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관리정책

Search Result 935,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Conflict Resolution Policies and Rules for SyncML Applications (SyncML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데이터 충돌 해결 방안)

  • Kim, Youn-Soo;Choi,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460-462
    • /
    • 2003
  • PDA(Personal Data Assistant)나 Handheld PC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이용하여 주소록이나 일정관리와 같은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특성상 중요한 정보를 신뢰성 있는 서버와 같은 컴퓨터에 중복 저장하는 것이 필요한데,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면 데이터 동기화(Data Synchronization)를 통하여 일치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동기화 과정에서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충돌에 대한 해결 정책을 제시하였고, 그 중 서버 우선 정책과 클라이언트 우선 정책에 필요한 해결 규칙을 설명하였다. 서버 우선 정책은 서버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값을 유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정책이며, 클라이언트 우선 정책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값이 우선하는 정책이다.

  • PDF

A Effective Databas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Modified RBAC (변형된 RBAC 정책에 기반한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보안 관리 시스템)

  • 강주미;정민아;김정자;원용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88-90
    • /
    • 2003
  • 병원, 은행과 같이 중요한 정보를 다루는 조직체들은 그들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기업 환경과 어플리케이션 특성에 맞는 특별한 데이터베이스 보안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의 조직체에서는 업무가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보안정책에 대한 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보안정책의 무결성을 보존하면서 수시로 변경되는 보안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효율적으로 보안관리를 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혈계 질환 시료정보관리시스템을 대상으로 IRH(Improved Role Hierarchy)를 이용한 유연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보안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데이터 접근은 MAC 방식으로 통제하며, RBAC의 역할계층(Role Hierarchy)을 개선한 IRH를 사용하여 유연성 있는 접근제어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보안관리를 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보안정책이 바뀔 경우 분산된 보안관리 방식으로 IRH를 수정함으로써 정책 변경이 용이하고 주체의 보안등급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IRH을 통해 사용자와 세션이 맺어질 때 결정되므로 정책이 바뀐 후에도 변경된 보안정책이 유연하게 적용된다.

  • PDF

An Analysis of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Utilization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활용 현황 분석)

  • Kim, Seon-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8.08a
    • /
    • pp.47-50
    • /
    • 2018
  • 2008년 도서관분야 국가승인통계 생성과 더불어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이 구축되었다. 본 연구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구축 이후 10년을 맞이하여 도서관통계데이터를 제공하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이 도서관 정책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한국한술지인용색인(KCI) 및 온-나라정책연구(PRISM)를 활용하여 2008년~2018년도에 발행된 학회지와 정책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데이터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을 참고한 논문 95건, 정책연구보고서 39건이다.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Dataset as Records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 방안)

  • Hyun, Moon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5 no.2
    • /
    • pp.103-124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the necessity of management and long-term preservation of dataset as records. Although government and corporate bodies produce various dataset in the regular course of the business, dataset have been stored and managed in the information system. Dataset as records should be captured into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managed in the overall system. They can provide a evidence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government and fundamental information of the process. If agents do not perform the right management, dataset records will disappear in the future.

A Policy-driven RFID Data Management Event Definition Language (정책기반 RFID 데이터 관리 이벤트 정의 언어)

  • Song, Ji-Hye;Kim, Kwang-Hoo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2 no.1
    • /
    • pp.55-70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policy-driven RFID data management event definition language, which is possibly applicable as a partial standard for SSI (Software System Infrastructure) Part 4 (Application Interface, 24791-4) defined by ISO/IEC JTC 1/SC 31/WG 4 (RFID for Item Management). The SSI's RFID application interface part is originally defined for providing a unified interface of the RFID middleware functionality―data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device interface and security functions. However, the current specifications are too circumstantial to be understood by the application developers who used to lack the professional and technological backgrounds of the RFID middleware functionality. As an impeccable solution, we use the concept of event-constraint policy that is not only representing semantic contents of RFID domains but also providing transparencies with higher level abstractions to RFID applications, and that is able to provide a means of specifying event-constraints for filtering a huge number of raw data caught from the associated RF readers. Conclusively, we try to embody the proposed concept by newly defining an XML-based RFID event policy definition language, which is abbreviated to rXPDL. Additionally, we expect that the specification of rXPDL proposed in the paper becomes a technological basis for the domestic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hat are able to be extensively applied to RFID and ubiquitous sensor networks.

Development of GIS-based EEZ Policy Making Support System (GIS기반의 배타적 경제수역 정책결정지원시스템 개발)

  • Park, Eun-Ji;Kim, Kye-Hyun;Lee, Chu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83-188
    • /
    • 2008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기존의 연구에서 구축된 배타적 경제수역(EEZ) 해양자원정보시스템(MRIS)을 근간으로 다양한 해양자원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출하고 EEZ 관련 의사지원과 정책결정을 위한 GIS기반의 EEZ 정책결정지원시스템을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구축된 MRIS를 이용하여 분산되어 관리되던 기존의 데이터와 매년 탐사 과정을 거쳐 추가되는 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표준화를 수립하고 관리방안을 확정하였다. 또한,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해양데이터의 표출방안을 이용하여 EEZ 경계획정 협상 및 정책 결정에 있어 실질적 판단근거가 되는 EEZ에 대한 법령과 각국의 정책 및 EEZ 경계획정 사례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나아가 GIS를 이용하여 표출된 공간데이터를 다양한 공간 검색과 공간분석 기능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학적인 방법으로 EEZ에 대한 중요정책 결정에도 활용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향후 EEZ 내 자원분포 및 지 역 별 경제성 비교와 쟁점지역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가능함에 따라 국가 간 협상에서 우리나라에 보다 유리한 협상결과를 도출하는데 기여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주변국과 경계획정에 있어 유리한 협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제반 정보의 제공과 함께 보다 효율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다양한 의사결정의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data management policy direction for disaster safety management governance (재난안전관리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데이터관리정책 방향에 관한 소고)

  • Kim, Young M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2
    • /
    • pp.83-90
    • /
    • 2019
  • In addition to the proliferation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the field of disaster management is being approached from a multifaceted perspective. In particular, as the interest in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data increase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large amount of big data distribution generated in real time and a systematic management. Furthermore,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data in order to increase the prevention effect of disasters through data analysis and to make a system that can respond effectively and to predict the overall situation caused by the disasters. Disaster management should seek both precautionary measures and quick respons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as well as a technical approach to establishing governance and safety. This study explor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significance and structure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governance using data.

다중접속 온라인게임서비스 상 게임 봇(Bot)의 탐지 및 제재의 근거가 되는 운영정책의 편입통제 및 법적 분쟁을 대비한 데이터 관리에 관한 소고

  • Jung, Sungwun
    • Review of KIISC
    • /
    • v.26 no.3
    • /
    • pp.15-21
    • /
    • 2016
  • 온라인 게임 서비스의 약관과 관련하여 실무상 많은 분쟁이 있는 쟁점으로서 약관과 운영정책이 어떠한 방식과 절차를 거쳐야지만 게임 운영정책이 계약의 내용이 될 수 있는 지와, 게임 서비스 운영정책의 운용과 관련하여 자주 분쟁이 발생하는 영역으로서 게임 봇(Bot)을 이용한 게임 이용자와의 법적 분쟁 시 게임 이용자의 행위를 증명하기 위하여 어떠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하여야 하는 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A Prediction-Based Data Read Ahead Policy using Decision Tre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NAND flash memory based storage devices (낸드 플래시 메모리 기반 저장 장치의 성능 향상을 위해 결정트리를 이용한 예측 기반 데이터 미리 읽기 정책)

  • Lee, Hyun-Seob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4
    • /
    • pp.9-15
    • /
    • 2022
  • NAND flash memory is used as a medium for various storage devices due to its high data processing speed with low power consumption. However, since the read processing speed of data is about 10 times faster than the write processing spee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e speed difference. In particular, flash dedicated buffer management policies have been studied to improve write speed. However, SSD(solid state disks), which has recently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s more vulnerable to read performance than write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find out why read performance is slower than write performance in SSD composed of NAND flash memory and study buffer management policies to improve it. The buffer management policy proposed in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improving the speed of a flash-based storage device by analyzing the pattern of read data and applying a policy of pre-reading data to be requested in the future from NAND flash memory. It also proves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ahead policy through simulation.

A Study on Research Data Management Methods fo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데이터 관리 방안 연구)

  • Na-eun Han;Jung-Ho Um;Hyung-Jun Y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8 no.2
    • /
    • pp.151-175
    • /
    • 2024
  •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at NST-affiliate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sharing and use of research data, and based on this, suggests methods for establishing a research data sharing and management system. The survey on the statu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was conducted twice in 2022 and 2023 for a total of 20 research institutes. In addition, difficulties and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the management and sharing of research data were identified, and based on this, methods for establishing a research data sharing and management system were proposed by dividing them into policy aspects, system aspects, and linkage system construction aspects. In order to establish a research data sharing system, it would be desirable to prepare a policy basis and present contents such as the definition of research data, scope of application, contents of management, utilization method, and leading institutes. In addition, for systematic and unified research data management, it would be recommended that each institute will establish and manage a repository and management system. By linking this with DataON, the national research data platform, and providing one-stop services,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data will be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