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건축물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2초

2차원 정상상태 전열해석을 통한 교육시설의 알루미늄 창호 열관류율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rmal Transmittance Performance of Aluminum Alloy Window Frame of Educational Facility considering 2 Dimensional Steady-state Heat Transfer)

  • 박동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284-52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학 캠퍼스의 기존 교육시설에 설치된 알루미늄 합금 창의 2차원 정상상태 전열해석을 통한 열관류율(U-value) 평가를 수행하였다. 교육시설의 주요 창호 재료로 적용된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175 $kca{\ell}/m^2h^{\circ}C$ 정도로 플라스틱 소재의 창틀과 비교할 때, 매우 불리하여 기존 교육시설에 설치된 알루미늄 창호는 열교를 통한 열손실의 주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충남 서산지방에 위치한 대학건물의 알루미늄 알로이 합금 창호의 열관류율 평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의 해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1) 2차원 정상상태 전열해석을 위한 경계조건은 국토해양부고시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남부지방 냉난방장치의 용량계산을 위한 설계 외기온 기준과 실내온도 기준을 적용하여 여름철 실내 $27^{\circ}C$, 실외 $31.3^{\circ}C$, 겨울철 실내 $21.0^{\circ}C$, 실외 $-9.6^{\circ}C$ 로 설정하고 시물레이션을 통한 해석 결과 열관류율은 알루미늄 합금 창호 U= 9.631 W/$m^2K$, 복층유리 U= 2.382 W/$m^2K$로 여름철과 겨울철 동일한 해석 결과치가 산출되었다. (2) 열관류율 해석결과를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열교차단재가 적용되지 않은 금속제 창의 단열성능 중 일반 복층창 단열성능기준인 U=4.0 W/$m^2K$와 비교할 때, 알루미늄 창틀을 통하여 225%의 열손실이 발생됨을 보여 주고 있다.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대용량 양방향 말뚝재하시험 분석 및 극한지지력 추정을 위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Analysis Study for Estimation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and An Analysis of the High Capacity Bi-directional Pile Load Tests of the Large-diameter Drilled Shafts)

  • 남문석;김상일;홍석우;황성춘;최용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0호
    • /
    • pp.63-72
    • /
    • 2011
  • 초고층 건축물 기초의 고용량 하중 지지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인 고유압방식의 고용량 양방향 말뚝재하시험을 2개 현장에서 실시하였다. 고유압 복동식 양방향 말뚝재하시험은 정재하시험 시 재하용량 한계와 현장조건의 제약을 극복 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볼 수 있었으며 고용량이 필요한 시험말뚝에 대한 재하시험에 매우 유용한 시험방법으로 판단되었다. 2개의 사례에서 계산된 설계하중 충족비는 각각 3.3, 2.1이었으므로 사례(P-2)에서 1방향 재하하중을 다소 작게 재하하였더라면 말뚝기초의 안정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지 못하였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고용량의 양방향 말뚝재하시험에서 설정한 최대하중까지 재하하더라도 말뚝 및 지반의 극한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았으므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극한지지력을 추정하기 위하여 2개의 고용량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캠퍼스 건축물에 대한 이미지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Evaluation of Buildings in the University Campus)

  • 김천일;김익환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3-20
    • /
    • 2012
  •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psychological analysis on campus facil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observation that the evaluation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ampus is related to the image evaluation of the campus users.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 cognitive structure and the image evaluation structure of users, i.e., students, on the architectural and morphological elements of campus buildings. The investig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gnitive structure of students on the architectural and morphological elements was different from building to building. In the case of architectural elements, the campus buildings were rated high, if they were designed with emphasis on symbolic elements, while the campus buildings with simple design were rated low. However, the morphological elements exhibited the opposite results. 2) We extracted six factors by performing the factor analysis for image evaluation. From the analysis results, we found that students showed a different structure of image evaluation for each building. In addition, the image evaluation structures were found to be related with the cognitive structures on architectural and morphological elements. 3) We also performe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mage evaluation structure and cognitive structure on architectural and morphological aspect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each building showed different correlation patterns. In addition, the overall image became better, as they appraised "clarity" and "uniformity" more highly.

PV 시스템이 설치된 대학건물의 전력 생산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공급비율 분석 (The analysis of the renewable energy supply ratio for the school building applied PV system)

  • 강수현;이용호;황정하;조영흠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50-57
    • /
    • 2012
  • Recently the renewable energy has been used widely and the importance of renewable sources is bigger than before. And the government enforced a law to the public buildings to install the renewable energy facilities. The capacity of facilities was 5% of total construction cost until April 13, 2011. Since then, the government changed the law from 5% of total construction cost to 10% of predicted energy usage for the resonable use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analysis is conducted according to the law to the building installed PV system through the Energy Plus simulation. And the method for improving renewable energy supply ratio was analyzed using existing PV array. Adjusting the PV array angle is the best way to generate more electric power without additional fee. When applying the month optimum angle, 3,600kWh of electric power are more generated compared to the existing angle.

신속한 재해 대응을 위한 TB지역의 시설물 중요도·위험도·피해액 산정 기반 인벤토리 구축 (A Method for Constructing of Inventory based on Importance, Risk, Damages Estimation of Facilities in TB Area for Rapid Disaster Response)

  • 최수영;김진만;조명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99-59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에 따른 재해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피해액 평가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인벤토리 구축을 수행하기 위해서 재해에 따른 시설물의 위험 발생 시 피해 시설물에 대한 구분 및 분류가 이루어져야한다. 하지만 재난관리가 수행되어야 하는 시설물 건축물의 정보가 정부 여러 기관에서 각기 다른 형태의 정보로 관리되어짐으로써 재난관리 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HAZUS-MH와 DIMSuS의 위험도와 중요도 개념을 기반으로 피해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등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들을 선정하고 국내 시설물 분류, 건축법규 및 자산 가치 산정 정보를 활용하여 시설물 재해 대응을 위한 인벤토리 구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성서산업단지를 TB지역으로 선정하고, TB지역내의 수변구조물, 산업시설, 주거시설 등 다양한 시설물의 속성 정보를 수집 구축하였다. 또한 신속한 재해 대응을 위해서는 시설물 정보와 공간정보를 융합한 복합적인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TB지역의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속성 정보와 연계하여 통합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벤토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신속한 재해 대응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 설계를 위한 대학 강의동 형태별 에너지 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An Energy Performance Comparison of University Lecture Facilities for Energy Saving Building Design)

  • 김태훈;서지효;추승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1호
    • /
    • pp.105-112
    • /
    • 2018
  •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re growing, and the importance of buildings with high energy consumptio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been promoting the mandatory zero energy building since 2020, and guidelines related to the zero energy building have been developed. In addition, based on the "Energy-saving Design Criteria for Buildings" of the "Green Building Promotion Act" in Korea, the standards for energy-saving design are specified and the energy saving plan is written. Besides, the 'Energy-saving construction standards for eco-friendly houses' also specify insulation, machinery, equipment, and sunshade. Also, there is little consideration about the cost such as construction cost and material cost which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construction stage.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analysis of building type and energy performance versus materials for energy saving building design considering energy performance in planning aspect of initial design stage. In this study, because the variables can not be neglected in this study, it is selected as the lecture facility of the 'K' university campus building which can consider the remaining factors except the passive design element as the control variable, Energy performance analysis.

유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3D 건출 표현 연구 (A study on 3D construction expression using a similar hologram)

  • 이현창;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1-362
    • /
    • 2021
  • 홀로그램을 이용한 사례도 유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활용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대 3면 혹은 4면을 이용한 유사 홀로그램에 대한 개요를 살펴보며, 콘텐츠로서 원광대학교 대학본부 건물을 3D(dimension) 모델링을 통해 제작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유사 홀로그램에 표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육안으로 보여지는 실질적인 건물을 AR/VR/MR 등 가상의 공간에서 보여지는 여러 방법들 가운데 홀로그램을 통해 공간상에 가상으로 보여지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홀로그램을 통해 건축물 혹은 문화재건축물 등 다양한 소재를 홀로그램으로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디지털콘텐츠 활용영역 구축을 시도할 수 있다.

  • PDF

TMD 적용에 따른 Twisted 비정형 건축물의 변위 응답 분석 (Displacement Response Analysis of Twisted Irregular Buildings According to TMD)

  • 유상호;김현수;강주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89-98
    • /
    • 202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ree irregular building model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displacement response control with Tuned Mass Damper (TMD) installation in twisted irregular buildings. The three irregular models were developed with a fixed angle of twist per story at one degree, subjected to three historical seismic loads and resonant harmonic loads. By designing TMDs with linear and dashpot attributes, we varied the total mass ratio of the installed TMDs from 0.00625% to 1.0%, encompassing a total of 10 values. Two TMDs wer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top story of the analysis model in both X and Y directions to evaluate displacement response control performance based on TMD installat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top displacement response control performance was most effective when a 1.0% TMD was installed at the top layer of the analysis model.

연약지반의 측방유동 평가를 위한 확률신경망 이론의 적용 (Application of Probabilistic Neural Network (PNN) for Evaluating the Lateral Flow Occurrence on Soft Ground)

  • 김영상;주노아;이종재;이숙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C호
    • /
    • pp.1-8
    • /
    • 2008
  • 최근 급속한 경제발전과 지역산업의 성장으로 인하여 많은 물류이동 발생과 함께 연약지반에 도로를 건설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연약지반 상에 축조된 구조물과 관련한 제반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말뚝 기초 형식의 교대나 건축물을 연약지반에 시공할 경우 비정상적인 측방유동에 의한 변위가 기초지반에 발생하여 상부 구조물의 안정성과 사용성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측방유동은 말뚝의 파손원인과 측방변위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연약지반상에 설치된 말뚝의 변형과 모멘트에 대한 연구, 수치해석법을 이용한 연약지반상의 성토에 따른 측방변위 특성 및 현장계측을 통한 측방변위 특성 등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으나 측방유동현상은 지금까지도 그 역학적 메커니즘이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어렵고, 측방유동에 대한 합리적인 설계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일본 측방유동 발생 사례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보다 정확한 측방유동 판정을 위하여 확률신경망모델을 구축하고 기존의 측방유동 판정식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확률신경망 모델들의 측방유동 판정 성공률이 매우 높은 정확도를 가지며 기존 판정식에 비해 측방유동 판정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CO2 배출량 추정을 위한 간략 모델 개발: 아스팔트 포장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Simplified Model for Estimating CO2 Emissions: Focused on Asphalt Pavement)

  • 김규연;김성근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2호
    • /
    • pp.109-120
    • /
    • 2021
  • 미래를 위협하는 요인의 하나로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지적되고 있다. 각 나라들과 각 산업별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전과정 평가라는 정량화된 방법으로 구조물 및 건축물의 전과정 동안 발생하는 환경부하 및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았다. 하지만 건설분야의 경우에는 LCI DB도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고 전과정 기간이 매우 길고 구조물 및 건축물도 유일무이한 경우가 많아서 전과정 평가를 수행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아주 정확한 탄소배출량을 추정하기 보다는 발주가 또는 설계자가 환경부하 저감과 관련한 신속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우에 적은 노력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편리하게 추정할 수 있는 간략화된 추정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국 25개 도로현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LCA를 수행하였으며 수행된 결과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간편 추정식을 도출하였다. 간편 추정식으로 산출된 이산화타소 배출량과 일반적인 LCA를 수행하여 추정한 배출량을 비교한 결과 16개 도로현장의 경우에 오차율이 5% 미만으로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