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로건설현장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8초

도시/산단지역 포장도로에서의 Silt loading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ilt Loading from Paved Road in Urban and Industrial area)

  • 원경호;전기준;안정언;홍지형;정용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5-256
    • /
    • 2002
  • 포장도로에서의 자동차 운행으로 인한 비산먼지(fugitive dust)와 곳곳에 산재한 건설현장에서의 비산 먼지가 도시ㆍ산단지역의 미세먼지 배출량에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비산먼지의 기여도가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유류보일러, 자동차, 기타 산업공정)보다 많게는 10배 가량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략)

  • PDF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장비의 실용화를 위한 개념 디자인 및 기술적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ual Design and Technical Feasibility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Pavement Crack Sealer)

  • 이원재;안치훈;유현석;이정호;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03-116
    • /
    • 2011
  • 도로변 크랙실링 공법은 도로면에 발생된 크랙을 초기에 효과적으로 보수함으로써 후속 크랙 방지 및 동결피해를 방지하고 도로 하부 구조를 보호하여 도로의 평균상태지수를 높일 수 있는 예방적 유지보수 공법이다. 그러나 재래식 도로면 크랙실링 공법은 작업의 특성상 교통량이 많은 대도시나 고속도로에서 대부분의 작업이 수행되므로 작업 노무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숙련공의 부족으로 인해 작업 생산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등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1990년대 초반부터 북미 등 선진 외국에서는 재래식 도로변 크랙실링 공법을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1년부터 2004년까지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를 개발하고 현장 실험을 수행한 바 있으나, 작업 품질, 제어의 복잡성, 고가의 장비 구입 가격 등은 개발 장비를 실용화함에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래식 크랙실링 공법 및 국내외에서 연구 개발된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국내 도로 상황과 규정에 부합되는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최적 개념 디자인을 제안하고 원척의(Full-scale) 장비 개발을 위한 제안 기술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도로개선사업의 지역개발 효과분석 (Impact Analysis of Road Improvement Project on Rural Development : A Case of Korea)

  • 전경수;조중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23-140
    • /
    • 1992
  • 지방도로의 포장 및 확장사업으로 인한 지역개발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발생시 시기적 특성을 기준으로 할 때, 도로개선사업의 지역개발효과는 직접효과, 유발효과 및 간접효과 등 세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각 유형의 효과가 각각 어떻게 발생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연구에서는 교통부문, 농업부문, 공업부문, 공공 서비스 부문, 주거부문 및 인문사회부문 등 6개부문에 대한 도로개선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ADB 5차사업으로서 1983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85년에 사업이 완료된 밀양 및 하동지구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도로개선사업의 효과가 사업종료 후 어느 시점에서부터 발생되는가를 관찰하기 위하여 효과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의 시점을 사업전 (1983년), 사업완료 직후(1986년) 그리고 사업완료 5년후(1992) 등 크게 세가지로 구분하였다. 1983년 및 1986년의 자료로는 건설부에서 조사한 자료들을 이용하였으며, 1992년의 자료는 현장조사와 해당군의 통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도로사업으로 인한 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 대상지역을 사업지구(Project Area)와 대조지구(Control Area) 로 구분하고 이들 각 지구에 대한 시점별 분석들 실시하였다.

  • PDF

지속가능한 장수명 모듈러 도로를 위한 지지 모듈러 시스템 (Support Modular System for Sustainable-Perpetual-Modular Road)

  • 김동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37-4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건설 시간 및 유지관리 비용을 단축하기 위하여 제안된 지속가능한 장수명 모듈러 도로시스템의 하부구조인 지지 모듈러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하부 곡선면을 가진 Cross-Beam 형태의 지지 모듈러 4개로 구성된 모듈러 도로시스템을 Test-bed에 시공하였다. 6개의 하중계와 8개의 변위계를 중앙부 2개 Cross-Beam 형태의 지지 모듈러에 설치하였다. 2개의 하중, 50kN, 100kN을 도로 포장슬래브 15개 지점에 재하하여 모듈러 도로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하중 및 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변위들은 1mm 미만으로 실제 도로의 안정성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장실험에서 적용된 2개의 재하 하중들과 측정된 하중값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하부 지반에 전달되는 하중은 매우 작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지 모듈러를 가진 모듈러 도로 시스템을 실제 도로현장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 공사구간 동적표지판 안전효과 평가: 사례 연구 (Evaluating the Safety Effects of Dynamic Message in a Work Zone: A Case Study)

  • 문재필;이석기;조중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6-57
    • /
    • 2019
  • 일반적으로 도로 공사구간에서 발생하는 사망 포함한 심각한 부상의 주요 발생 원인중 하나가 과속이다. 이로 인해 도로 관리자는 열악한 도로 공사구간에서 도로 작업자와 운전자의 안전 개선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속도 준수를 유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이동식 가변 도로전광표지판을 적용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안전효과를 현장에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안전효과의 척도는 평균 속도와 제한속도 준수 비율이다. 이러한 안전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해 선형회귀와 로직모델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는 가변 도로전광표지판 설치전에 비해 설치후에서 대부분 관측 지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 속도가 감소하였으며 과속의 비율도 대략 50~8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적인 가변 도로전광표지판은 정적인 표지판보다 도로 공사구간에서 안전 편익을 더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내역정보 연계를 위한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기반의 공통WBS 활용방안 -도로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Using the common-WBS based on the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Schedule and Cost information)

  • 윤석헌;김성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6호
    • /
    • pp.107-114
    • /
    • 2005
  • 공정과 공사비는 건설사업의 관리에 매우 중요한 두 가지 축으로써, 이들을 통합 관리하려는 많은 노력이 진행중이나, 많은 어려움을 겪고있는 상황이다 내역체계의 특성으로 인해, 국내의 경우는 내역과 공정체계의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건설사업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국토관리청의 도로공사를 중심으로 내역체계와 공정체계를 연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위해 도로공사 현장 사례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시설물별 공통WBS와 부위별 수량산출서를 작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은공정과 내역의 연계활용뿐만 아니라, 타 정보와의 연계 활용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첨단과학현장-정보의 초고속도로와 10대 핵심기술

  • 현원복
    • 과학과기술
    • /
    • 제27권9호통권304호
    • /
    • pp.76-82
    • /
    • 1994
  • 미국, 일본, 서유럽을 포함한 선진국들은 21세기 초 개통 목표를 앞두고 정보의 초고속도로 건설에 한창 열을 올리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5년에는 전국의 정보고속도로망을 완성할 계획을 세우고 현재 정력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정보의 초고속도로 건설에는 정보의 저장, 스위칭, 디스플레이, 그리고 압축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 걸친 기술의 진보를 요구하고 있다. 정보의 초고속도로시대를 앞당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커뮤니케이션부문의 10개의 핵심적인 기술의 현황을 점검하고 그 미래를 전망한다.

  • PDF

연약지반 상 노상다짐 방법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Road Compaction Method in Soft Ground)

  • 최현석;장호훈
    • 지질공학
    • /
    • 제29권4호
    • /
    • pp.427-43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단위 연약지반 조성지역에서 도로를 건설할 때 노체층까지 다짐시공 후 압밀처리기 간완료에 따른 여성토를 제거하고 노상층을 시공하므로 공사비용, 시간, 현장관리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노상층을 연약지반 개량 전에 선시공하여 여성고에 포함시키고 압밀침하 완료 후 선시공된 노상층의 다짐도 유지유무를 현장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제 1노상층을 제외한 모든 노상층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제 1노상층을 제외하고 시공한다면 도로건설에서 경제적 시공성을 확보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섬유보강 아스팔트 포장 부착 전단강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Bonding Shear Strength of Geogrid-Reinforced Asphalt Pavements)

  • 박상구;김기현;권수안;정진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D호
    • /
    • pp.619-62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반사균열 및 러팅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섬유보강 아스팔트 포장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3곳의 구간에서 현장 시험시공을 실시하였다. 섬유보강 아스팔트의 부착 전단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공 도중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정의하고 시험시공 시 이에 맞는 시공조건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주었다. 시험시공 직후와 약 1년이 지난 후 시공 상태가 양호한 위치와 불량한 위치에서 각각 코어를 채취하고 부착 전단강도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섬유보강 아스팔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장에서 지켜야 할 만한 규정을 제안하였다.

친환경 도로굴착 시공을 위한 도로절단기 개발 (Development of a Pavement Cutter for Eco-friendly Road Excavation Construction)

  • 김균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11-118
    • /
    • 2022
  • 최근에 우리나라의 도로 하부에 매설된 지하시설물이 노후화되면서, 지하시설물 유지보수 공사 물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지하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도로포장의 절단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기존 도로절단기는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소음과 절단슬러지(비산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절단슬러지 회수장치의 개념을 도출하고, 이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도로절단기를 설계·제작하였다. 개발된 장비는 1m를 100~150mm 깊이로 절단하는 데에 20~30초 가량 소요되었다. 또 대부분의 구간에서 슬러지 흡입 성능은 양호하였으며, 2m 거리에서 약식 측정한 장비의 소음도는 평균 82.7dB 수준이었다. 다만 개발된 장비가 1차 프로토타입 수준이라는 한계로 인하여 구동안정성이 다소 낮았고, 시동꺼짐, 슬러지 회수성능 저하 등의 이상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향후 개발된 프로토타입의 튜닝 및 개선을 통해 절단성능과 슬러지 회수 기능을 보다 안정시킬 예정이다. 그리고 개선된 프로토타입을 실제 현장 상황에 적용하여, 생산성 등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