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이미지

검색결과 542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의 캐릭터 디자인 분석 (Analysis on Character Designs of Universities)

  • 권윤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65-175
    • /
    • 2008
  • 21세기 들어 교육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각 대학들은 새로운 대학이미지 구축 즉, 이미지 마케팅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아이템의 하나인 캐릭터는 내부적으로 구성원의 단합과 대학의 자긍심과 전통성을 고취함과 동시에 대외 홍보의 수단으로도 연계되어 대학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에 각 대학은 그들의 아이덴티티와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캐릭터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대학의 캐릭터들의 개발현황을 조사하고 대학의 대외 이미지 마케팅의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대학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와 대학의 결속 및 화합과 대학 아이덴티티(identity)를 확립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동시에 학교 상징물과의 연관성 그리고 그 개발과 활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친근하고 차별화된 캐릭터는 그 시각적 홍보효과와 함께 대학 이미지를 특성 있게 알림으로써 대학 이미지 제고의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의미 분석법에 의한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 (Physics Image Analysis by Sematic Method and Interest in Physics of Freshman Students in the Engineering College)

  • 송영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214-224
    • /
    • 2020
  •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은 물리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하나이다. 공과대학 신입생은 고등학교 때에 다양한 학습 환경 조건에서 대학에 입학한다. 대학 물리교육을 위하여 공과대학 신입생의 특성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와 관심 여부를 조사하여,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연구 대상은 공과대학 1학년 공과 계열 286명, 정보기술 계열 242명, 건설환경 계열 136명 총 664명이다. 분석 내용은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첫째, 물리 이미지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교 때 물리를 배우지 않은 학생의 물리 이미지 점수가 물리I 또는 물리I,II를 배운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물리 관심 여부는 성별과 물리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물리 관심이 높았고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서는 고등학교 때 물리를 이수하지 않은 학생이 물리를 이수한 학생보다 물리 관심이 높았다. 끝으로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대학도서관 웹 페이지의 색채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lor Image of the Web Pages of University Libraries)

  • 이철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9-106
    • /
    • 2007
  • 이미 운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국립대학 도서관 웹 페이지의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여, 웹 페이지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배색이미지와 형용사이미지에 관한 정보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방법은 색채감성척도를 사용하여 분석대상 사이트에 대한 RGB값을 찾아내어 Color Chip을 추출하였으며, 배색이미지와 형용사이미지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우리나라 국립대학도서관협의회에 가입되어 있는 41개 국립대학 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많은 대학이 흰색이나 회색의 배색 바탕에다, 연한 청색계열의 색조와 녹색계열의 배색이 주를 이루었고, 형용사 이미지는 경쾌한 이미지와 밝은 이미지가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은은한 이미지, 우아한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 PDF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University Image, Student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 정현화;정기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03-109
    • /
    • 2017
  • 본 논문은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 간의 영향관계를 조사하였다. 274부의 설문지가 가설검정에 사용되었으며, 2차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을 검정한 결과 상대적 영향정도는 교수방법, 강의내용, 교수태도,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이미지가 학생만족과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이미지는 학생만족에 상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학이미지에 대한 만족도가 교육성과에 대한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선행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만족은 긍정적으로 형성된 대학브랜드 이미지를 보유한 대학은 고객만족을 창출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생만족이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서비스품질 하위차원의 요인적재 값에서 교수방법(0.972)과 강의내용(0.934)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대해 이들의 영향이 다른 요인들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기관은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 등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들의 관점에서 교육서비스품질의 교수방법과 강의내용을 강화해야 한다.

대학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과 대학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by University Sport Center on Student Satisfaction and University Image)

  • 오경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25-934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마케팅 방안을 모색하고자 대학교육서비스의 일환인 대학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과 학생만족, 대학이미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수도권지역의 3개 대학의 스포츠센터를 대상으로 편의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 총 350부 중 24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326부의 자료로 분석하였다.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의 지리적, 인적, 편의성 요인이 학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의 시설적, 편의성 요인이 대학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의 학생만족이 대학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 구성요인 분석 (Understanding the Elements of Academic Library Brand Image: Based on Key Branding Concepts)

  • 박상근;박주석;조현양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96-320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 측정을 위한 연구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차원을 기능적 이미지, 경험적 이미지, 상징적 이미지의 3개의 차원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총 11개의 하부차원과 45개의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구분된 항목을 대상으로 IRT(item response test)와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 3개의 차원과 9개의 하부차원 그리고 27개의 항목이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 영향요소로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이미지, 몰입과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uality of Education Servics on Student Satisfaction, Image, Commitment and Loyalty)

  • 김준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45-15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 환경에 변화속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대학이미지, 몰입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양질에 대학교육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229명을 표본으로 6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교육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대학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만족은 몰입과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미지는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몰입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를 통해서 교육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대학에 노력이 대학이미지와 충성도에 영향을 주고 장기적인 대학의 경쟁력 향상을 가져 온다고 할 수 있다. 교육 서비스품질 관리를 위한 궁극적인 노력이 급변하는 대학환경에서 생존하는 방법을 제시해 줄 것이다.

국내 대학의 심볼 마크 디자인 -2000년대 UI(University Identity)의 사례를 중심으로- (Symbol Mark Design of Domestic Universities -With Focus on Case of UI(University)in the 2000s-)

  • 권윤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77-86
    • /
    • 2007
  • 21세기 교육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각 대학들은 새로운 대학이미지 구축의 바람 즉, 이미지통합화를 위한 UI(University Identity)를 개발하고 있다. 외적으로는 대학을 상징하며 대학의 이미지 전달의 역할을 하고 내적으로는 소속된 집단의 올바른 의식을 갖게 하는 UI개발에서, 심볼 마크는 그 시각적 효과가 커 대학 이미지의 확립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또 대학의 자긍심과 단결심 그리고 연대감을 고취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타 대학과의 식별도 용이하게 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이미지를 구축하는 요소들 중 심볼 마크가 차별화 효과와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중요한 브랜드 자산이라는 점을 제시하고, 2000년대 개발된 국내 대학의 심볼 마크 디자인 상황을 36개 대학을 대상으로 조형 형태별과 적용 컬러별로 각각 분류하고, 엠블럼 활용 현황도 조사하여 각 심볼 마크의 특성과 개발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물은 국내 대학 심볼 마크의 유형을 이해하고 향후 대학들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의 광고활동이 재학생의 학교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iversity Advertising on Enrolled Student's University Loyalty)

  • 김동태;이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697-705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의 광고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의 광고활동이 외부고객보다는 내부고객인 재학생들의 대학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대학에 대해 외부인들이 가질 것으로 기대하는 이미지와 실제 재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방법으로 변수 정의와 연구모형의 설계를 통해서 설문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설검증은 AMOS 7.0을 이용한 공변량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대학의 광고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재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신의 친지들이 인식하는 학교 이미지까지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하게 하고 최종적으로 대학에 대한 재학생들의 애호도를 높이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의 이미지광고활동이 재학생, 부모나 친지, 재학생의 연관집단까지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겠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 비교 (A Comparison of the Nurses Image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강미란;정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42-3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 정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C시 소재 일 간호대학 학생 400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9월 2일부터 9월 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로, t-test, ANOVA,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 이미지 정도는 임상실습 경험군 평균평점 $3.5{\pm}0.5$, 임상실습 미경험군 평균평점 $3.7{\pm}0.5$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4750.2, p<.001). 또한 간호사 이미지 하위영역의 전통적 이미지(F=3631.5, p<.001), 사회적 이미지(F=2872.5, p<.001), 전문적 이미지(F=4022.9, p<.001), 개인적 이미지(F=1812.9, p<.001)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후 간호사 이미지를 높이기 위하여 임상현장과 간호대학 뿐 만 아니라 간호사의 독자적 업무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