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식생

Search Result 15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Ecological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 of a Wildlife Road-Crossing Structure at the Jingmaei-Pass in Incheon, Korea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한 생태통로의 생태 현황과 개선 방안)

  • Kim, Jinkyoung;Cho, Hyungjin;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3
    • /
    • pp.169-176
    • /
    • 2016
  • Roads are widely accepted to be as a major cause of habitat fragmentation. The wildlife road-crossing structure is one of the most acceptable alternatives among the solutions to provide connectivity between patches isolated by roads. We investigated noise disturbance, vegetation structure and wildlife crossing and habitation at a wildlife road-crossing structure located at the Jingmaei-Pass in Incheon, Korea, to monitor and evaluate its conservation value and ecological performance and to propose measures for their adaptive management. From the result of noise measurement, the noise disturbance from the road traffic was not properly blocked out at the wildlife crossing structure. The survey results of vegetation structure showed that the early-successional plant species such as Ambrosia trifida, Erigeron annuus, Pueraria lobata, Rosa multiflora invaded widely on the crossing structure. An efficient management of the vegetation should be necessarily considered for the facilitation of vegetation succession and the improvement of animal habitat. The crossing structure was used by limited mammal species: Apodemus agrarius, Nyctereutes procyonoides, Mogera wogura and Sciurus vulgaris coreae as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using footprints and closed-circuit television. In conclusion, The Jingmaei-Pass wildlife crossing structure is unable to function properly as a biological corridor because of the interference of noise and flourishing disturbed vegetation. Therefore, proper alternatives are required for improving animal habitats and mobile environments to enhance the ecological function of a wildlife corridor.

Cloud Masked Daily Vegetation Index (구름 제거한 일별 식생지수)

  • Kang, Yong-Q.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82-86
    • /
    • 2009
  • 원격탐사 근적외선(NIR)과 Red 밴드의 반사도로부터 계산되는 정규식생지수(NDVI)는 구름에 오염된 곳에서는 실제보다 낮은 값으로 계산된다. 식생지수에서 구름오염 문제를 극복하는 기존의 대표적인 방법에는 보름 정도 장기간 식생지수 값 중에서 최대인 값을 취하는 MVC(Maximum Value Composite) 방법이 있다. 하지만 MVC 방법으로는 식생지수의 단기간 변동을 파악할 수 없으며, 장기간 계속 구름으로 오염된 곳은 잘못된 식생지수 값으로 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가시광 RGB 자료로부터 snapshot 영상자료의 구름을 마스크(mask)하는 새로운 방법인 CIM(Color Index Manipulation)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snapshot 영상자료에서 구름에 오염된 곳은 제외하고 오염되지 않은 곳에 대한 식생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RGB 자료에 대한 정규색상지수 NCI (Normalized Color Index) 3개 성분을 $120^{\circ}$ 간격으로 벌어진 3개 축상의 좌표로 나타낸 후 이들 3개 값의 벡터합(vector sum) 정보를 이용하여 구름을 식별하는 CIM 방법으로 위성영상에서 두꺼운 구름과 않은 구름을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 구름식별 기법을 MODIS snapshot 위성영상 자료에 적용하여 한반도의 일별(daily) 식생지수 자료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수년간의 일별 식생지수 자료로부터 한반도 식생지수의 계절적 변동을 조사하였다.

  • PDF

Comparison of Normalization Difference Vegetation Index due to difference in Landsat satellite sensor (Landsat 위성의 센서 차이에 의한 정규식생분포지수 비교)

  • Kwak, Jaehwan;Bhang, Kon Joon;Lee, Jin-D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135-136
    • /
    • 2014
  •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식생의 변화유무와 특성파악이 중요하다. 특히, 인공위성의 근적외선 영역과 가시광선 영역을 이용한 정규식생분포지수는 식생의 활력도를 파악하고 변화유무를 판단하는 지표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발사된 Landsat 8 OLI의 경우 정규식생분포지수에 영향을 주는 근적외선 밴드의 파장대역이 기존의 TM/ETM+ 위성의 근적외선 밴드의 파장대역보다 감소하였다. 또한 이러한 파장대역 변화에 의한 정규식생분포지수의 차이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연구한 사례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Landsat 8 OLI 위성영상과 Landsat 7 ETM+ 위성영상을 식생이 활발한 여름철(9월)과 그렇지 않은 겨울철(1월)의 영상을 각각 취득하여, 식생, 도심지, 도로, 농경지, 나지의 5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정규식생분포지수를 비교해보고 상관관계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The Problems of Shotcrete and Revegetation Methods according to Slope Direction (숏크리트 및 식생공의 사면방향에 따른 유지관리상의 문제점)

  • Bae, Sung-Woo;Shin, Chang-Gun;Park, Jae-Young;Jang, Bhum-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10.03a
    • /
    • pp.1309-1314
    • /
    • 2010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 도로준설 시 절토사면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므로 사면의 안정성확보를 통해 인명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막기 위해 보호 및 보강공을 실시하게 된다. 표면보호공법은 절토사면이 조사시점을 기준으로 안전율을 확보하고 있으나, 향후 우수나 풍화진행 등으로 안전율의 감소 방지와 예상치 못한 낙석 등에 대처하기 위한 공법이다. 그러나 식생공, 숏크리트 등의 표면보호공법 시공시 경사방향에 따른 일조량의 차이로 인해 구조물들의 변형 및 유지관리상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식생공의 경우 사면방향이 북향일 경우 일조량의 부족으로 식생들이 정착을 하지 못하게 되고, 이때 사면은 표면보호기능이 상실되어 우수나 풍화진행 등으로 안전율이 감소하게 된다. 숏크리트의 경우는 남향의 사면에서 주간에 일조량이 과할 경우 열에 의해 팽창되고 주?야간 팽창 수축을 반복하여 대류열차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숏크리트가 파손되어 도로로 유입시 교통안전에 위협을 가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면방향에 따른 표면보호공법 선정시 문제점을 논의해 보고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Urban Road Vegetation on a Decrease of Road Surface Temperature (도시도로 녹지의 도로 표면온도 져감 효과에 관한 연구)

  • Cha, Hye-Jin;Lim, Ji-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3
    • /
    • pp.107-116
    • /
    • 2011
  • One of the major factors which increase urban temperature is roads. This paper i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rban roadside vegetation on the road surface temperature. For this, surface temperature was measured at 18 spots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in terms of road components including use of roadside land use, roadway, sidewalk, roadside vegetation and vegetation median barrier. The size of the roadside vegetation and related urban road characteristics were also measured. In terms of the effect of roadside vegetation on a decrease in road surface temperature, the roadside land use as a green area or open spac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size of vegetation median barrier and the size of roadside vegetation. Besides road surroundings, an increase in the green zone such as roadside vegetation and median strip veget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owering road surface temperature. Therefore, a good solution for reducing urban heat island effects would be to increase the area of roadside vegetation and green areas along roads.

Suggestion of a simple vegetation parameter aggregation method applicable to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적용 가능한 식생 매개변수의 공간 스케일 확장 기법의 제시)

  • Lee, Kh;Kang, Bs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0-64
    • /
    • 2005
  • 강우-유출 모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표면의 성질을 나타내는 보조 자료로서 식생피복자료, 토양분포, DEM 등이 주어지는데, 이러한 인자들이 흐름을 지배하게 되므로 중요하다. 그러므로 강우-유출 모형에서는 지표에서의 식생을 적절하게 나타내 줄 필요가 있는데, 최근의 원격 탐사 기술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어 왔으며 식생 정보는 2차원 디지털 지도로 작성되어 수치모형에서는 이 디지털지도로부터 조도계수의 값을 전환하는 다단계 방법을 이용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강우-유출 모형의 격자 간격이 식생 피복을 나타내기 위한 디지털 지도의 격자 간격과 항상 일치하는 것이 아니고 디지털 지도의 격자 간격이 일반적으로 더 세밀하므로 강우-유출 모형에서 디지털 지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방법의 스케일 확장 (up-scaling)이 필요하며, 이 연구에서는 질량 보존의 법칙을 사용하여 이론적 기반에 근거한 하나의 전략적인 방법이 제시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강우-유출 모형의 수행 시 이질성을 보이는 지표면에서 식생과 관련된 매개변수를 통합/확장 처리하는 하나의 기법을 대기모형에서 이미 제시된 방법을 모사하여 제시함으로써 이질성을 보이는 지표면의 처리할 때 방향을 설정해 주고자함이다.

  • PDF

Distributional Attribute of Naturalized Plants on the Roadsides in Hallasan National Park (한라산국립공원내 도로변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 Kim, Houn-Chul;Kim, Chan-Soo;Song, Chang-Khil;Koh, Jung-G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1 no.3
    • /
    • pp.278-289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species formation and their vegetation on the roadsides of 1100 Road and 5 16 Road in Hallasan National Park from August 2004 to December 2006 to provide basic data for distributional attribute of the naturalized plants. The vascular plants investigated on the roadsides of Hallasan National Park were found to be 62 families, 145 genera, 197 taxa in total, in which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as 11 families, 29 genera, and 37 taxa. The floristic formation at 1100 Roadside was composed of Festuca arundinacea-Dactylis glomerata association, which was again divided into Trifolium pratense-Plantago lanceolata sub-association and Sasa quelpaertensis-Gleichenia japonica sub-association. The florisitic composition of the 5 16 Roadside was sorted as Festuca arundinacea-Dactylis glomerata association, Oplismenus undulatifolius-Potentilla fragarisiiforlia, elatior association, Ambrosia artemisiifolia, and etatior-Persicaria thunbergii association. Among the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at this area, the annual plant accounts for 51.4%[19 taxa] and the plant of European origin accounts for 70.3%[26 taxa]. As for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se plants, the case of introduction for forage or a mixture with grain and for pasture was 35.1% and 21.6% respectively, showing higher introduction circumstances than others. As shown in the study, most of the roadsides were occupied by the naturalized plants- Festuca arundinacea and Dactylis glomerata association and various naturalized plants; thus we can assume that it's because Festuca arundinacea and Dactylis glomerata association were mostly used for re-vegetation of the destroyed areas due to road construction or expansion or road maintenance and improvement project.

Change of Plant Community after Road construction -Case Study on Seongsamjae Road in Chirisan National Park- (도로건설이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지리산국립공원 성삼재관통도로를 사례로-)

  • 김보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2
    • /
    • pp.127-138
    • /
    • 2000
  • 도로건설에 의한 식물생태계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도로로부터 산림 내부에 이르는 거리에 따른 식물군집구조의 변화, 비탈면에 도입한 외래종의 식생천이 및 확산현황, 귀화식물의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도로로부터 거리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가 도로건설로 인해 발생된 비탈면과 비탈면 끝지점에서 산림방향으로 10~20m 구간까지 종구성의 변화가 나타났다. 절개비탈면 급속녹화용으로 도입된 큰김의털(Tall Fescue) 경관 및 식물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토비탈면에 파종된 외래종들은 빗물이나 바람을 따라 산림 내부로 유입되어 햇빛이 잘 드는 계곡부나 산림 내부에 잔조하고 있어 식물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성삼재관통도로변에서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13과 35속 44종 1변종으로 45종류이었고 도로건설로 나지가 넓게 분포하는 곳이나 이용객이 집중되는 지역에서 출현종수 및 빈도가 높았다.

  • PDF

A Study for Vegetation Points Density and LiDAR Contour Filtering (식생밀도분포 및 등고선의 단계별 필터링에 관한 연구)

  • Kim, Eun-Young;Han, Se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1-25
    • /
    • 2008
  • 최근 측량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지형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레이저스캐닝 기술의 도입은 정밀한 지형과 식생 및 인공지물 등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하여 원하는 최신 정보를 가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의 식생 데이터에서 점의 밀도 분포를 통하여 정량적인 식생분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밀한 지형 모델에 대하여 생성되는 라이다 등고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단계별로 필터링을 실시하여 정확성은 유지하면서 저용량의 등고선을 생성하고 도로 및 엔지니어링 분야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지능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는 국내 라이다데이터의 적극적인 활용성을 높이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건설 분야뿐만 아니라 생태지도 및 주제도, 재해 환경 분야, 홍수지도, 도시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의 활용성을 가능하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