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서관 이용자교육

Search Result 37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공공도서관 사서의 평생교육업무에 대한 인식 연구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Public Librarians about Lifelong Education Tasks: Focus on Incheon Metropolitan City)

  • 김남지;조재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1-73
    • /
    • 2016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평생교육 단위직무를 파악하고 동시에 재교육이 필요한 교육 내용에 대한 우선 순위를 맨휘트니(Mann Whitney U-tes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첫번째, 조사 대상 사서의 87%가 평생교육 직무는 보통이거나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단위 업무별로는 운영계획수립을 가장 어려운 직무로 생각하고 있었다. 두번째, 평생교육사 자격이 있는 사서가 없는 경우에 비해 업무를 수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P=0.04), 단위업무별로는 강사섭외(P=0.04), 운영계획수립(P=0.05)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또한 평생교육관련 경력이 길수록 업무를 수월하게 (R=-0.217)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정편성(R=-0.33), 진행업무(R=-0.22)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세번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이 평생교육업무 전반에 대하여 느끼는 체감 난이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단위 직무는 운영계획수립(P=0.04)과 홍보(P=0.05) 업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운영계획수립(${\beta}=0.233$)이 체감 난이도 형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91%의 사서가 평생교육 직무 관련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스피어만(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 결과(R=-0.210), 평생교육 업무에 대한 체감 난이도가 높은 사서일수록 재교육 필요성을 더욱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HP 분석 결과 평생교육 직무 관련 재교육 내용은 이용자와의 소통(CU P=0.310), 기획(PL P=0.246), 마케팅(LM P=0.173) 순의 가중치를 보였으며, 도출된 CR(Consistency Ratio) 비율은 0.146으로 계산돼, 응답에 대한 일관성은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기반 대학 정보서비스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ing Campus Network Information Services)

  • 오경묵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65-189
    • /
    • 2000
  • 교육과 연구의 현자인 대학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지털 정보자원의 활용은 특정 전공에 국한되지 않고 필수적인 도구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정보원과 도구를 대학 환경에서 모든 구성원들이 적극적이고도 손쉽게 활용하는 것이 대학의 정보서비스 업무에 기본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급속히 변화하는 정보 네트워크 서비스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대체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것들이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정기적으로 조사·분석하여 이용자 측면에서 교내의 정보시스템을 평가·감사하는 것은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S 대학의 사례를 통하여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고 또 필요로 하는 정보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최선의 방법을 조사 연구하여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and Perception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n Special Libraries)

  • 황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37-158
    • /
    • 2011
  • 최근 몇 년 동안 국내 도서관 현장에서는 도서관이 처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수시로 변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제전문서비스가 거론된 바 있다. 전문도서관 역시 주제전문서비스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운영 방안이 요구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사례는 없는듯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도서관에서 주제전문서비스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주제전문사서들은 주제전문서비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는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일반, 주제전문사서 채용과 교육 훈련,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애로사항 등에 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각장애인학교 도서관 프로그램 연구 (Use of School Libraries and Effects of Library Programs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 이지연;전정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48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인학교 도서관의 운영방향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고, 도서관 프로그램에 대한 실제 이용자의 인식정도를 반영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국내 시각장애 학교도서관 세 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시각장애인학교 도서관 프로그램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프레임워크의 적용가능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팀과 각 학교의 교사 간의 협의를 통하여 각 학교의 상황에 맞는 총 10개의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조사한 결과 도서관 이용 빈도, 독서량, 도서관에 대한 인식, 정보활용 및 자기주도적 학습의지의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 적용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Model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1-221
    • /
    • 2007
  • 정보환경과 이용자 요구의 변화, 그리고 이에 따른 도서관 역할변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짐에 따라 정보와 정보기술, 교육, 학습, 그리고 문화적 기능을 통합한 Information Commons의 개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Information Commons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요소에 대한 고려와 적용을 위한 모델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Information Commons 도입을 위한 요소의 제시 및 적용과정의 제안과 함께, Information Commons의 적용이 비교적 잘 이루어져 있는 Arizona 대학도서관과 Indiana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를 모델로 S대학도서관에 Information commons의 개념을 도입한 가상의 리노베이션을 시도해 보았다. 이는 Information commons 적용의 예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활발해질 논의에 대한 사례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 PDF

전문도서관 운영평가의 분석 및 진단에 관한 연구 - 2012년도 운영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Results of Korean Special Library Management Evaluation Conducted in the Year 2012)

  • 한종엽;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07-43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문도서관의 2011년 한 해 동안의 운영실적을 평가한 결과를 분석하여 전문도서관 발전을 위한 정책대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39개 세부지표의 종합 평가점수는 100점 기준으로 볼 때 51.8점으로 나타났다. 5개 평가영역별로 살펴보면 시설환경 영역의 100점 환산점수가 77.3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인적자원 영역(53.5점), 도서관 경영 영역(51.0점)으로 나타났다. 정보자원과 정보서비스 영역은 각각 49.3점, 45.4점으로 50점을 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지표별로 살펴보면 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지표는 시설환경 영역의 '이용자 편의시설'(96.7점)이었고, 가장 낮은 지표는 인적자원 영역의 '도서관 직원의 장기 교육훈련 참여실적'(13.0점)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2012년 전국의 전문도서관 운영평가의 결과를 분석하여, 설립주체별로 도서관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한 것이다. 국내 전문도서관은 주로 중앙행정기관, 공기업, 준정부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산하 기관, 기업체, 민간단체, 병원, 언론기관 등 모기관의 성격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분석결과는 향후 전문도서관 유형별로 차별화된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An Analyzing of the Current CHI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415-437
    • /
    • 2011
  • 소비자건강정보(CHI)에 대한 관심 증가로 소비자건강정보원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정보획득방법도 매우 다양해졌으며, CHI 획득경로 중의 하나가 공공도서관이다. 공공도서관에서의 CHI에 대한 참고서비스 요구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의 CHI 서비스 증진을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반면에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CHI서비스는 매우 기본적인 수준이고 관련연구도 그다지 많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분석 및 해외 공공도서관에서의 CHI서비스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CHI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CHI 서비스 제공비율은 17.25%로 나타나 CHI서비스에 대한 요구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CHI 제공방법의 다양성을 조사했을 때, CHI 관련 웹사이트 제공, 이용자대상 교육, 그리고 홍보 및 마케팅 등 세 가지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2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은 13개의 도서관(1.74%)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CHI 담당사서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공공도서관 사서가 CHI 관련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아웃리치서비스나 ILL 서비스, 의료기관을 포함한 관련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등과 관련된 CHI 서비스는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CHI서비스 제공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대학도서관의 온라인목록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Online Catalog Use Study in a University Library)

  • 유재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89-318
    • /
    • 1997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은 1996년 5월 온라인목록시스템인 DISCOVER(Duksung Information System COVering Education & Research)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DISCOVER가 제공된 지 약 5개월 후에 이용자의 온라인목록 이용특성을 파악하고자 질문지를 사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996년 10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 동안 도서관 이용자 278명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온라인목록 이용실태, 탐색특성 및 온라인목록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카드목록보다 온라인목록을 선호하며 $(87.4\%)$, 온라인목록을 사용하기 쉬운 것으로 간주했다. $(89.6\%)$ 2. 과반수 이상의 이용자 $(65.8\%)$는 온라인목록을 한 학기에 10회 이상 빈번하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적극적인 이용자의 비율은 전 학년에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1학년들의 적극적인 온라인 목록 사용$(66.7\%)$은 온라인목록의 사용 편이성과 용이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3. 한편 온라인목록이 어렵다고 응답한 이용자 $(10.4\%)$들은 온라인목록 사용법에 관한 지식부족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확인되었다. 4. 이용자들은 메뉴검색을 가장 선호하며 알고있는 자료를 검색할 때에는 서명을, 주제탐색을 해야 할 경우에는 주제 명을 탐색의 접근 점으로 사용하였다. 5. 온라인목록에 대해서는 호의적이나$(83.5\%)$ 탐색성공률은 $(77.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급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완료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추측된다. 6. 이용자들이 편리하다고 간주하는 접근 점은 서명과 저자 명이며 분류번호나 청구번호를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사용법 미숙과 탐색기법에 관한 지식부족이 탐색실패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어 이용자에 대한 온라인목록 사용법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8. 목록형태가 카드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되면서 나타난 가장 특기할 만한 이용행태 특성은 사용하는 탐색의 접근 점이 달라졌다는 점이다. 카드록을 사용할 때는 알고 있는 자료탐색이거나 주제탐색이거나 서명이 가장 많이 사용된 접근 점이었다. 반면에 온라인목록에서는 알고 있는 자료일 때에는 서명이, 주제탐색일 경우에는 주제 명을 접근 점으로 차이를 보였다. 즉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에서의 주제검색기능이 향상된 것으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이용자 중심적인 온라인목록에 되기 위해서는 현행시스템의 개선이 요구되는데 이용자들의 주제검색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주제 명 접근을 허용하는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PDF

대학도서관의 수업·학습 활동 지원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s of Academic Library for Supporting Class and Learning Activities in Korea)

  • 이용재;이지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59-37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이 이용자를 위한 수업 및 학습활동 지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서를 수집하고 발전계획서에 나타난 수업 및 학습 활동 지원 계획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가장 많은 도서관들이 '학습자료 확충'을 중시하여 발전계획서에서 추진계획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독서교육 및 독서프로그램 확대', '전자자료 확충', '특성화자료 확충' 순으로 실행계획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수업 및 학습활동 지원 강화 방안으로 '수용자 중심의 장서개발 및 학습자료 확충',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장애인 및 외국인 학생을 위한 포용서비스 확대'를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Information Commons in School Libraries)

  • 정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9-146
    • /
    • 2008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요구 변화와 그에 따른 학교도서관의 역할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의 IC 도입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IC 개념을 응용하여 학교도서관에서의 IC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도입 모형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특히 학교도서관의 IC 구성요소 도출 및 IC 도입 모형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 IC 구성요소는 물리적 요소를 학습공간, 제작공간, 커뮤니티공간, 서비스 데스크로, 인적 요소는 사서교사, 정보기술자, 학생도우미로, 서비스 요소는 정보활용교육과 협력적 통합서비스로 세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한 IC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IC 서비스 개념도, IC 도입모형, IC 평면도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