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토양군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il in Korean Golf Courses (한국 골프 코스의 토양 분류와 특성)

  • 최병주;주영희;심재성;유병남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6 no.2
    • /
    • pp.113-119
    • /
    • 1992
  • Soil Classification of 70 golf courses in Korea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detailed soil map fro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Golf courses (GL) soils were included 6 great soil groups(by the old system) and 8 great groups (by the new system) and 17 soil series. Most abundant great soil groups by old system were Red yellow soils(50% of GL) and Lithosols (44%) and by new systems, Dystrochrepts(74%), Eutrochrepts(8.6%) and Hapludults(7.1%) were main great soil groups. Major soil series were indentified as Osan(27.1% G.F), Samgag(18.6%), Yesan(11.4%), Songsan(8.6%) and Daegu(7.1%). Characteristics of great soil groups and soil series were summaried or tabled for golf course management.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Soil Types in Korea and an Assessment of Soil Predictability Using Soil Forming Factors (한국 주요 토양유형의 공간적 분포와 토양형성요인을 이용한 예측가능성 평가)

  • Park, Soo-Jin;Sonn, Yeon-Kyu;Hong, Suk-Young;Park, Chan-Won;Zhang, Yong-S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1
    • /
    • pp.95-118
    • /
    • 201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soil types in Korea, and to assess the ability to predict soil distribution using environmental variables. A classification tree method was used to assess soil predictability. While the great soil groups can give more intuitive understandings on their spatial distributions, its predictability using environmental factors i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great group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soil types is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Korea that shows distinctive morphological difference between mountains and plains. Spatial distribution of climatic variables and catenary soil sequence along slopes play additional roles i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soil types. The classification tree models resulted in 35-75% of prediction accuracy, depends on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environmental variables brought in the models. While geomorphological variables are the best predictors for the great groups, climatic variables perform better for the great soil groups.

Experimental Study on Reduction Effects of Non-Point Pollutants by Improvement of Infiltration Capacity of Soil Filter Strip (토양여과대의 침투능 향상을 통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Woo, Su-Hye;Choi, I-Song;Oh, Jong-M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2
    • /
    • pp.264-272
    • /
    • 2007
  • Runoff of non-point pollutants has affected bad influence to water quality of river as reaching within short time. For this reason, reducing them prior to reaching aquatic systems or treating them after collection from discharge process of pollutants are desirable for efficient treatment of polluta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ecotechnological method to prevent further aggravation of water quality by non-point source through vegetation filter strips. This study has placed a focus on improving infiltration capacity of soil for the optimum condition of vegetation filter strips. Therefore, we used titled soil filter strips instead of vegetation filter strips in this study. The three types of soil tilter strips were used in a bench scale experiment before applying to the field. The reduction efficiency of pollutants in soil filter strips (SS $84.5{\sim}92.5%$, BOD $67.9{\sim}80.6%$, T-N $43.4{\sim}76.6%$, T-P $40.6{\sim}87.4%$, Cu $28.3{\sim}48.1%$ Fe $92.1{\sim}97.7%$, Pb $81.4{\sim}97.3%$)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ed group. And non-point pollutants reduction efficiency by soil filter strip's forms was estimated to be distinguishing in order of bio material, mixture of sand and gravel and lastly the whole gravel. In the event, the whole reduction efficiency of pollutants on the soil filter strips disclosed good results.

괴산-보은일대 옥천대 분포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 연구

  • 신우식;이병선;문상기;정성욱;김연태;우남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6-249
    • /
    • 2003
  • 충북 괴산군-보은군 일대를 따라 발달된 중부 옥천대의 구룡산층과 운교리층 분포지역에서, 기반암에 따른 지하수의 수질특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2년 11월에 18개 지점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기반암에 따른 지하수의 수질을 분류하였다. 구룡산층 시료와 운교리층 시료 모두 Ca-(HCO$_3$+ CO$_3$) 유형의 수질특성을 보였다. 군집분석의 결과 기반암의 종류에 따라 수질특성이 나됨을 알 수 있었다. 수질 분석결과를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와 비교 하였을때, 질산성 질소 항목만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질산성 질소의 경우,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인 10 mg/L를 초과한 시료는 한 지점이었지만, 인간 활동에 의해 오염된 것으로 여겨지는 2 mg/L이상의 시료는 전체 18개 시료 중 61%인 11개 지점으로 나타나, 이 연구지역에서 인간활동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오염이 진행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effect of ditch restoration on soil loss reduction in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고랭지밭의 구거복원에 따른 토양유실저감 효과분석)

  • Sung, Yunsoo;Kim, Jonggun;Choi, Yujin;Im, Gyeong-Jae;Kim, Ki-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4-244
    • /
    • 2018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 현상으로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점에 강우로 인한 토양유실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토양유실은 도시지역보단 농업지역에서 다량 발생되고 있어 많은 영양염류가 하천으로 유입되 환경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토양유실문제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강원도 내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선정된 홍천군 자운지구는 소양호 상류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부분의 농경지가 고랭지밭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천군 자운지구 내 고랭지밭은 대규모 농업단지로 구성되어 있어 지역 내 위치한 구거가 무단으로 점용되어 농경지로 활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홍천군에서는 농경지로 점용된 구거를 복원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길제 구거 복원으로 저감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분석은 수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홍천군 자운지구의 지적 상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는 구거를 복원할 경우 발생되는 토양유실저감효과를 분석했다. 구거복원에 따른 토양유실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모형은 SATEEC L Module이다. SATEEC L Module은 수치표고모형과 최대 허용 경사장을 이용하여 경사장을 산정한 후 Moore and Burch의 방법을 이용하여 LS factor를 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당 Module을 사용하여 산정된 LS factor와 USLE 공식을 적용하여 구거 복원 시 저감되는 토양유실량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점용된 구거를 복원하면 자운지구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을 약 16.6%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의 토양유실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Classification of Standard Drainage Basin according to Soil Catena (Soil Catena 특성에 따른 유역단위의 유형 분류)

  • Sonn, Yeon-Kyu;Hur, Seong-Oh;Seo, Myung-Chul;Jung, Suk-Jae;Hyun, Byung-Keun;Song, Kwa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9-96
    • /
    • 2007
  • 농업 비점오염원으로부터의 수질 보전이나 수자원 관리는 유역단위로 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며, 지형이 복잡한 우리나라에서는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유역은 물이나 기타 물질들이 모여 강이나 더 큰 수계로 흘러드는 지표수의 범위라 표현할 수 있으며 그 범위를 정함에 따라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특히, 강우에 따른 수자원의 유입과 유출이 토양을 통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유역단위 구분이 토양의 특성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은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유역단위 구분의 큰 단점으로 작용해왔다. 따라서, 농업적 관리뿐만 아니라 수질관리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도 유역단위 특히, 소유역을 토양특성이 포괄하는 체계적 단위로 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토양학에서는 동일한 모재에서 유래된 일련의 토양이 미세지형에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된 것을 Soil Catena(토양연접군)라고 한다. 이 토양연접군을 위주로 토양을 분류하게 되면 수문이나 기상현상 등의 주요 매질인 토양을 그룹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얻게 되고 이런 그룹화는 유역을 수계 위주의 유역군이 아닌 동일특성이나 유사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유역군으로 분류가 가능하도록 유도할 것이므로, 이런 분류는 토양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문모형의 적용성을 확대해 합리적 수자원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며 수자원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 관리에 대한 유역단위 보편성을 확보하고 농업에서의 최적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우리나라 유역 세분화는 토양조사가 되어 있는 지역에만 한정해 분류에 이용했다. 대유역은 15개로 구분하였으며(그림 1), 중유역은 117개 소유역은 1,108개를 분석에 사용했다. 유역의 만곡도(하천의 실제길이 하천의 직선장) 산림의 비율(표준유역내 임지토양의 면적 / 소유역의 면적), 평탄지의 비율(표준유역내 평탄지의 비율 / 소유역의 면적), 다른 소유역으로부터의 유입이 있는지의 여부 등을 기본자료로 하였다. 이렇게 구분된 소유역은 유형적으로 보면 유사한 지형 및 토양특성에 따라 그룹화하였다. 유역내 평탄지가 유역면적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을 평야지로 구분하며, 유역내 평탄지가 25% 미만이고 경사지가 45% 이상인 중간지, 유역내 평탄지가 25% 미만이고, 경사지가 45% 미만인 곳을 산간지로 구분하였다. 경사지는 산악지와 구릉지를 제외하여 모든 소유역을 모암 유래토양특성에 따라 16유형, 농업지대에 따라 3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총 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런 분류의 토대위에 향후 필요분야마다 구분이 가능한 기후특성을 포함시킨다면 최종적으로는 모든 것이 해설될 수 있는 유역군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즉, 토양특징, 농업특징, 기후특징에 비점오염가능성 등 토지이용상 문제점등을 포괄한다면 다양한 자연현상을 기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유역군이 될 것이다.

  • PDF

Dummy의 주입과 회수시험에 의한 수리전도도 산출

  • 이병대;류상민;추창오;강래수;성익환;김용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70-573
    • /
    • 2003
  • 광산개발로 인한 지하수 유동체계 변형에 따른 주변환경 영향조사의 과정으로 충북 음성군 지역에서 야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과정중 연구지역의 지하수계를 이해하고 개발에 따른 지하수 유동체계 변화를 예측하고자 수행된 모델링의 입력인자 산정을 위해 순간충격시험을 실시하였다. 순간충격시험을 통해 수리전도도, 투수량계수 그리고 저류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dummy의 주입과 회수시 다르게 나타나는 수리전도도값의 원인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 PDF

토양 정밀 조사에 의한 폐광산 주변 토양의 오염 부지 특성 규명

  • 차종철;이정산;이민희;최정찬;김진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46-349
    • /
    • 2003
  • 광산 및 폐광산으로부터의 오염 및 유해영향에 대한 보고와 관심이 대두되면서 휴ㆍ폐광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북 군위군의 고로 폐광산 주변 중 광미 및 광폐석으로 오염된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하천 및 농경지에 대한 오염 정도와 분포를 규명하기 위하여 토양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토양 오염 정밀조사 지침에 따라 총 741개의 토양 시료 분석 결과 Cu, Cd, Pb은 토양오염 우려 기준에 훨씬 미치지 못하였지만 As는 표토 및 심토 구간(0-30cm)에서 토양 오염 우려 기준 농도를 상당 수 초과하여 하천 및 농경지의 복원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합리적인 복원물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배경치 농도(1.23mg/kg), 토양오염우려기준 40%농도(2.4mg/kg), 토양오염우려기준농도(6mg/kg), 토양오염대책기준농도(15mg/kg)별로 오염 등급을 나누어 오염 지도를 작성하고 각 등급별 복원목표에 따라 복원이 필요한 면적과 복원대상물량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오염토양의 복원을 목적으로 국내에서 최초로 실시된 대규모의 토양정밀조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 결과는 실제 고로 폐광산지역의 복원 사업설계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Habitat Characteristics of Saussurea chabyoungsanica (자병취의 생육지 특성)

  • Oh, Young-Ju;Paik, Weon-Ki;Lee, Woo-Chu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5 no.3 s.107
    • /
    • pp.145-152
    • /
    • 2002
  • Saussurea chabyoungsanica was recorded in new species by Lim Hyoung Tak in 1997.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tity of new species, we investigated the new distribution sites,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Additionally discovered distribution sites of S. chabyoungsanica were Manduckbong, Mt. Sukbyoung, Mt. Duckhang, and Sukgaejae, which were located on ridge of the Taebaek Mountains. Those sites are typical limestone zones of Korea and among them Sukgaejae belongs to lower great limestone area and Manduckbong, Mt. Sukbyoung and Mt. Duckhang belong to upper great limestone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phytosociological study, plant communities of S. chabyoungsanica were classified by 1 Community group, 4 Communities and 2 Subcommunities; Carex humilis var. nan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group in wide sens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Lespedeza maximowiczii-Saussurea chabyounsanica Community, Galium kinut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Salvia chanryonic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Zabelia corean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 analysis of habitat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site of S. chabyoungsanica was ridge of North aspect and displayed pH $7{\sim}8$ typical of limestone. Soil moisture content was high, whereas organic matter content was low. Considering its high occurrence in sites of $1{\sim}10cm$ in soil depth, and of $30{\sim}45%$ in relative light intensity, major distribution sites were outcrops and boundaries between shrubland and forest. After community division by vegetation structure in habitat of S. chabyoungsanica, we investigated characters of soil environment by community. As a result of PCA analysis of soil sample by community, it was possible to divide community by characters of soil environmental factor. The cumulative value of contribution rate represented in second dimension space was 73% and the major factors for that value were soil texture, organic matter content and field capacity.

Habitat Characteristics of Saussurea chabyoungsanica (자병취의 생육지 특성)

  • 백원기;오영주;이우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5 no.2
    • /
    • pp.75-82
    • /
    • 2002
  • Saussurea chabyoungsanica was recorded in new species by Lim Hyoung Tak in 1997.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tity of new species, we investigated the new distribution sites,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Additionally discovered distribution sites of S. chabyoungsanica were Manduckbong, Mt. Sukbyoung, Mt. Duckhang, and Sukgaejae, which were located on ridge of the Taebaek mountains. Those sites are typical limestone zones of Korea and among them Sukgaejae belongs to lower great limestone area and Manduckbong, Mt. Sukbyoung and Mt. Duckhang belong to uper great limestone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phytosociological study, plant communities of S. chabyoungsanica were classified by 1 Community group, 4 Communities and 2 Subcommunities; Carex humilis var. nana - 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group in wide sens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Lespedeza maximowiczii- 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Galium kinuta - Saussurea chabyongsanica Community, Saliva chanryonica - 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Zabelia coreana - 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 analysis of habitat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site of S. chabyoungsanica was ridge of North aspect and displayed pH 7∼8 typical of limestone. Soil moisture content was high, whereas organic matter content was low. Considering its high occurrence in sites of 1∼10cm in soil depth, and of 30∼45% in relative light intensity, major distribution sites were outcrops and boundaries between shrubland and forest. After community division by vegetation structure in habitat of S. chabyoungsanica, we investigated characters of soil environment by community. As a result of PCA analysis of soil sample by community, it was possible to divide community by characters of soil environmental factor. The cumulative value of contribution rate represented in second dimension space was 73% and the major factors for that value were soil texture, organic matter content and field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