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과학 교육

Search Result 43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Case Study Of Scientific Gifted Education in Russia (러시아의 과학영재교육 사례연구)

  • Oh, Hee-Jin;Lee, Hyo-nyong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2 no.1
    • /
    • pp.85-100
    • /
    • 2008
  • Korea has begun institutional education for the gifted since 2002. It has quantitatively expanded, but needs rather qualitative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a case of scientific education for the gifted in Russia. Three principal of Russian science academy, one educational psychologist, and one education-government official had in-depth interviews for this study. All data from interviews were carefully analyzed.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Russia gives us full assurance that students should reveal their potential ability with the specialized program in school. The Russian run various, particular academies because they try to search for potential ability in manifold areas. The people in charge of scientific education in Korea should make an effort to seek for varied routes in the way of searching for hidden originality and potential ability.

  • PDF

Study on the Direction of Universal Big Data and Big Data Education-Based on the Survey of Big Data Experts (보편적 빅데이터와 빅데이터 교육의 방향성 연구 - 빅데이터 전문가의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 Park, Youn-Soo;Lee, Su-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4 no.2
    • /
    • pp.201-214
    • /
    • 2020
  • Big data is gradually expanding in diverse fields, with changing the data-related legislation. Moreover it would be interest in big data education. However, it requires a high level of knowledge and skills in order to utilize Big Data and it takes a long time for education spends a lot of money for training. We study that in order to define Universal Big Data used to the industrial field in a wide range. As a result, we make the paradigm for Big Data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e survey to the professional the Big Data definition and the Big Data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Big Data related-professional recognize that is a wider definition than Computer Science Big Data is. Also they recognize that the Big Data Processing dose not be required Big Data Processing Frameworks or High Performance Computers. This means that in order to educate Big Data,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 methods of Universal Big Data rather than computer science (Engineering) knowledge and skills. Based on the our research, we propose the Universal Big Data education on the new paradigm.

Developm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Chatbo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폭력 예방교육 챗봇 개발)

  • Yu-Seop Kim;Yu-Hyeon Kim;Min-Gee Joh;So-Hui 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99-400
    • /
    • 2023
  • 본 프로젝트는 ChatGPT와 카카오톡 채널 챗봇을 사용하여 초등학생 대상의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위한 대화형 챗봇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한림대학교 간호대학에서 제공받은 학교폭력 예방교육 자료를 기반으로 ChatGPT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증강하였고, AWS RDS의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의 예상 발화와 그에 대한 답변을 저장하였다. 그리고 AWS Lambda에 REST API를 구현하고, AWS API Gateway를 통해 카카오톡 채널 챗봇과 연결하였다. 사용자가 발화를 입력하면 발화를 포함한 요청이 AWS Lambda로 전달되고, ChatGPT를 사용해 답변을 생성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코사인 유사도를 비교한다. 이때 기준치보다 유사도가 높다면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반환하고, 낮다면 생성된 답변을 반환한다. 이후 반환된 답변을 카카오톡 채널 챗봇으로 전달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 PDF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 Jeong, Eunju;Son, Jeongwoo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3 no.2
    • /
    • pp.227-238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inquiry activities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For this purpose, 20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classes were conducted in 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City. After selecting the inquiry problem, students conducted an inquiry process to collect data using digital inquiry instrum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fter the classes: First, students perceived the step on 'inquiry design and execution' as the most useful in the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Second,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scientific ability and cooperation improved through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with the selection of inquiry problems being the most difficult. Third,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the improvement of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inquiry activities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inquiry that can cultivate various abilities needed for students living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Online Education Program for Disadvantaged Informatics Gifted Students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학생을 위한 머신러닝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Kim, Seong-Won;Kim, Jiseo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33-63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소외계층 초등정보영재를 위한 온라인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정보영재 전문가가 개발하였으며, 인공지능 교육 전문가가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15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데이터 수집 및 표현, 모델 선택, 훈련, 평가, 실생활 사례 제작, 예측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 모형은 이재호와 홍창의(2009)의 문제 중심형 e-PBL 학습 모형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에 적용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소외계층 초등정보 영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Learning Programs on Visualization of Data for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 Focusing on Using the Tableau Program -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 시각화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ableau 프로그램 활용을 중심으로 -)

  • Kim, Hyunguk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3 no.1
    • /
    • pp.18-34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cience-learning program based on data visualization on the science inquir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Accordingly, this research developed a data visualization science-learning program using Tableau, which had twelve sessions. The subjects encompassed 61 students in three gifted classes taught by the researcher.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test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est modified to suit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 were given to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results confirmed that science learning based on data visualization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basic science inquiry skills. Among the subdomains,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only in the reasoning subdomain. Moreover, integrative inquiry abil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unlike basic inquiry abilities. Among the five subdomain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ree subdomains (data conversion, data interpretation, and variable control). However, concerning the generation of hypotheses and the control of variables, students exhibited confusion regarding the process of variable control and the exact concept of hypothesis development.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program's application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found a significant impact. Additionally,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four subdomain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o be owing to the students' mastery of Tableau's features,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discussion and debate, and the thematic impact of the data visualization program emphasizing procedural thinking.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science learning based on data visualiz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The study of Data Logging Model Development for ICT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ICT 활용 교육을 위한 데이터 로깅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Gil-Kyung;Hong, My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10-1413
    • /
    • 2007
  •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교육은 ICT 소양교육과 ICT 활용교육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다. ICT 소양교육은 컴퓨터 과학을 기반으로 하여 정보기술과 통신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교육으로 그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현재 초고속 통신망의 발달과 컴퓨터 사용으로 인하여 소양교육에 대한 학업 성취도는 매우 향상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ICT 교육은 활용 교육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전 교과에 걸쳐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의 내용뿐만 아니라 교육의 방법 등에서 많은 변화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ICT 활용교육에서 컴퓨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습득하거나 측정된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과정, 데이터 로깅(data logging), 으로부터 시작 한다. 최근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가 발생한 곳에서 즉시 받아들이고 또한 결과가 필요한 곳에서 즉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컴퓨팅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본 개념 중 하나인 실시간 데이터 로깅 기법을 응용하여 초등학교에서 ICT 활용 학습 활동 시 발생되는 각종 원시 데이터들을 컴퓨터로 가져오는 데이터로깅 모델을 제안하고, 초등학교 과학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실험 요소들을 분석하여 이를 개발된 모델에 적용하였다. 데이터 로깅 모델 적용 결과, 손쉽게 해당 원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었고 데이터의 처리 및 분석을 간편하게 수행하여 정확한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험 결과에 대한 토의, 토론에 더욱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었으며 학교에서의 ICT 활용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다.ovoids에서도 각각의 점들에 대한 선량을 측정하였다. SAS와 SSAS의 직장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실제 임상에서의 관심 점들과 가장 가까운 25 mm(R2)와 30 mm(R3)거리에서 각각 8.0% 6.0%였고 SAS와 FWAS의 직장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25 mm(R2) 와 30 mm(R3)거리에서 각각 25.0% 23.0%로 나타났다. SAS와 SSAS의 방광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20 m(Bl)와 30 mm(B2)거리에서 각각 8.0% 3.0%였고 SAS와 FWAS의 방광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20 mm(Bl)와 30 mm(B2)거리에서 각각 23.0%, 17.0%로 나타났다. SAS를 SSAS나 FWAS로 대체하였을 때 직장에 미치는 선량은 SSAS는 최대 8.0 %, FWAS는 최대 26.0 %까지 감소되고 방광에 미치는 선량은 SSAS는 최대 8.0 % FWAS는 최대 23.0%까지 감소됨을 알 수 있었고 FWAS가 SSAS 보다 차폐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두 종류의 shielded applicator set는 부인암의 근접치료시 직장과 방광으로 가는 선량을 감소시켜 환자치료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의 항균(抗菌) 효능(效能)은 군약(君藥)인 대황(大黃)의 성분(成分) 중(中)의 하나인 stilbene 계열(系列)의 화합물(化合物)인 Rhapontigenin과 Rhaponticin의 작용(作用)에 의(依)한 것이며, 이는 한의학(韓醫學) 방제(方劑) 원리(原理)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理論)에서 군약(君藥)이 주증(主症)에 주(主)로 작용(作用)하는 약물(藥物)이라는 것을 밝혀주는 것

  • PDF

Data Literacy Education in Design Curriculum of Higher Education Focused on Development of Design-Data Convergence Curriculum (디자인 교과과정에서의 데이터 문해력 교육에 관한 연구 -디자인-데이터 융합 교과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Lee, Hyun Jh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5
    • /
    • pp.685-696
    • /
    • 2022
  • This study explores convergence curriculum for design and data science, and applies data science knowledge on undergraduate design classes for designer's data literacy. First, related studies about data literacy education for non-data science major's, and data driven design project cases are explored, then design competency and data competency based on NCS are studied. Then this study developed 3 step design-data convergence curriculum model for designers' data literacy. The curriculum model is applied on case study classes, which are Big data and UX design(2) classes. The learning results and student's feedback of the case study class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o prove the design-data convergence curriculum, and the results provid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design-data convergence class case study.

Development of SW Education Program for Data-Driven Problem Solving Using Micro:bit (마이크로비트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 SW교육 프로그램 개발)

  • Kim, JBongChul;Yu, HeaJin;Oh, SeungTak;Kim, J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5
    • /
    • pp.713-721
    • /
    • 2021
  •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introduced AI education in earnes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re is growing sympathy for the need for data-related education along with AI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competence to understand and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properly,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competence of data must be based on it. In this study, a data-driven problem solving SW education program using microbit was developed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demand analysis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The data-driven problem solvi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with educational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ng the contents of data science. Through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education that combines various topics and subjects can be linked based on real-life data. Furthermor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data, it will lay the foundation for a more substantial AI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a Data Analysis Program Using a Data Analysis Competiti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데이터 분석대회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개발)

  • HakNeung Go;JaeRi Jeong;Youngj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471-472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데이터 분석 대회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은 ADDIE 모형에 개발하였다. 분석 단계에서 G초등학교 학생들의 데이터 분석 도구인 스프레드 시트를 학습한 경험이 적고 배우고자 하는 동기가 없었다. 하지만 교육과정에서 공학도구로 활용하도록 제시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학생들이 스프레드 시트를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이를 실습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대회를 디자인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LMS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학습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학습하며, 데이터 분석 대회에서는 학습한 데이터와 문제만 제공하여 대회에 참여하면서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평가 도구로는 데이터 리터러시 평가 도구를 선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