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수송

Search Result 13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철도의 환경 친화성 분석에 대한 연구;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율 중심으로

  • Kim, Hui-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4-39
    • /
    • 2006
  • 1. 철도, 도로, 항공, 해운 등 교통수단별 현황을 조사한 결과, 현재까지의 교통정책이 도로교통 우선 위주였기 때문에 철도는 뛰어난 환경성 및 경제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송분담율이 비교적 저조한 편이었다. 그러나, 향후 정부의 사회기반시설 구축에 있어서 국가 기간 철도망 확대와 대도시 지하철 및 경량전철 건설을 통한 도심철도망과 간선철도망의 연결 등을 통하여 철도의 이용이 훨씬 용이해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철도의 이용률도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2. 교통수단별 일반현황은 다음과 같다. 1) 철도교통은 여객수송량이 다소 증가하고 있는 추세였는데, 2004년 KTX의 개통으로 인하여 여객수송량이 급증하였으나, 화물수송은 약간 감소하는 추세이다. 2) 도로교통은 공로의 경우 이용량이 크게 감소하고 있으나, 자가용의 경우에는 승용차의 급증에 의하여 도로의 분담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망의 확충이 자동차의 증가량을 따르지 못하는 것과 자동차가 도시에 밀집됨에 따른 교통체증에 따라 자가용 차량의 1일 평균 주행거리가 짧아지는 등 수송량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고 있다. 3. 각 교통수단별 환경경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단위수송량당 에너지 소비율은 여객의 경우 철도가 75.97kcal/인 km에 불과한 반면에 버스는 415.43, 택시는 1,192.24kcal/인 km에 달하여 각각 철도의 5.5배 및 15.7배나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물의 경우에도 철도는 105.98kcal/톤 km에 불과한 반면에 도로는 1,674.21kcal/톤 km에 달하여 철도의 무려 15.8배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철도가 에너지 효율성 면에서 도로 교통수단보다 월등히 앞서는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교통수단임을 알 수 있다. 2) 도로와 철도의 단위수송량 당 CO의 배출량은 도로가 1,531.2kg/백만인 km로 철도의 167.4kg/백만인 km에 비하여 9배나 되었다. 그러나, 탄화수소의 경우는 도로가 216.5kg/백만인 km으로 철도의 68.0kg/백만인 km의 3배를 넘는다. 미세먼지의 경우는 도로가 철도보다 약간 더 많은 수준이었으나, NOx와 $SO_2$는 오히려 철도가 오히려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The Analysis on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Focused on Container, Cement, Steel (컨테이너, 양회, 철강을 중심으로 한 철도의 화물수송경쟁력 분석)

  • Kim, Eun-Mi;Park, Dong-Joo;Ko, Young-Seung;Kim, Hyun-Seung;Park, Hyeo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5
    • /
    • pp.613-622
    • /
    • 2009
  • The modal spilt of highway has been increased and the one of railway has been decreased from 17.2%(1990) to 6.3%(2006). In this contex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competitiveness of the railroad of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with the highway so that countermeasures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could be suggested. For this, firs of all, indicators represent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railroad transport are determined.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for mode choice include transport time, transport cost and level of service. Three types of commodity, container, cement and steel are the target for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is weaker compared with highway even for the main freight origin-destination pairs. It means that the freight transport system is focused on road rather than railroad. Therefore, we need to remeasure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related to methods for freight railroa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The Analysis on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 Focused on Container, Cement, Steel - (철도의 수송경쟁력 분석 - 컨테이너, 양회, 철강을 중심으로-)

  • Kim, Eun-Mi;Park, Dong-Joo;Ko, Young-Seung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8.06a
    • /
    • pp.2343-2358
    • /
    • 2008
  • The modal spilt for road has been increased, but, for railroad it has been decreased from 17.2%(1990) to 6.3%(2006). It is important to study on improving competition for railroad transportation so that freight transport industry for railroad which is getting to decrease in Korea will be increa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compared with road by providing a high-speed railway. The indicators representing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are determined. The main influenced factors for mode choice include transport cost, transport time, level of service. Precisely, three commodities type, container, cement, steel, are analyzed.

  • PDF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Off-road Transportation (비도로 수송에 의한 온실 가스 배출량 추정)

  • Choi, Min ae;Kim, Jeong;Lee, Ho Jin;Jang, Young Kee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1 no.3
    • /
    • pp.211-217
    • /
    • 2010
  • Off-road transportation sector including construction equipment, ground support equipment in airport, cargo handling equipment and agroforestry machinery have not calculated as emission source classification in 1A3e2. In this study, the statistics of oil consumption for construction, aviation, shipping and agroforestry are separated for this sector by oil type. And the greenhouse gas emission by off-road transportation emission factor in 1996 & 2006 IPCC Guidelines a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nationwide $CO_2$ equivalent emission from off-road transportations by the emission factor of 1996 & 2006 IPCC Guidelines are calculated as 4,919 kton/yr and 5,530 kton/yr in 2007. The contribution ratio of off-road transportation emission by this study is estimated as 5.5% to the subtotal emission from on-road transport sector.

A Strict Hub Network Design with Single Allocation for Road Freight Transportation (도로화물수송의 단일할당 제약 허브네트워크 설계)

  • Kim, Nam-Ju;Kim, Yong-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2
    • /
    • pp.91-100
    • /
    • 2011
  • Hub network design for freight transportation is a decision process that determines hub locations together with freight transportation routes among shippers so as to ultimately minimize total logistics cost. This study presents the optimal location of hubs by strict hub network design policy with single allocation,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 of Kim et al. (2008) that does not allow direct transportation among shippers. The greedy-interchange algorithm is employed for hub location decision process, and EMME/2 is adopted for the route searching process. Application of the processes to the nationwide highway network shows that the best hub locations in order are Seoul metropolitan, GyeongNam, Chung-nam, Jeon-Nam, Gyeong-Buk, Chung-Buk, and the locations are concentrated on the Seoul-Busan corridor. The strict hubnetwork design policy with single allocation increases the transportation distance but decreases the transportation cost by passing through the hubs instead of direct transportation. The reduction in total transportation cost can be achieved as the number of hubs increases, but the amount of the reduction gradually decreases because the cost reduction from the decrease in detour transportation distance between non-hubs and hubs becomes less than the discount reduction from dispersion of inter-hubs transportation volumes.

A Study on the Effective Container Transport System for the Relief of Urban Traffic Congestion -A Container Transport Time-Oriented- (도시교통 체증완화를 위한 효율적인 수송체계에 관한 연구 - 컨테이너 수송시간을 중심으로 -)

  • Kim, Tae-Gon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4 no.1
    • /
    • pp.33-43
    • /
    • 1990
  • 우리나라에서는 70년대 이후 컨테이너 수송체계가 도입되어 운영되어 왔으나 차량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컨테이너 수송체계는 도시교통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부산항은 우리나라 최대의 국제 무역항으로써 전 컨테이너 수송화물의 90%이상을 처리하고 있고, 또한 수출입항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고 있으나 낮은 도로율(12.45%)과 산재해 있는 30여개의 Off-Dock CY로 인해서 도심을 통과하는 컨테이너 수송차량은 많은 교통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1) 부산시에 산재해 있는 30여개의 Off-Dock CY에 이르는 주요 도로상에서 컨테이너 수송량의 신간별 분포에 따라 컨테이너의 운행시간대를 첨두 시간대, 비첨두 시간대 및 심야 시간대로 분류하여 각 시간대별 평균 수송 시간 및 교통 체증으로 인한 수송 지체수준을 확인하였고, 2) 컨테이너 전용부두로 부터 Off-Dock CY에 이르는 도시 고속도로 및 주요간선도로상에서의 수송시간 및 수송 지체수준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3)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컨테이너 수송체계를 위한 최적 수송시간대 및 도로체계를 제시할 수 있었다. 특히, 컨테이너 수송시간 및 지체수준은 각 운행 시간대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심야 시간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수송을 할 경우에는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50%정도의 수송시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도시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도시 간선도로에 비하여 30%정도의 수송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시지역의 교통체중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심야 시간대에 보다 많은 컨테이너 수송차량이 이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수송체계가 확립되어야 하고, 산재해 있는 Off-Dock CY를 몇개의 ODCY그룹이나 단지까지 컨테이너 전용 고속도로의 건설이 바람직하고 생각된다.리구에서 조사한 결과 $10^{-3}$ M MGBG 단독 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이 가장 높았으며, spermidine과 spermine의 함량은 가장 낮았다. 부정근 형성능이 다소 회복된 $10^{-3}$ M MGBG+ $10^{-5}$M spermine 혼합처리구에서의 에틸렌 생성량은 대조구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부정근 회복능이 가장 높았던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l$_2$ 혼합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olyamine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Cyperaceae), 명아주과(Chenopodiaceae) 같은 풀들이 하구언(estuary)의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동안에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와 담수성 조류가 동시에 다양하게 산출되는 것은 하구언 퇴적환경이었음을 잘 지시해 준다. 제II화분대(고도, 43.72{\sim}3.36\;m$)가 시작되면서 혼합림은 침엽수림으로 바뀌었으며, 낙엽활엽수들의 서식지가 2엽소나무로 대치되면서 침엽수가 주요 수종을 이루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이런 산림형태는 자연 기후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인간간섭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이 시기에 경작식물인 벼과(Gramineae), 옥수수(Zea), 메밀(Fagopyrum)과 논밭의 뚝 등지 에서 서식하는 돼지풀(Ambrosia) 등이 처음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인간간섭이 행해졌음을 잘 뒷 받침해준다. 또한 담수성 조류는 변함없이 산출되는 반면,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가 산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해안환경에서 다소 멀 어진

  • PDF

Comparision Study of Social Costs Internalization for the Main Transportation Modes; Between Kwangyang Port and US Great Lakes (주요 운송수단별 사회적 비용 내부화 비교 연구 - 한국 광양항과 미국 오대호연안을 대상으로 -)

  • Shin, Seung-Si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7 no.2
    • /
    • pp.85-11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ocial costs of inland trucking and maritime transport between Kwangyang Port in Korea and the Great Lakes in US. Also, this study compares these social costs each other, and finds the way how to internalize them for the efficiencies of national logistics policies. This study use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o evaluate the social costs for the two transport modes in each country. The final result is that the social cost difference between inland trucking and maritime transport around US Great Lakes area is not so significant that there are not many chances to enhance the maritime transport in the region. However, in case of Korea,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costs between the two transport modes, so that Korea government may have a lot of chances to improve the seaborne trade by way of various internalization policies.

Characterization of Particulate Matters and Estimation of Emission Rates Exhausted from Diesel Locomotive Engines (디젤기관차 엔진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특성 및 배출량 추정)

  • 박덕신;정우성;김동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09-110
    • /
    • 2003
  • 우리나라에서의 철도는 도로교통에 비해 수송분담율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2001년을 기준으로 1년 동안 824만 명을 수송하여 전체 여객 수송량의 약 6.2 %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연구결과 비도로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젤엔진이 NOx와 입자상 오염물질 배출의 주요한 오염원으로 밝혀졌다. 국내외적으로 대기오염원 중 자동차나 트럭 등 도로용 차량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관심을 기울여 왔지만, 디젤기관차, 선박 및 경작, 건설, 벌목, 채굴 장비 등을 포함하는 비도로용 이동오염원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제어에 관해서는 논의가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Suitability Analysis of Tunnel Access Control for Hazardous Materials Transport Vehicles on the Expressway (위험물질 수송차량의 고속도로 터널통행규제 분석 연구)

  • Hong, Jung Yeol;Choi, Yoon Hyuk;Park, Dong 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7 no.3
    • /
    • pp.18-31
    • /
    • 2018
  • Since accidents of hazardous material transport vehicle on roadways cause severe damage in the form of disaster, foreign countries have long been engaged in systematic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relevant laws and policies for the road safety. Recently, over 10-kilometer long tunnel, such as Inje-Yangyang Tunnel and Geumjeongsan Tunnel, has been opened on the expressway and the production of various hazardous materials is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chemical technology. However, road laws related to the safe operation of hazardous materials transport vehicles are still lacking, and policy measures for managing them have not been specified. It is an important task to recognize the risk of accidents of hazardous material transport vehicles and to secure road safety by establishing a management plan for road manag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easibility of the traffic regulation of expressway tunnel in South Korea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primary data for the revision of law related to hazardous materials transport vehicles on roadways and the derivation of optimal route of hazardous materials transport vehicles.

KSC-7 사용후핵연료 수송용기의 트레일러 운반에 대한 진동평가

  • 서기석;구정회;정성환;도재범;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458-463
    • /
    • 1996
  • 수송용기가 운반 트레일러에 의해 정상수송될 때, 국내 도로 상태에서 발생되는 반복적인 진동 흑은 충격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국도 및 고속도로에서 차량수송시 가속도량를 기록하였으며, 이 측정결과를 주파수분석기로 분석하여 전산진동해석을 위한 입력자료를 생산하였다. 수송용기의 기계구조에 대한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전산해석은 ABAQUS 코드로 KSC-7 수송용기를 3차원 보요소로 모델링하여 응력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