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인태도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초

심리적 외상 경험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인식하는 대인관계 특성 비교 (The Differences of Interpersonal Experiences between Multicultural and Korean Children with PTSD Symptoms)

  • 고홍월;황매향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2호
    • /
    • pp.279-298
    • /
    • 2012
  • 이 연구는 심리적 외상(PTSD) 경험을 가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를 어떻게 다르게 인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97명의 다문화가정 아동과 110명의 일반가정 아동에게 PTSD 검사와 SCT검사를 실시하여, 심리적 외상 경험이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20명과 일반가정 아동 2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PTSD 점수와 SCT 반응에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는 총 42명 아동의 문장완성검사의 반응 내용을 분석하였다. 아동기의 중요한 타인인 아버지, 어머니, 형제자매, 친구, 교사 각각에 대한 아동의 응답내용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대인관계 속에서의 자아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요한 타인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비율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더 높았고, 중요한 타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비율에서는 일반가정 아동들이 더 높았다. 그리고 자아상에서는 90.9%의 일반가정 아동이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반면 다문화가정 아동은 55%만이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대인관계에 대한 부정적 및 중립적 경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일반가정 아동은 부모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비교적 많이 나타내는 반면 다문화가정 아동은 친구관계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많이 표출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다문화가정 아동은 부모를 국적으로 표현하는 것과 같이 부모에 대해 정서적 기술보다는 사실적 기술에 치우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PDF

캐릭터에 대한 태도, 대인 교류, 경쟁심, 신체 활동과 주의 전환이 모바일 증강 현실 게임 사용자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 characters, social interaction, competition, physical activity, and attention switching on user's attachment to a mobile augmented reality game)

  • 이규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43-149
    • /
    • 2020
  • 많은 사람들이 위치 기반 증강현실 게임인 포켓몬 고를 즐기고 있다. 본 연구는 애착의 관점에서 포켓몬 고의사용에 대해 분석한다. 온라인 설문 방식을 통해 총 182명의 포켓몬 고 사용자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캐릭터에 대한 태도, 대인 교류, 경쟁심, 신체 활동은 게임 애착을 증가시켰고, 주의 전환은 게임 애착을 감소시켰다. 연구 결과는 위치 기반 증강현실 게임 설계 및 운영에 있어서 원천 캐릭터의 중요성, 게임에 반영된 대인 교류와 경쟁심이라는 사회적 상호작용 요소, 신체 활동의 증가라는 혜택이 애착을 증가시키는 요소임을 제시한다. 또한, 사용자의 주의 전환은 게임에 대한 애착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이 사회적 욕구와 신체 활동을 통한 건강증진이라는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애착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어머니 양육태도, 아동의 자아개념이 아동의 친구 및 교사와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Self-concept on Children′s Relations with Friends and Teachers)

  • 장재숙;백경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1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a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self-concept on children's relations with friends and teachers.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children's self-concept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the children's relations with friends and leachers. The Subjects were 222 fourth year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Data were analyzed rising the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ther's rearing attitude did not directly influence children's relations with friends and teachers. But children's self-concept influenced the children's relations with friends and teachers. In particular children's self-concept appeared to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relations with friends and teachers.

요양보호사의 대인태도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terpersonal Attitude o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Care Workers for Frail Elderly)

  • 임승주;이여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2-120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attitude (I+, I-, U+, U-) o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care workers for frail elderly.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53 care workers for frail elderl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 interpersonal attitude style of subjects was I+U+, and the scor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3.5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attitude (I+, I-),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depending on age, education level, experience of personality type test (yes). Factors influencing o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care workers were interpersonal attitude (I+, I-, U+) and experience of personality type test with $R^2$ value of 48.5% (F=23.47 p<.001).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as I+ (${\beta}$=.36), followed by I- (${\beta}$=-.22), U+ (${\beta}$=.20), and experience of personality type test (yes) (${\beta}$=.16). Conclusion: It is needed to maintain the interpersonal attitude style (I+U+) of care workers.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is needed for increasing communication competence especially for those fifties and over, and experienced care workers. Giving an opportunity for personality test is helpful to increase communication competence in care workers.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effects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chool life adaptation on problem behavior)

  • 김지혜;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9
    • /
    • 2019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및 학교생활적응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하위요인별로 구체적으로 밝히고, 부모의 양육태도 및 학교생활적응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KCYPS)의 중1 패널 데이터 가운데 4차 자료(2013)인 고등학교 1학년생 총 2,017명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SPSS 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 과잉간섭, 과잉기대, 비일관성) 및 학교생활적응(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 학습활동),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우관계(-)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학습활동(-), 비일관성(+), 자아탄력성(-), 과잉간섭(+), 감독(-) 순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애정, 합리적 설명, 과잉기대, 교사관계, 학교규칙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긍정적인 양육태도, 부정적인 양육태도) 및 학교 생활적응(대인관계, 학교적응)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 대인관계, 학교적응 각각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에서는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긍정적인 양육태도, 부정적인 양육태도) 및 학교생활적응(대인관계, 학교적응)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전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가정과수업을 통한 안전교육의 일환으로 다양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대상관계적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U시>의 보호관찰 청소년을 대상으로- (Effect of Tea Culture Therapy Program Based on Object Rel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Juvenile Probationers : Focused on Juvenile Probationers in <U-city>)

  • 김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99-210
    • /
    • 2014
  •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비행을 예방하고 재범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사회적응에 있어서 핵심적 부분이라 볼 수 있는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대상관계적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을 통해 청소년들이 프로그램 참여 전후 대인관계에 어떤 변화과정을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질적 분석 및 양적 분석을 병행한 통합적 접근방식이 실행되었다. 프로그램 전체 단계에서 체계적 관찰을 통해 이루어진 질적 분석 결과, 청소년들의 태도, 적극적 참여 정도, 대인관계에 있어서의 진지함, 분노조절 및 감정의 이해 부분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양적 분석 결과,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비교에서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 등의 모든 대인관계 하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외모만족도,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Body-Image, and Self-Estee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김효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2-7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body-image, and self-estee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e subjects were 753 nursing students of three nursing colleges.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ollected from April 1 to May 31, 2011.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WIN (ver.12.0). Results: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ccording to gender, economic status and physical health status.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body-image and self-esteem.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showed physical health status, body-image and self-esteem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ese three predictors accounted for 37% of the varia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Conclusion: Physical health status, body-image and self-esteem were the predictors influ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erefor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배드민턴 동호인의 자아정체감 및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dminton Club Members' Self-identity and Ego-resili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 임철호;박종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19-327
    • /
    • 2020
  • 이 연구는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자아정체감 및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배드민턴의 저변확대 및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배드민턴 동호인 259명을 대상으로 상관관계분석,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아정체감과 자아탄력성 그리고 대인관계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분노조절, 처음관계맺기, 자기노출, 대인갈등 다루기의 몇몇 요인을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의 하위 요인 중 처음관계맺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 효율성, 미래확신성, 친밀성,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체성과 친밀성,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 효율성과 주체성, 정서적지지 및 조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체성과 낙관적 태도, 대인갈등 다루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분노조절과 자신감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드민턴 동호인의 자아정체감 및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은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시사된다.

대인관계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성인여성에 대한 에니어그램상담 단일사례연구 (A Single Case Study of Enneagram Counseling for Adult Women Experiencing Interpersonal Conflict)

  • 배나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93-298
    • /
    • 2022
  •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상담기법을 활용하여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여성을 상담한 사례연구이다. 에니어그램상담을 통해 내담자는 현재 직장에서 겪고 있는 대인관계 어려움에 대해 감정과 생각을 억압하지 않고 표현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으며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현재 과제를 중심으로 가장 힘들고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이 집착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대인관계의 어려움은 자아의 왜곡된 감정과 생각 등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에니어그램상담 과정 동안 내담자는 자신을 되돌아보며 새로운 의사소통방식을 이해하고, 자신감 회복을 위해 성격변화와 사회생활 속에서 교류방식 및 태도 변화를 실천하고 직장 동료와의 긍정적 관계형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과학영재들의 대인관계역량 분석 (An Analysis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School and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

  • 노현아;최재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83-39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의 대인관계역량이 서로 다른 집단에서 어떻게 나타나며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들의 대표 또래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대인관계역량과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6학년 12명, 중학교 1학년 34명, 중학교 2학년 26명으로 총 72명이었다. 이들에게 대인관계역량 검사도구의 동일한 문항에 대해 각각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자신의 상황을 구분하여 리커트 척도에 따라 응답하게 하였고, 하위역량별로 설문문항과 관련된 학교나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경험을 서술하게 하였다. 이후 과학영재들의 서술내용을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구성하여 연구 대상 중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들은 대인관계역량의 세 가지 역량인 관계형성, 리더십, 협동과 그 하위역량에서 학교에서의 평균이 과학영재교육원 평균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에서 높은 대인관계역량 점수를 보였으며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대인관계에 대해 다소 다른 행동과 태도를 보이며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과학영재교육원은 과학영재들이 과학지식과 같은 학문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일 뿐 만 아니라 관계형성이나 리더십 협동과 같은 사회적 영역까지도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영재들의 대인관계역량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