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리석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9초

폐대리석 분말을 혼입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특성 (A Study on Properties of High Fluidity Concrete adding Waste Marble Powder)

  • 정의창;이용무;김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62-26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high fluidity concrete adding waste marble powder. A change in the replacement ratios of waste marble powder was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 and slump flow, O-Lot and U-Box. Waste marble powder has replaced binder of high fluidity concrete at certain contents of 0~20%. As a results, Slump flow, O-Lot and U-box adding waste marble powder up to 10% have increased by adding waste marble powder. As the concrete with a replacement ratio of waste marble powder up to 10% was found to have a compressive strength superior to that of plain.

  • PDF

폐 대리석 분말을 활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특성 (A Study on Properties of Self-Compacting Concrete with waste marble powder)

  • 정의창;이용무;김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6-77
    • /
    • 2013
  • The paper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elf-compacting concrete with waste marble powder. A change in the replacement ratio s of waste marble powder was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 and slump flow, U-Box. As a results, Slump flow and U-box using waste marble powder tend to increase slump flow and compacting with replacement ratio. As the concrete with a replacement ratio of copper slag up to 10% was found to have a compressive strength superior to that of plain.

  • PDF

대리석 패턴의 적용 유형에 관한 연구 -CMF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Types of Marble Patterns -Focusing on the Components of CMF Design-)

  • 강해영;이필하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1호
    • /
    • pp.1-15
    • /
    • 2021
  • Consumption value has widened, not only in functional but also aesthetic aspects, and consumers have started to find products that are more individual and emotional. The pattern of natural motifs meets the needs of consumers, and the marble is also widely used in patterns as one of the natural motifs. In this study, we analyzed many fashion items and other products with marble patterns based on the elements of CMF design, which are important points in merchandise design. For research, data on marble and its patterns have been found in professional books about marble. Foreign and domestic cases were investigated from well-known design exhibitions.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 the potential for pattern representation that stimulates consumers' senses by using color or material to express a variety of visual patterns, and using many finishing methods to express textured patterns. However, most of the domestic cases have only imitated the visual features of marble patterns, and very few have expanded the scope of the use of the patterns. A domestic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only on the chemical features of marble, while research on the color and design of the visual aspects has been conducted passively. Therefore, This study will attribute designers to come up with creative pattern design and secure many consumers. Above all, we hope that the expansion of material representations will help designers break away from today's stereotyp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and emotional expression.

함산소불소화 처리된 그래핀 산화물 플레이크가 PMMA 인조대리석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xyfluorinated Graphene Oxide Flak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MMA Artificial Marbles)

  • 김효철;전소녀;김형일;이영석;홍민혁;최기섭
    • 폴리머
    • /
    • 제36권3호
    • /
    • pp.251-261
    • /
    • 2012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매트릭스를 갖는 인조대리석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그래핀 산화물 플레이크(GOF)를 충전제로 사용하여 나노컴포지트를 제조하였다. 충전제로 사용한 GOF는 흑연을 Hummers법으로 산화한 후 열처리에 의해 박리시켜 제조하였다. PMMA 매트릭스와의 계면혼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산소:불소 조성의 함산소불소화 처리로 GOF 계면을 개질시켰다. 산소함량 50% 이상에서 함산소불소화 처리한 GOF를 충전제로 사용한 나노컴포지트는 기존 인조대리석에 비해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Rockwell경도, Barcol경도, Izod충격강도 모두 현저히 증가하였다. 적절히 함산소불소화 처리된 GOF는 PMMA 매트릭스와의 계면접착력이 우수함을 파단면의 모폴로지로부터 확인하였다. 하지만 GOF 충전제의 함량이 0.07 phr 이상으로 증가하면 충전제의 분산이 균일하지 못하여 인조대리석의 기계적 강도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경량칸막이 벽체재료의 수열온도에 따른 전도 열전달 특성 연구 (Study on the Conduc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of Lightweight Panel Wall material)

  • 박상민;이호성;최수길;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46-56
    • /
    • 2018
  • 본 논문은 경량칸막이 벽체재료의 수열온도에 따른 전도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경량칸막이 벽체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소재인 일반석고보드, 방화석고보드를 포함하여 합판, 대리석, 내열유리를 실험시료로 선정하였고, 수열온도를 $100^{\circ}C$, $200^{\circ}C$, $300^{\circ}C$, $400^{\circ}C$, $500^{\circ}C$, $600^{\circ}C$로 설정하였다. 그 후 벽체재료 하단부에 각각의 수열온도를 30분 동안 인가하여 상단부인 이면부로의 전도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수열온도가 최대 $600^{\circ}C$로 인가됨에 따라 최대 이면온도는 일반석고보드 $190^{\circ}C$, 방화석고보드 $198^{\circ}C$, 합판 $189^{\circ}C$, 대리석 $321^{\circ}C$, 내열유리 $418^{\circ}C$까지 측정되었다. 또한, 수열온도가 최대 $600^{\circ}C$로 인가됨에 따라 전도 열전달율의 최대 변화폭은 일반석고보드 85 W, 방화 석고보드 95 W, 합판 67 W, 대리석 1686 W, 내열유리 3196 W 까지 측정되었다. 추가적으로 전도 열전달의 위험성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벽지의 탄화특성 측정결과 수열온도 $600^{\circ}C$의 경우 부착된 벽지의 최초연기발생은 일반석고 보드 1021 s, 방화석고보드 978 s, 합판 1395 s, 대리석 167 s, 내열유리 20 s에 나타났고, 최초탄화발생은 일반석고보드 1115 s, 방화석고보드 1089 s, 합판 1489 s, 대리석 192 s, 내열유리 36 s에 나타났다.

응력수준에 따른 암석의 손상기준 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Damage Thresholds in Rock at Different Stress Levels)

  • 장수호;이정인
    • 화약ㆍ발파
    • /
    • 제23권4호
    • /
    • pp.31-44
    • /
    • 2005
  • 높은 현지응력 조건하에서는 굴착 후에 응력 재분배와 응력 교란에 의해 발생하는 터널 주변의 손상영역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암석의 변형 및 파괴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소균열들의 전파와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암석의 파괴 및 손상 메커니즘을 점이동 회귀분석 기법과 단축압축시험 동안 측정된 미소파괴음으로부터 조사하고자 하였다. 특히 암석의 손상기준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수정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였고 성공적으로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황등화강암과 여산대리석 모두에서 균열개시응력과 균열손상응력은 단축압축강도의 각각 $33{\~}36\%$$84{\~}89\%$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산대리석에서 정규화한 균열닫힘응력 수준은 황등화강암과 비교할 때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황등화강암에서 발생한 축방향 변형은 탄성변형 단계와 초기 미소균열 발생 과정에서 크게 발생하였다. 하지만 여산대리석에서 발생한 축방향 변형은 초기 균열들의 닫힘과 불안정한 균열전파에 의해 주로 발생하였다. 반면 단축압축조건하에서 암석의 횡방향 변형은 거의 대부분 균열손상응력 수준 이후에 발생하는 불안정한 균열전파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l(OH)_3$ 함유(含有) 인조대리석폐기물(人造大理石廢棄物)로부터 제조(製造)된 알루미나 분말(粉末)의 특성(特性) 및 소결거동(燒結擧動) 연구(硏究) (The Characterization and Sintering Behavior of Alumina Powder Prepared by Heat-treatment of Artificial Marble Waste Containing $Al(OH)_3$ Powder)

  • 류성수;서성규;김형태;김형준;박준규;양재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2호
    • /
    • pp.69-7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수산화 알루미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인조대리석 폐기물을 폐광산지역의 지하수 및 지표수 등에서 검출되는 유해중금속 제거용으로 재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폐기물을 $550^{\circ}C$에서 $1000^{\circ}C$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하여 알루미나 분말을 추출하였으며, 이렇게 얻어진 열처리분말에 대해 온도에 따른 상변화를 XRD를 통해 분석하고, 비표면적 측정, SEM 분석 등을 통해 분말의 특성을 조사하고, 중금속인 비소의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열처리된 알루미나 산화물 분말이 중금속 처리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열처리분말의 구성성분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열처리 분말 성형체를 소결한 결과, $1200^{\circ}C$ 이하에서 60% 이상의 높은 기공률을 가진 펠렛을 제조할 수 있었으며, 소결조제인 glass 분말의 첨가에 의해 $900^{\circ}C$의 낮은 소결온도에서도 기공률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높은 비소흡착률을 가지는 시편을 제조할 수 있었다.

PVA필름 제조 기술 확보 및 국산화 성공

  • 류원석;신재균
    • 월간포장계
    • /
    • 통권154호
    • /
    • pp.108-109
    • /
    • 2006
  • PVA필름은 휴대폰, 카메라폰, 컴퓨터모니터, LCD TV등 편광필름이 사용되는 TFT-LCD 제품에는 반드시 필요한 핵심부품으로, 최근 인조대리석 제조용 필름, 분리필름, 내(耐)산소투과성 포장필름 등에도 활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신소재이다. 그러나 PVA필름은 일본이 PVA특성조절기술을 갖고 있어 그동안 일본에서 전량 수입해 사용해 온 것이 현실. 지난 1990년 설립된 이래, 국내 최초로 순수국내 기술로 고온수용성 부직포를 개발하며, 생산해 온 (주)텍스테크(대표이사 신재균)가 폐 부직포를 재활용해 LCD용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 업계의 주목을 끌고 있다. 신재균 사장을 만나 폐부직포를 이용한 PVA 필름제조 기술개발 경위와 기대효과를 들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