 0.803, 0.729, 0.735이고 야간모형의 경우 0.893, 0.878, 0.860으로 모형의 설명력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과정에서 야간의 경우 보행유율이 높을수록 밝기정도보다는 소음수준이 보행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교부 (2001) 도로용량편람, 사단법인 대한교통학회
  2. 김경환 (1999) 국내보행 서비스수준의 평가기준,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 17권 제3호 (통권44호)
  3. 김정현 . 오영태 . 손영태 . 박우신 (2002) 보행자 시설 서비스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 l호.
  4. 이광용 . 오길록 공저 (1997) 퍼지이론 및 응용 I, II, 홍릉과학 출판사
  5. 임진경 (2004)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선정,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6. Dusan Teodorovic Katarina Vukadinovic (1998) Traffic Control and Transport Planning: A Fuzzy Sets and Neural Networds Approach, Kluwer Academy Publishers
  7. Fruin, John J, 著/유태열.김용성 共譯 (1997) 보행자공간 : 이론과 디자인, 태림문화사
  8. The Mathworks, Inc. (2000) Fuzzy Logic Toolbox for Use with Matlab User's Guide Version 4.0
  9. Transportation Reasearch Board (2000) Highway Capacity Ma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