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특성역량

Search Result 16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termination of AHP-based factor weights for quantification of regional mega-drought resilience (지역별 메가가뭄 복원력 정량화를 위한 AHP기반 인자 가중치 결정)

  • Lee, Chanwook;Moon, Gihoon;Yoo, Do Gu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1-361
    • /
    • 2021
  • 가뭄의 경우 타 자연재난에 비해 발생경로, 피해범위, 발생기간 등이 매우 다양해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극한가뭄에 대비한 지자체별 가뭄 역량 평가를 수행하는 것은 재난관리에 있어서 최우선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가뭄과 관련된 지역적 복원력을 평가한 사례는 매우 적다. 가뭄은 지진, 홍수 등과 같은 타 자연재난에 비하여 지속기간이 길고, 그 지속기간에 따라 피해의 영향 또한 파급력이 달라지므로 복원력 산정을 위한 항목, 복원력 곡선의 저하 형태 및 양상 역시 가뭄의 특성에 맞춰 도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별 극한가뭄에 대한 복원력 정량화를 위하여 가뭄과 관련된 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자원동원력의 세부인자를 정성인자와 정량인자로 구분하여 총 18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18가지 항목이 정량인자 뿐만 아니라 정성인자로 구성됨에 따라, 모든 인자를 동일한 가중치로 평가할 경우 최종결과가 상대적 중요도의 미 고려로 인해 왜곡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계층적분석기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해 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그리고 자원동원력에 대한 가중치와 내구성, 대체성, 그리고 신속성에 대한 세부 지표별 가중치를 도출하여 지역별 메가가뭄 복원력을 정량화 하였다. 분석결과를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와 비교분석하였으며, 과거 가뭄사례를 통해 검토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ing Participation and Presence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lipped Learning-based Non-Face-To-Face Classes (플립러닝 기반 비대면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참여 및 실재감 차이 분석)

  • Kim, Kyong-Ah;Kim, Ji Sim;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39-140
    • /
    • 2022
  • 코로나 팬더믹의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 환경에서 대면 수업의 실재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대면수업과 다른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수업 설계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 참여 수준과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강의 동영상 수업과 상호작용을 포함한 플립러닝 기반 실시간 수업을 혼합하여 수업한 후 설문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 수준,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을 조사한 결과, 학업성취도 가장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 참여도 높고, 다음 수준의 학습자들이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학업성취도에 기반하여 학습자별 맞춤형 교수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Competence and Sales Performance of Sales Representatives: Focusing on Sales Representatives of Automobile Dealership (영업사원의 개인역량이 자동차 판매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동차 대리점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 Kim, Mee Hoe;Bae, byung Yun;Jeon, Ki Su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4 no.1
    • /
    • pp.17-32
    • /
    • 2019
  • Sales representatives of automobile company play a key role in the circulation system.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consumers demand high-quality information and guides from the salespersons when they decide to purchase an automobile. Sales representatives provide service to the customers in accordance with their needs to help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Therefore, a sales representative's personal compet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les performance. Based on this hypothesis, we assumed that personal competence of a salespers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ales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is study classifies personal competence into 4 independent variables((1) sales technique professionalism (2) salesperson's attitude and relationship with customers (3) emotion utilization (4) emotion control) and measures the correlation with the dependent variable(sales performance). To verify the relationship, we set and modified the hypothesis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and researches. In addiction,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0 local salespersons from Gyeonggi-Gangwon region. 268 valid samples were used and analyzed with SPSS WIN24.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it turned out that sales technique professionalism and emotion utilization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sales performance. However, the result failed to support the assumption that sales representative's attitude and relationship with customers and emotion control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sales performance. At last the result revealed that personal competence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recruitment specification for sales representatives.

The Effec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nd Competitive Strategy of Venture Companies on Growth Prospect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역량과 경쟁전략이 성장전망에 미치는 영향: 비즈니스모델 혁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hn, Mun Hyoung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8
    • /
    • pp.1-13
    • /
    • 2022
  • Although the number of venture start-up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success or failure based on short-term performance alone. The survival of a company cannot be guaranteed if it does not show sustainable growth prospects. As a growth factor for venture companies, the level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nd competitive strategies are considered important. Recently, the emergence of innovative business models is creating new opportunities and driving the growth of numerous venture start-ups.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competitive strategy and the growth prospects of venture companies. For this,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original data of the Research on the Precision Status of Venture Firms 2021. As a result, production, manufacturing, marketing capability, cost leadership and product differenti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growth prospects. The mediating effect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between all factors except for manufacturing capacity and growth prospects was verified.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by shedding new light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ong-term growth prospects of venture companies and revealing business model innovation as a new mediating variable.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objective measurement tool an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industrial characteristics.

청년창업가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송현채;허철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123-127
    • /
    • 2023
  •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해서 세계 각국이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창업을 장려하고 있는 추세이다. 글로벌 관점에서 재정위기가 있었던 지난 2008년 이후 여러 국가들의 산업전반에서 위기감이 고조되어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창업을 장려하는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등 세계 각국은 청년창업을 통한 경제성장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현재 세계적인 흐름에 맞추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최우선의 정책과제로 청년층의 창업을 지원하는 등 창업 활성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한국경제의 활성화 및 청년실업의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새로운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하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창업을 새로운 돌파구로 삼아 청년층의 창업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상당수의 창업 지원정책들은 지역의 창업 실태를 면밀하게 파악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반적인 창업 지원방안들이 수립, 집행되곤 하는 것이 현실로 가시적인 효과는 당장 나타나지 않고 있다. 특히 청년창업은 퇴직 이후의 생계형 창업과 달리 신성장 동력분야 및 기술·지식 집약적인 분야에 대한 창업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아 국가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정부와 대학 및 학생 등은 ICT 중심의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모색하여 창업 활성화를 통한 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일자리 창출과 신산업 육성에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창업가가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청년창업가 특성들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네트워크 활동이 청년창업가 특성과 창업성과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청년창업가들이 창업성과를 내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여러 요인 중 우선적으로 확보하거나 수행해야 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자원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Characterization plan for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cultural contents curriculum (직무능력표준과 문화콘텐츠계열 교육과정 특성화 방안)

  • Kim, ji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1-9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학문분야별로 체계적인 직무능력 매뉴얼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대학원 교육이 현장에 필요한 맞춤형 인재양성이라는 교육목표의 수월성을 위해 역량 있는 교육과정 방안을 직무능력에 근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전문대학원 문화콘텐츠(융합콘텐츠 포함) 관련 학과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문대학원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한 종합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전문대학원의 고유한 전문성과 주체성을 가진 현장밀착형 교육과정 사례를 통해 교육과정의 특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의 직무능력표준이 정한 문화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및 서비스별로 요구되는 능력수준, 정의, 능력단위 요소를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개념틀(framework of curriculum)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초기 투자성과와 연계된 창업기업의 내부 결정요인 분석

  • Gu, In-Hyeok;Kim, Yong-Deok;Jo, Jae-M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95-199
    • /
    • 2022
  • 본 연구는 스타트업 투자성과와 연계된 창업가 역량, 재무정보 등 정량데이터를 기반으로 스타트업 투자자들의 투자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초기 종업원 수가 많고, 최고경영자의 지분비율이 높을수록 투자승인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재무적 특성에서는 기업의 매출액 규모가 작을수록 투자승인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타트업의 경우, 기업의 단기성과보다는 투자 결정에 있어 미래가치 혹은 다른 정성적인 요인이 더 고려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셋째, 창업가 특성에서는 CEO 교육수준(학력)이 높을수록 투자승인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즉, 창업자의 학력은 성공적인 투자 여부에 핵심적인 변수이고 이것은 선행연구의 결과와 다르지 않았다. 또한, 학력과 투자유치의 연관성은 창업 3년 미만 스타트업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투자정보공개, 관련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으로 스타트업 투자에 관한 정량적 실증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한 점을 고려한다면,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식을 뛰어넘어 국내 초기 창업기업만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투자유치와 연계된 스타트업의 평가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IPP Work-Learning Worker's Competency and Characteristics of Training Program on Training Performance of Learning Workers -Focusing on Social Support of Corporate Members- (IPP 일학습근로자의 역량과 훈련프로그램의 특성이 학습근로자의 훈련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기업내 구성원의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 Bae, Yong-Il;Seo, Young-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3
    • /
    • pp.149-16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raining performance by studying how the capacity of IPP work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programs affect the training performance through social support of employees.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the online questionnaire to 270 IPP learning worker(of 9 univers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work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program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ocial support of the employees, and their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train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training performance when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selection of trainees and participating companies and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raining course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objectivity of the result is rather low by deriving the response centered on the recognition of the learning workers.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bjectivity of the results through three-dimensional cross-checks with training participants.

Study on Active Learning & Facilitatio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Core Competency (4C) (핵심역량(4C) 증진을 위한 액티브러닝과 퍼실리테이션 융합 교육프로그램 연구)

  • Chung, Yoo Kyung
    • Smart Media Journal
    • /
    • v.8 no.1
    • /
    • pp.67-73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Active Learning and Facilitatio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hich can improve core competency to cope with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 applied the integrated advantages of Active Learning which enhances 'problem solving skill' and those of Facilitation for creative thinking idea to application design process coursework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such education method through student satisfaction survey. I also designed application contents for the students who are familiar with the mobile environments and UI contents for data visualization which can help those students to improve their skills in software. Every coursework was conducted as a team project. As a result, Active Learning and Facilitatio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is found to be helpful in improving the basic skills and competencies required in college education. I hope this work helps to reduce the educational gap between industry and professional colleges.

Study of the Experience Process in Action Learning for Fostering Essential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Grounded Theory Approach- (대학생의 핵심역량 육성을 위한 Action Learning에서의 경험과정 연구 -근거이론 접근-)

  • Kim, Young-Hee;Choi, B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477-491
    • /
    • 2013
  • In order to live up to public expectations, universities dedicate their best efforts to cultivating all Essential Competencies for outstanding individuals, especially reorganizing and improving their general education curricula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light of the fact that a cutting-edge technology in a specific field does not bear a long span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undergraduates' Experience Process of Action Learning designed to foster their Essential Competencies. With broadly selected 15 students from the courses for Essential Competencies, the method of theoretical sampling was employed so as to secure the diversity of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After in-depth interviews, the data from the subject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and Corbin. The conclusion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 learning coach should play a different role depending on the levels of Action Learning. Secondly, some time for introspection should be taken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Action Learning. Thirdly, learners ought to solve the problems faced during the learning process on their own. Fourthly, the aims of courses for Essential Competencies are also needed to be foc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