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hanges in Sociality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Depending on LT Cooperative Learning

LT 협동학습에 따른 초등 정보영재의 사회성 변화 분석

  • 강오한 (안동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7.12.22
  • Accepted : 2018.01.26
  • Published : 2018.01.31

Abstract

In this paper, the elementary students from the Information class of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two groups took Scratch programming classes and the changes in their sociality were analyzed.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Scratch remix function,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to perform the LT cooperative learning. The control group took general instructor-led classes.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a team project in which learners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produce certain results using the remix function. Twelve 3-hour lessons were taken by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sisting of 30 and 30 students respectively to verify changes depending on remix-based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t-test using the survey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cooperative learning using the Scratch remix function showed more improved sociality than the control group di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본 논문에서는 과학영재교육원 초등 정보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한 후 사회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의 리믹스 기능을 사용하여 LT 모형의 협동학습을 수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모둠 단위의 결과물을 생성하기 위해 리믹스 기능으로 동료 학습자들과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제작하였다. 리믹스 기반의 협동학습에 따른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을 대상으로 각각 12차시 총 36시수의 학습을 진행하였다. 설문결과를 사용한 t-test 분석에 따르면, 스크래치의 리믹스 기능을 활용하여 협동학습을 수행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회성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2. 유호정 (2009). 웹2.0을 활용한 협동학습의 구안.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강명희.김민정.김혜정.엄소연.정혜윤 (2010). 웹기반 협력학습의 상호작용 및 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협력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예측력 규명. 교육학연구, 48(1), 157-180.
  4. D.W. Johnson, R.T. Johnson, (1998).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5th ed.). Pearson.
  5. 정문성 (2006).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서울: 교육과학사.
  6. M. Resnick, et.al., (2009). Scratch: Programming for All "Digital fluency" should mean designing, creating, and remixing, not just browsing, chatting, and interacting. ACM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52(11), 60-67.
  7. A. Monroy-Hernandez, (2012). Designing for Remixing: Supporting an Online Community of Amateur Creators. PhD dissertation, MIT Media Lab.
  8. 신희정 (2000).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9. 김민서 (2012).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참여가 사교성, 자주성, 준법성,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10. 전성균.이영준 (2015). LT 협동학습 기반의 앱 인벤터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2), 1-9.
  11. 정은이 (2003). 개별.협동학습에 따른 창의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 개발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7(1), 281-297.
  12. 류충규.이철현 (2011).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1), 149-169.
  13. 김태훈.김종훈 (2014).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중심의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6), 49-58.
  14. B.M. Hill and A. Monroy-Hernandez, (2013). The cost of collaboration for code and art: Evidence from a remixing community. Proc. of ACM Conf.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CSCW '13). San Antonio, Texas, USA: ACM. 1035-1046.
  15. 강오한 (2017).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2017년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1(2), 185-188.
  16. 강오한 (2017). 스크래치를 활용한 LT 협동학습이 초등정보영재의 민주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과학영재교육, 9(1), 61-70.
  17. 김병년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4), 208-217.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208
  18. 장일권.정병국 (2004).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종합연구, 2(2), 285-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