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n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on the Stress Recognition and the Stress Cop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8.10.15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on the stress recognition and stress cop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4 fourth grade students who were selected based on the level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ss recognition(level under the mea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each group had 12 students.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group increased in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ub-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thought promotion)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in the level of stress recognition and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ub-areas of stress recognition(parents, family environment, friends, schoolworks)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n stress coping and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ub-areas of stress coping(active coping, passive/avoidant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show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the change of stress recognition and stress cop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경기도 S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스트레스 인식 수준은 높고,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낮은 아동대상 중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아동 24명을 각각 12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매주 2회씩 총 10회에 걸쳐 방과 후 시간에 50분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처치 하였다. 실험처치후 집단간 정서지능 검사와 스트레스 인식 검사, 스트레스 대처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실험집단 아동의 프로그램 평가 및 소감문, 교사의 관찰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정서지능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미있게 향상되었으며 정서지능의 하위변인인 정서인식 및 표현과 사고촉진, 정서조절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인식 수준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미있게 감소되었으며 스트레스 인식 수준의 하위영역 중 부모, 가정환경, 친구, 학업의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참여아동의 소감문, 프로그램 평가결과, 교사의 관찰기록 내용 분석에 의해 지지되고 보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이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과의 관계를 중재하는 변수임을 시사해주며, 정서지능 향상을 통한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대처에 변화를 가져오는 구체적 한 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