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상집단

Search Result 5,58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Effect of Vestibular Stimulation Activity on Visual Percep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Age of Twenties (20대 대학생에서 전정계 자극 활동이 시 지각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Ki-Hoon, Hong;So-Young, Hong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7 no.1
    • /
    • pp.1-8
    • /
    • 2017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vestibular stimulation activity on visual perception. Methods : A total of 58 healthy adults in chungnam w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 divided into the total 3 groups and studied. Group A was no vestibular stimulation, they sat on general chair and performed the visual perception task. Group B and C sat on general chair and ball chair respectively, after vestibular stimulation activity and they performed visual perception task. I measured the visual perception task with the time.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B and 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B and C. Conclusion : The result shows that the vestibular stimulation activity is effective for an improvement in visual perception.

The Effects of an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on the Stress Recognition and the Stress Cop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 Kim, Kwang-Soo;Kim, Mi-Seo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 /
    • v.7 no.2
    • /
    • pp.141-158
    • /
    • 2008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on the stress recognition and stress cop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4 fourth grade students who were selected based on the level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ss recognition(level under the mea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each group had 12 students.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group increased in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ub-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thought promotion)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in the level of stress recognition and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ub-areas of stress recognition(parents, family environment, friends, schoolworks)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n stress coping and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ub-areas of stress coping(active coping, passive/avoidant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show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the change of stress recognition and stress cop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PDF

기업평가모형의 적합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Kim, Cheol-Ju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5 no.1
    • /
    • pp.19-47
    • /
    • 1999
  • 본 연구는 기업가치 추정모형인 EVA모형과 FCFF모형의 적합성을 한국주식시장을 대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1992년$\sim$1996년의 5년간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제주가와 이론주가간에 음(-)의 괴리율을 갖는 집단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은 EVA 모형 기준인 경우 40일$\sim$60일간에 유의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FCFF모형의 경우 1일$\sim$20일간에 유의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주가와 이론주가간에 양(+)의 괴리율을 갖는 집단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은 EVA모형 기준인 경우 21일$\sim$40일간에 유의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FCFF모형 기준인 경우 1일$\sim$20일간에 유의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또한 EVA모형과 FCFF모형 모두에서 음(-)의 괴리율집단과 양(+)의 괴리율집단간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은 기준일 이후 유의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EVA모형과 FCFF모형으로 평가한 결과는 반영시점이 다소 차이가 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된 주식은 기준일 이후 가격이 상승하고 상대적으로 과대 평가된 주식은 기준일 이후 하락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사실은 제한적이지만 절대가치평가모형이 한국주식시장에서 어느 정도 적합성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PDF

An Estimation of Driving Aptitude Effect on Traffic Safety (운전적성결손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박영욱;전경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1
    • /
    • pp.139-148
    • /
    • 2001
  • 본 연구는 교통사고 야기 자들의 운전정밀적성검사기록과 해당 교통사고기록을 비교하여 특정 운전적성상의 결손이 교통사고와 특정유형의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발하는 인적요인에 의한 교통사고 유형 중에서 교통상충이 빈발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차-대-차 사고를 조사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와 같이 분석대상사고를 선정한 이유는 교통상충이 교통사고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사고 제1당사자의 운전적성의 역할을 파악하고자하는 목적에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교통사고 유형을 1. 교차로 진입부에서의 추돌사고, 2. 교차로내 충추돌사고, 3. 단일로상의 추돌사고로 선정하였다. 판별력이 의문시되는 4개 항목을 제외한 조사분석결과에서 하나의 항목을 제외하고 사고 야기자와 일반인의 운전적성상에 통계적으로 분명한 차이가 있으며 각 항목의 결손자 집단에서의 사고자 비율이 일반운전자 집단에 비해 교통사고를 경험한 확률이 2배 내지 4배 가량 높았다. 또한 특정 유형 사고 야기자와 사고 야기자 전체, 일반운전자 집단간 비교에서도 항목별 결손율이 분명한 다른 형태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특정유형의 결손(조합)자 집합에서 특정 교통사고 유형을 야기시켰을 확률이 일반인 집단에 비해 많게는 13배 적게는 3, 4배 정도 높다고 추정되었다.

  • PDF

탐구학습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태도와 창의성 변화 연구

  • Lee, Gang-Seop;Kim, Jong-Gy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127-13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탐구학습 과정에서 수학적 태도와 수학 창의성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방법에 탐구학습을 투여한 학습집단은 일반 학습집단보다 수학 창의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05). 둘째, 탐구학습 집단과 일반학습 집단의 수학적 태도는 사전 및 사후의 두 검사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 PDF

The Isozyme Variations of Euphaedusa fusaniana in Korea (한국산 부산입술대고둥 (Euphaedusa fusaniana)의 아이소자임 변이)

  • 황보학;이준상;조동현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9 no.1
    • /
    • pp.39-45
    • /
    • 1993
  • 한국산 부산입술대고둥의 지역 집단간에 있어 유전적 변이, 종내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애월, 세화, 삼척, 통도사, 거문도 및 여수 지역에서 채집한 총 180개체를 대상으로 전기영동을 실시하였고 여기서 나타난 16개의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각 집단의 유전전 변이 정도를 조사한 결과 전 집단의 평균 대립인자 수 (A)는 1.528이고, 평균 다형형의 빈도(P)는 45.5%이며, 평균이형접합자(H$_{D}$)는 0.205로 나타났다. 이중 삼척집단의 대립인자 수는 1.46으로 가장 낮고, 애월집단의 다형형의 빈도는 28.58%, 통도사의집단은 57.14%로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각 집단간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6개 집단간의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0.716이었고, 애월과 삼척집단은 0.903으로 가장 가까운 유전적 유연관계를 4보여주고 있다. 여수집단과 삼척집단의 유전적 유연관계는 0.562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Nei의 공식에 따라 각 집단의 유전적 차이치(D)를 계산한 결과 평균D값은 0.267이며, 이중 애월과 삼척집단이 0.067로 가장 가깝게 나타났고 이는 Roger에 의한 유전적 근연관계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 PDF

THE DIAGNOSTIC UTILITY OF THE RORSCHACH SCHIZOPHRENIA/DEPRESSION/COPING DEFICIT INDEX IN CHILD-ADOLESCENT PARENT GROUPS (아동 및 청소년 환자군의 Rorschach검사 Schizophrenia/Depression/Coping Deficit Index의 진단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 Seo, Soo-Gyoon;Shin, Min-Sup;Kim, Zoong-Sool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9 no.2
    • /
    • pp.190-197
    • /
    • 1998
  • Objectives: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utility of the Rorschach schizophrenia/depression/coping deficite index in child-adolescent parent groups(schizophrenia, depression,depressive conduct disorder). Methods:Three child-adolescent parent groups(schizophrenia(18), depression(20), depressive conduct disorder(19)) were individyally assessed using the Rorschach test and schizophrenia/depression/coping deficite index scores were analyzed. Results: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on only SCZI and significantly higher SCZI score of schizophrenia group than other two groups. When the critical value of SCZI was 4, diagnostic hit rate was 96.5%, and when the critical value of DEPI was 3, diagnostic hit rate was 57.9%, and when the critical value of CDI was 4, diagnostic hit rate was 66.6%.

  • PDF

A study on current situation of self-help group program in community-bas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자조집단 운영 현황)

  • Park, Jeong Sook;Kwon, Sang-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8
    • /
    • pp.449-45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sis self-help group program performed in community-bas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The data was collected public servants from the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of 253 public health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and was analyzed by SPSS/Win 17.0 program. 43.1% of self-help program was performed and 56.9% was not from year 2007 to 2010. As the years passed, the number of self-help group program was getting increased. The action for activating self-help programs was voluntary participation of clients, enthusiasm of management practitioner, and encouragement about self-help group. Self-help group programs based on public health center are insufficient. Self-help programs should be activated for clients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A systematic operating model of self-help group is also needed to develop and apply in consideration of these findings.

Analysis of Changes in Sociality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Depending on LT Cooperative Learning (LT 협동학습에 따른 초등 정보영재의 사회성 변화 분석)

  • Kang, Oh-Ha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1 no.1
    • /
    • pp.23-30
    • /
    • 2018
  • In this paper, the elementary students from the Information class of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two groups took Scratch programming classes and the changes in their sociality were analyzed.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Scratch remix function,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to perform the LT cooperative learning. The control group took general instructor-led classes.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a team project in which learners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produce certain results using the remix function. Twelve 3-hour lessons were taken by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sisting of 30 and 30 students respectively to verify changes depending on remix-based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t-test using the survey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cooperative learning using the Scratch remix function showed more improved sociality than the control group di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