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획득장치

Search Result 278,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Introduction to Data Flow of Telemetry for KOMPSAT-2 (다목적실용위성 2호에서의 Telemetry 데이터 흐름)

  • 이재승;최종욱;천이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37-339
    • /
    • 2002
  • 현재 군사적, 상업적 또는 과학적 목적의 많은 인공위성들이 개발되고 있고, 실제로 이러한 목적의 인공위성들이 우주공간에서 각각의 맡은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해양관측용 자료 및 10m급 해상도의 영상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는 다목적실용위성 1호의 경우, 자료 획득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많은 내부적인 준비작업과 주변장치들을 필요로 하게 된다. 주변장치들도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다른 장치로부터 받기도 하고 다른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주기도하는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위성의 전체적인 상태나 구성하고 있는 주변장치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상의 관제소에서 계속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그러나 궤도를 돌고있는 위성은 관제소와 항상 정보를 주고받을 수는 없으므로 위성의 상태 데이터를 정해진 형식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시 이를 지상에 보내줄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내부 장치들에 대한 하드웨어 데이터와 위성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 관리 및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다목적실용위성 2호에 탑재될 수 있도록 위성탑재 소프트웨어의 상세설계가 이루어 겼다. 이 설계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텔레메트리 데이터의 획득이 이루어질 것이며 현재 탑재 소프트웨어에 대한 검증이 수행되고 있다.

  • PDF

Proposal for guided missile actuator device inspection using data acquisition device (데이터 수집 장치를 이용한 유도탄 구동장치 점검 제안)

  • Eui-Jae Jung;Tack-Keun Oh;Jung-Min Lee;Pil-joong Yoo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7 no.4
    • /
    • pp.423-428
    • /
    • 2023
  • In the missile actuator system, the time and position of the wings of the drive device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initial maneuver of the missile, and therefore, the missile actuator device must be inspected while ensuring the accuracy and real-time of motion collection data of the actuator.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 for checking the existing actuator device and the desig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actuator device through the DAQ(Data Acquisition) device is compared, and the difference in data collection amount and real-time data collection performance is compared and tested, and the data shown through actual tests are compared. is converted into a graph, the actuator waveform is compared and analyzed, and based on the analyzed data, DAQ device inspection configuration that guarantees real-time response speed and stability during inspection of existing actuators and DAQ devices is proposed.

정지궤도 위성의 원격측정 데이터 흐름 분석 사례 연구

  • Jo, Chang-Gw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00.2-200.2
    • /
    • 2012
  • 위성은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수많은 주변장치와 탑재체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 이렇게 획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성의 자세도 제어하고 전력도 관리하며 탑재체 목적에 따라 기상도 관측하고 해양도 관측하는 임무들을 수행한다. 또한 위성을 개발하면서 수행되는 여러가지 테스트에도 데이터를 활용한다. 이런 일련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획득된 데이터는 위성내부의 관련 장치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지상국에서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원하는 모든 데이터를 지상으로 보내기에는 대역폭이나 저장공간에 제약사항이 있다. 이런 이유로 필요한 데이터를 일정 포맷에 맞도록 정의한 후 데이터를 내려보낸다. 이런 데이터는 지상에서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초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 위성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원격측정 데이터의 흐름을 이해하고자 한다.

  • PDF

UAV-based Image Acquisition, Pre-processing, Transmission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무인비행장치 기반 이미지 획득, 전처리, 전송 시스템)

  • Park, Jong-Hong;Ahn, Il-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594-596
    • /
    • 2022
  • This paper relates to a system for pre-processing high-definition images acquired through a camera mounted on an unmanned aerial vehicle(UAV) and transmitting them to a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ase of the existing UAV system for image acquisition service, the acquired image was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UAV, and the image was checked by directly moving the storage device after the flight was completed. In the case of this metho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heck whether image acquisition or pre-processing is properly performed before directly checking image data through an external storage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data is stored only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data sharing is cumbersome. In this pap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e propose a system that can remotely check images in real time. Furthermore, we propose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pre-processing such as geo-tagging and transmiss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o image acquisition through shooting in an UAV.

  • PDF

포렌식 관점에서의 보안 USB 현황분석

  • Lee, Hye-Won;Park, Chang-Wook;Lee, Guen-Gi;Kim, Kwon-Youp;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63-65
    • /
    • 2008
  • 저장장치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대용량화가 가속화 되었고 휴대하기 편리하게 되었다. 그 중 휴대용 저장장치로 USB 대용량 저장장치가 널리 쓰이고 있다. 더 나아가 프라이버시와 기업의 기밀, 기술정보 유출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USB저장장치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수사 측면에서 볼 때 이러한 USB의 보안기능은 용의자에 의해 데이터를 은폐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현재 상황에 비추어 볼 때 보안기능이 있는 USB(이하 보안 USB)에 포렌식 관점에서 중요한 증거물이 저장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증거로서 보안 USB를 획득하였을 때, 해당 USB에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보안 USB에 관한 동향 및 대처방안에 대해 논한다.

  • PDF

Development of Precision Spraying System Using Machine Vision and DGPS (기계시각과 DGPS를 이용한 정밀방제 시스템 개발)

  • 조성인;정재연;김유용;남기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426-43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DGPS와 칼라 CCD 카메라를 이용한 잡초의 검출을 위한 영상처리 시스템과 분무시스템을 개발하고 통합하여 정밀 방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방제 요구부위에 실제 정밀한 살포를 위해 펌프, 노즐 및 레귤레이터로 구성된 장치를 구성하고 컨트롤러를 제작 통합하여 분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별 노즐별로 ON/OFF에 의한 변량 살포가 가능하도록 각 노즐별로 레귤레이터를 장착하였다. 정밀 방제용 이동식 차량을 제작하고 노즐별로 ON-OFF 제어가 가능한 살포장치를 부착하였으며, 알고리즘을 통합하여 정밀방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영상 획득 $\longrightarrow$ DGPS 좌표 획득 $\longrightarrow$ 자이로 컴파스 데이터 획득 $\longrightarrow$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물의 위치정보 획득 $\longrightarrow$ 영상처리를 이용한 방제요구부위 검출 $\longrightarrow$ 노즐별 개별 방제 작업이 순서적으로 반복해서 진행되었다. 완성된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서울대학교 부속 과수원에서 무를 대상으로 개발된 시스템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RS-232C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순차적인 진행이 가능하도록 통합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으며, 검증 결과 정밀방제의 가능성을 보였다.

  • PDF

Application of 3D Picture Control to the Simulator to Visualize the Field Demonstration Data (실증 Data 시각화를 위한 풍력시스템 Simulator 3D 시각화 작업 구현)

  • Choi, Hyojin;Kim, Young Chan;Chun, Chinw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87-187
    • /
    • 2010
  •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전력변환 시스템을 연구개발하기 위해서는 바람의 특성을 실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모의시험장치인 시뮬레이터가 요구된다. 모의시험장치는 바람을 받아 회전하는 블레이드 대신 풍속 값을 입력하여 전동기가 발전기에 토오크(torque)를 공급하게 된다. POSTECH 풍력에너지연구소는 2003년 750kW급 KBP-750D 풍력발전기용 모의시험장치에 이어, 2007년 2MW Gearless형 풍력발전기(KBP-2000M)의 400:1 축소모델인 5.83kW 모의시험 장치를 제작 완료하였다. (주)플라스포사는 모의시험장치를 이용하여 고효율의 전력변환장치 설계와 인버터 시스템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주)유니슨은 2MW 풍력발전기용 통합연동제어 시스템을 제작 완료하여 2009년부터 대관령 실증단지에 초도품을 설치하고 실증운영 중에 있다. 본 논문은 대관령 실증단지에서 실시한 2MW 풍력시스템 실증과정에서 획득한 풍향과 풍속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쉽게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3D모델 처리방안을 적용하여 모의시험 장치에 구현한 내용이다. 풍력발전기 개발은 현재 대형화 추세에 있으며 연구개발 단계에서 풍력발전기의 발전 및 제어부분의 기능적 안정성 확보와 효율성 증대를 위한 적절한 시험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풍력발전기의 특성상 타워를 건설하고 회전자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시험한다는 것은 설치 공간과 비용의 제약이 따른다. KBP-2000M (2MW) 모의시험장치는 풍력발전기와 같은 대형장비를 연구 개발하는데 필수적이며, 실증을 통해 획득한 Data를 적용함으로서 재품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성능향상을 도모하는데 필요하다. 실증 Data를 시각적으로 3D로 표현함으로서 현장의 풍속/풍향 변화를 사실감 있게 느끼게 되었다. 앞으로도 풍력발전기를 연구개발하거나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적절한 제어와 안전을 위한 연동장치를 갖춘 스케일 다운된 모의시험장치 구축이 요구될 것이다. 풍력발전기의 실증과정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모의시험장치에 적용(Feedback)하여 지속적인 성능향상을 높여나갈 것이다.

  • PDF

A Study on Data Acquisition Technique for HPA/DCO (HPA/DCO 영역의 데이터 수집 기법 연구)

  • Park, Min-su;Son, Nam-heun;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850-853
    • /
    • 2011
  • HPA(Host Protected Area) 영역과 DCO(Device Configuration Overlay) 영역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며 이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은닉할 수 있다. HPA/DCO 영역은 저장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만들어진 규약인 ATA-4와 ATA-6에서 제시되었다. 디지털 포렌식 조사시 HPA/DCO 영역을 고려하지 않은 디스크 이미징 및 데이터 추출 방법은 해당 영역에 숨겨진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HPA/DCO 영역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영역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인식하여 획득하는 절차를 통해 디스크 이미징 또는 데이터 추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HPA/DCO 영역에 관한 기존 연구를 활용하여 포렌식 조사에서 해당 영역을 확인하고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HPA/DCO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획득하여 디지털 포렌식 조사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KoDSat System Level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Test and an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검증위성 시스템레벨 전자기파(EMC) 시험 및 결과에 대한 분석)

  • Seo, Min-Seok;Park, Seok-Jun;Sim, Eun-Seop;Kim, Se-Yeon;Chae, Jang-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4
    • /
    • pp.102-109
    • /
    • 2006
  • In this paper, the system level EMC radiated emission test results of KoDSat(Korea Demonstration Satellite), its affects upon the Launch vehicle and H/W improving methods regarding its over exceed value of EMC specification are discussed. Regarding its over exceed value, we estimated that DAU of KoDSat generated the exceeded EMC noise source, and these 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EMC2000 tool to find out how did it affect the FTS(Flight Termination Subsystem) of KSLV-1(Korea Small Launch Vehicle). To diminish the EMC noise source of UHF(430.1Mhz) band level, we redesigned the DAU power board to be applied the various schemes for EMI noise reduction such as grounding, shielding and EMI filtering, and also verified these reworks to analyze its diminishing affects in UHF band level by means of performing the DAU box level EMC test and performing the second KoDSat's system level EMC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