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이터스케이프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트랜스포머의 일반화 성능에 영향을 주는 로스 랜드스케이프 연구 (A Study on Loss Landscape Affecting the Performance Generalization of Transformer)

  • 최민기;이소은;허종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17-519
    • /
    • 2022
  • 뉴럴 네트워크는 학습에 사용하는 파라미터를 문제에 맞게 최적화하여 일반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선행 연구들은 다차원의 로스 랜드스케이프(loss landscape)를 시각화하는 방법을 탐구하며, 모델의 일반화 측면에서 어떤 영향을 주는지 탐구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로스 랜드스케이프가 근본적으로 일반화 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평평하거나 경사진 로스 랜드스케이프 중 어떤 형태가 일반화 성능에 더 효과적인지 여러 의견이 나뉜다. 따라서 우리는 로스 랜드스케이프가 일반화 성능과 연관 있음을 실험을 통해 파악한다. 나아가 비전문제에서 MSA(multi-head self-attention) 레이어를 기반으로 구성된 트랜스포머 구조를 사용해 작은 유도 편향(inductive bias)을 가지며 소규모 데이터 셋 체제에서의 단점을 보완한다. 결론적으로 평평한 로스 랜드스케이프가 일반화 성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관찰한다.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주제어 분석 (Analysis on Topics in Soundscape Research based on Topic Modeling)

  • 최수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27-435
    • /
    • 2019
  •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는 소리를 통해 문화와 환경,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료이지만, 자료의 기록, 보존, 분류, 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프레임워크의 구축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은 문서에 숨겨져 있는 테마 구조를 드러내주는 알고리즘으로 연구 동향 분석과 같이 대량의 문서에 내재된 주제어를 찾아내기에 적합한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의 논문을 토픽 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여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주제어를 도출해 보고, 이를 사운드스케이프 온톨로지(Soundscape Ontology) 및 사운드 아카이브의 메타데이터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시맨틱 웹 기술인 링크드 데이터(Linked Data) 기반의 사운드스케이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의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디저트 카페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ssert Cafe's Servicescape on CustomerEngagement through Big Data Analysis)

  • 노다영;류기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693-697
    • /
    • 2023
  • 2022년도 현재 디저트 카페 트렌드는 더 빠르게 변화하고 고객의 니즈는 점점 더 까다로워지고 있으며 한국인의 소비성향은 빠르게 변화하여고객의 눈높이를 맞추고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려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는 디저트 카페에 대한 서비스스케이프, 고객인게이지먼트 요인을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빅데이터를 통해 디저트 카페 정보에 대한 키워드를 조사하여 서비스스케이프 요인, 고객인게이지먼트의 관계성을 규명한다.

수상스포츠 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 및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rvicescap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Behavior in Water Sports Facility)

  • 김민성;신진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66-673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수상스포츠 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 및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수상스포츠 시설을 경험한 사람들 중 20대 이상 참여자를 표본으로 선정했다. 조사는 2022년 4월 25일부터 7월 15일까지 비대면으로 실시했으며, 총 243부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이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내적일관성, 상관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첫째, 수상스포츠 시설 서비스스케이프가 편리성, 공감성, 시설환경 순으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쨰, 수상스포츠 시설 고객만족이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상스포츠 시설 서비스스케이프가 시설환경, 서비스, 편의성, 공감성 순으로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야관광에서 심야스케이프가 힐링경험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Late-night scapes on Healing and Attitude in Night Tour)

  • 정윤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257-270
    • /
    • 2018
  • 힐링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사회 각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관광은 힐링에 가장 적합한 수단으로서 관심을 받고 있지만, 실증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특히 야행성 소비자들의 증가와 함께 크게 성장한 심야관광분야에 있어서 이러한 힐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사람들이 밤시간을 활용해 스트레스를 해소한다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심야관광에서 힐링경험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야관광에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힐링경험과 심야관광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낮 동안의 관광과 가장 특징적으로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는 심야의 환경적 특성인 심야스케이프가 힐링경험에 주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즉 심야스케이프(조명심미성, 공유분위기, 문화독특성)가 힐링경험(스트레스 해소, 행복감)에 주는 영향, 힐링경험이 심야관광태도에 주는 영향을 가정하였다. 심야관광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심야스케이프 중 조명심미성과 공유 분위기는 스트레스 해소와 행복감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 독특성은 행복감에만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 해소는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스트레스 해소와 행복감이 심야관광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심야관광을 통한 힐링경험이 심야관광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심야스케이프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고 있으며, 심야 관광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e-서비스스케이프가 웹사이트 신뢰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servicescape on Website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 신진희;정용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90-504
    • /
    • 2021
  • 1인 가구의 증가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다양한 신제품의 출현, 가격 비교 경쟁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온라인 시장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업들은 온라인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이 온라인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중요성을 고려하고 소비자의 내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 환경을 통하여 경쟁업체와의 차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심미적, 기능적, 프라이버시, 상호작용적 요인을 e-서비스스케이프 구성요인으로 제시하여 e-서비스스케이프가 웹사이트 신뢰, 브랜드태도,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분석에서는 온라인 쇼핑 경험이 있는 일반인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하였다. 설문방식은 문항별로 7점 리커트(likert)의 척도로 하였고, SPSS 24.0과 AMOS 25.0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e-서비스스케이프에서 심미적, 프라이버시 요인이 웹사이트 신뢰와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스케이프 설계방법을 적용한 Villa VPRO 공간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zing the space of Villa VPRO used datascape design strategy)

  • 박영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45-152
    • /
    • 2004
  • The European architects including MVRDV, Rem Koolhaas, Van Berkel, and Zaha Hadid tend to use the their own design strategy based on the objective data. This Architectural design method leads to make new paradigm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For the purpose of the understanding a part of new architecture paradigm I will analyze the case of Villa VPRO designed by MVRDV. At the result, I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drawing design concept and planning the space program, they decided on the design strategies of Villa VPRO. They designed the space volume having 42.4m$\times$42.4m floors and infiltrated environmental elements to solve the problems about deep space. Second, Villa VPRO was constructed by 'creative space-making system: a series of floors much like a geological formation, the continuous floors interconnected by spatial means, the precision bombardments of snake-like holes, open elevations, the stacking spaces. Third, Villa VPRO produced the spectacle space effect the various formation of continuous floors make a lot of difference space types in this building. Also they lead to move naturally and give event space. A numbers of holes and openness make it possible to provide friendly environment with combining light and air with views of the surrounding and transparency. And using the method of stacking many types of space make the differences in height.

MVRDV의 건축적 사유방식과 데이터스케이프를 기반으로 한 작품 특성 분석(1992-2006) (A Work Analysis of MVRDV based on Architectural Thinking System and the Datascape(1992-2006))

  • 박현옥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9-17
    • /
    • 2007
  • After 20th century, The using of data tend to important in a sphere of architecture. The recent European including MVRDV, Rem Koolhaas, Van Verkel and Zaha Hadid tend to the their own design strategy based on the objective data. This architectural design method leads to make new paradigm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For the purpose of the understanding a part of new architecture paradigm(datascping), I will analyze the relation of Thing system and Formation system in 36 works of MVRDV from 1992 to 2006. As a results are as follows. The purpo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and social elements(Thinking system) are density of site, networking, lighting & vista, micro-climate, energy, noise & vibration, life style, city, communication and variety. Second, The Formation system is layering & stacking, open & close, folding & extending and eco-friendly design. Finally, the major matrix of MVRDV's works is pragmatic and systematic approach to the lighting, climate and variety of community.

  • PDF

프로그램 복합화의 디자인방법론에 관한 사례연구 - MVRDV의 Datascape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rchitecture Method of Program Organization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MVRD′s Datascape -)

  • 송진욱;권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1호
    • /
    • pp.63-70
    • /
    • 2003
  • Most of the architecture is constructed in cities. Urbanism or network, occurring in contemporary society, has changed the concept of space. For this reason, many architects now focus on the chang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cities and the changes of modern life sty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rchitecture, not to mention architects, to find out new design methods that are able to respond to the changes. This study starts form the thought that MVRDV, the group of architects in the Netherlands, makes a design in the process, connected with contemporary society, cities, informations, and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bring to light the MVRDV's way to design, datascape, as a new design method.

MVRDV의 건축에 나타난 공간 구성 수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ial Characterristics of MVRDV's Architecture)

  • 조영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77-83
    • /
    • 2008
  • MVRDV is most important architect as created interesting architectural sp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so they applies to the unique theory in their architecture. They used to architectural diagram, program, datascape, density as a design tool. Especially, they have create new architectural space and form in using architectural diagram, program, datascape, density, and void. So, this study is purposed to explain how they use as architectural tool to make composition of it's architectural space and is purpose to explain what is their main concept in architectural space. MVRDV's architectural space has fundamental methodology. That is Datascape on uncertainty and continuity between urban space and architectural space. The former consist in using diagram and architectural program and the latter consist in operating architectural void and inner continuity surface. The conclusion is follows 1. The mode of spacial composition by architectural void is correspond density of city as MVRDV's architectural thinking. 2. The mode of spacial composition by architectural program is ambiguous to the boundary between inner and exterior space by transparency. 3. The mode of spacial composition by architectural diagram make to generate the architectural form and space,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and relocation of architectural program. 4. The mode of spacial composition inner continuity plane is make relative between site and inner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