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용량

Search Result 4,84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초고속 대용량 라우터 기술

  • 이형호;이규호;주성순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7 no.2
    • /
    • pp.41-53
    • /
    • 2000
  • 본 고에서는 코아 백본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준으로 고성능, 대용량화한 고성능 라우터시스템을 초고속 대용량 라우터로 정의하고, 초고속 대용량 라우터에 포함되어야 할 기술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출시되었거나 출시 예정인 초고속 대용량 라우터 및 고성능 라우터시스템을 간단히 소개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XServer for Oracle-based Mass Map Services (Oracle 기반의 대용량 지도 서비스를 위한 XServer의 설계 및 구현)

  • Shin, Jung-Su;Kim, Dong-Oh;Kang, Hong-Koo;Park, Chun-Geol;Han, Ki-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47-54
    • /
    • 2005
  • 정보 사회가 발전하고 정보의 활용이 늘어남에 따라 공간 데이타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공간 데이타가 널리 활용됨에 따라 ESRI와 같은 다양한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y Information System)이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지리 정보 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을 위해 많은 기능을 제공함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대용량 공간 데이타에 대한 검색이 비효율적이다. 특히, 네트워크 환경이 발전하고 컴퓨팅 파워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대용량의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에서 기존의 지리 정보 시스템 적용 시공간 데이타 검색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정적인 상용 DBMS인 Oracle을 기반으로 대용량 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Oracle 기반의 대용량 지도 서비스를 위한 XServer를 설계 및 개발하였다. XServer는 다양한 클라이언트의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질의 처리 관리자, 대용량의 공간 데이타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한 공간 인덱스 관리자 및 데이타 버퍼 관리자, 대용량의 공간 데이타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서 Shape 화일에서 추출한 공간 데이타를 Oracle에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수입/수출 관리자와 DB 관리자로 구성되어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Oracle 기반의 대용량 지도 서비스를 위한 XServer와 Oracle Spatial을 비교함으로써 기능을 검증하고 성능의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PDF

Metadata Structrues of Huge Shared Disk File System for Large Files in GIS (GIS에서 대용량 파일을 위한 대용량 공유 디스크 파일시스템의 메타데이터 구조)

  • 김경배;이용주;박춘서;신범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0 no.1
    • /
    • pp.93-106
    • /
    • 2002
  • The traditional file system are designed to store and manage fur small size files. So. we cannot process the huge files relat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data using the traditional file system such as unix file system or linux file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metadata structures and management mechanisms for the large file system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proposed mechanisms use dynamic multi-level mode for large files and dynamic bitmap for huge file system. We implement the proposed mechanisms in the metadata structures of SANtopia is shared disk huge file system for storage area networks(SAN).

  • PDF

A Benchmarking of Large ABox Reasoners Based OWL (OWL 기반 대용량 ABox 추론 시스템 평가)

  • Seo, Eun-Seok;Park, Young-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346-351
    • /
    • 2006
  • 시맨틱 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과 더불어 관련 기술인 온톨로지와 이를 이용한 추론 기술 역시 이슈가 되고 있다. RacerPro, Pellet 등 지금까지의 전형적인 추론 시스템들은 주로 Tableaux Algorithm 기반의 추론 시스템으로 Tableaux Algorithm의 특성상 대용량 ABox 추론에서 문제점을 나타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로는 Tableaux Algorithm 기반의 Instance Store와 Disjunctive Datalog Approach를 사용한 KAON2가 있다. 이러한 추론 기술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각 추론 시스템들에 대한 평가는 부족하다. 현재 추론 시스템들의 벤치마킹은 대부분 Tableaux Algorithm 기반의 TBox 추론에 대한 것으로 ABox 추론 및 최근 이슈인 대용량 ABox 추론에 대한 평가는 특히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 추론 시스템들의 이론적 배경을 근간으로 지금까지의 전형적 추론엔진들과 최근 이슈에 따른 대용량 ABox 추론을 위한 시스템들을 이론적 비교를 통해 살펴보며, 특히 대용량 ABox 추론를 위한 시스템인 Instance Store와 KAON2를 LUBM을 사용하여 평가함으로 대용량 ABox 추론에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적절한 시스템을 제시한다.

  • PDF

Incremental Decision Tree Classifier Using Global Discretization For Large Dataset (전역적 범주화를 이용한 대용량 데이터를 위한 순차적 결정 트리 분류기)

  • 한경식;이수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352-354
    • /
    • 2002
  • 최근 들어,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결정 트리 생성 방법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대용량 데이터를 위한 대부분의 알고리즘은 일괄처리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새로운 예제가 추가되면 이 예제를 반영한 결정 트리를 생성하기 위해 처음부터 다시 재생성해야 한다. 이러한 재생성에 따른 비용문제에 보다 효율적인 접근 방법은 결정 트리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접근 방법이다.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BOAT와 ITI를 들 수 있다. BOAT는 대용량 데이터를 지원하는 순차적 알고리즘이 지만 분할 포인트가 노드에서 유지하는 신뢰구간을 넘어서는 경우와 분할 변수가 변경되면 그에 영향을 받는 부분은 다시 생성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이에 반해 ITI는 분할 포인트 변경과 분할 변수 변경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지만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지 못해 오늘날의 순차적인 트리 생성 기법으로 적합하지 못하다. 본 논문은 ITI의 기본적인 트리 재구조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지 못하는 ITI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역적 범주화 기법을 이용한 접근방법을 제안한다.

  • PDF

대용량 고속전동기의 제작 <6P-500HP, 2P-4500HP 외>

  • 피재년;홍성일;박태용
    • 전기의세계
    • /
    • v.39 no.9
    • /
    • pp.46-53
    • /
    • 1990
  • 대용량 고속기의 경우는 기계적인 강성, 냉각, 열적해석, BALANCING(진동), 소음, 축의 위험속도 처리등의 이론적 해석과 이것의 응용 및 이론을 근거로한 체계화된 제조기술의 KNOW HOW에 따라 성공여부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겠다. 금번 패사의 대용량 고속기의 제작으로 국내적으로는 지금까지 수입에만 의존해온던 화력, 열병합 발전소, 제철, 제강, 시멘트 등의 대용량 부하가 요구되는 산업장의 대용량 및 고속전동기의 국산화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국외적으로는 일본 및 구미지역으로도 수출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보아진다. 그러나 국내 각 산업장의 대용량, 고속기의 국산화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국산화로의 전향적인 자세와 MAKER의 기술력이 부합될 때에만 가능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이 향후 국내 중전기 업계의 기술 발전의 향방을 가름한다고 할 수 있겠다. 또 고장력 규소강판, 축재, ENDRING소재, ROTOR BAR, BEARING등 중요자재의 국내 구입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납기, 가격에 관계없이 국내 제작 자체가 불가능한 품목도 있었다. 앞으로 중전기기 업계는 이러한 어려움을 공감하고 소재 및 부품(완제품) MAKER의 공동 개발 및 육성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Mass Memory Operation for Telemetry Processing of LEO Satellite (저궤도위성 원격측정 데이터 처리를 위한 대용량 메모리 운용)

  • Chae, Dong-Seok;Yang, Seung-Eun;Cheon, Yee-Ji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1 no.2
    • /
    • pp.73-79
    • /
    • 2012
  • Because the contact time between satellite and ground station is very limited in LEO (Low Earth Orbit) satellite, all telemetry data generated on spacecraft bus are stored in a mass memory and downlinked to the ground together with real time data during the contact time. The mass memory is initialized in the first system initialization phase and the page status of each memory block is generated step by step.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ystem initialization, the telemetry data are continuously stored and the stored data are played back to the ground by command. And the memory scrubbing is periodically performed for correction of single bit error which can be generated on harsh space environment. This paper introduces the mass memory operation method for telemetry processing of LEO satellite. It includes a general mass memory data structure, the methods of mass memory initialization, scrubbing, data storage and downlink, and mass memory management of primary and redundant mass memory.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arge-Volume Scalable Spatial Data for VWorld Desktop (브이월드 데스크톱을 위한 대용량 공간정보 데이터 지원 방안 연구)

  • Kang, Ji-Hun;Kim, Hyeon-Deok;Kim, Jung-Ok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5 no.1
    • /
    • pp.169-179
    • /
    • 2015
  • Recently, as the amount of data increases rapidly,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entered the 'Big Data' era, dealing with large-volume of data at once. In the spatial field, a spatial data service technology is required to use that various and big amount of data. In this study, firstly, we explained the technology of typical spatial information data services abroad, and then we have developed large KML data processing techniques those can be applied as KML format to VWorld desktop. The test was conducted using a large KML data in order to verify the development KML partitioned methods and tools. As a result, the index file and the divided files are produced and it was visible in VWorld desktop.

고내압$\cdot$대용량 GCT 사이리스터와 그 응용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55
    • /
    • pp.76-83
    • /
    • 1998
  • 대용량 파워일렉트로닉스기기의 보다 대용량화$\cdot$소형경량화 및 저손실화 요구에 응하기 위하여 조지전압 4.5KV, 가제어전류 4KA의 고내압$\cdot$대용량 CGT(gate commutated turn-off : 게이트 전류형 턴오프) 사이리스터를 개발하여 상품화하였다. GCT사이리스터는 대용량 파워일렉트로닉스기기의 키파트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GTO(Gate turn-off)사이리스터와 Turn-on동작이 같고 gto사이리스터의 이점이 저On전압특성을 그대로 갖는 한편 턴오프동작은 ''턴오프 게인이 1''인 새로운 원리에 기초하고 있으며 턴오프특성에서는 GTO사이리스터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있다. (1)GTO사이리스터응용에서 턴오프시 dv/dt를 억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스나버회로가 없어도 턴오프동작이 가능하다. (2)축적시간을 종래 GTO사이리스터의 약 1/10로 저감할 수 있다. (3)게이트축적전하를 종래의 GTO사이리스터의 약 1/2로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턴오프특성에 의하여 GCT사이리스터는 대용량 파워 일렉트로니스기기에 스나버회로 손실발생의 억제에 의한 손실의 저감, 고속동작화, 직병렬접속 응용에 의한 대용량화의 용이성, 게이트구동회로의 용량을 반감하는 등 많은 메리트를 가져다 준다.

  • PDF

A Dual Module DC-DC Converter with Six switches for High Power Capacity (대용량 정류기용 Dual Module DC-DC 컨버터 Topology 연구)

  • 계문호;김성철;조기연;김은수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1997.07a
    • /
    • pp.276-279
    • /
    • 1997
  • 본 논문은 통신용전원장치와 같은 대용량의 DC 전원 장치에 적용하기 위하여 3상용 6 Switch로 구성된 Bridge로써 대용량 DC-DC converter에 적합한 Topology에 관한 것이다. 기본 동작은 기존의 Phase shifted ZVS PWM 방식을 사용하며, Bridge의 바깥쪽 양쪽암의 펄스폭을 제어하는데, 같은 펄스를 동시에 주는 방식과 각각 별도로 제어하는 방식, 두암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방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제안된 Topology들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그 동작특성을 확인하였고, 대용량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치의 용량은 출력 500[A]/30[V] 회로를 구성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