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권

Search Result 699, Processing Time 0.07 seconds

Variation of Stratospheric Ozone above Seoul during Winter 2002 (2002년 겨울의 서울 상공의 오존농도변화)

  • 박인희;가수현;김경희;오정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444-446
    • /
    • 2002
  • 오존은 성층권에 대부분 존재하며, 25-30km부근에서 최대 밀도를 이루고 있다. 오존층이 자외선과 그 밖의 태양복사에너지를 흡수함에 따라 성층권의 열의 근원이 되어 지구 대기 순환에 영향을 준다. 즉, 오존층이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지구의 동식물들은 그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서 남극에서 오존홀이 발견되고, 이 오존홀이 계속 커진다면 피해가 증가할 것이다 이 같은 상황으로 볼 때 오존의 대한 연구 필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광주지역 일부 주유소 분진중의 중금속 원소함량과 지구화학적 연구

  • 이한별;윤정한;이종운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26-229
    • /
    • 2003
  • 산업이 발달하고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중금속들이 인위적으로 생성, 배출되며 이들은 대기, 물 등의 이동 매체를 통하여 대기권, 수권, 토양권을 포함하는 지구화학적 환경으로 광범위하게 분산된다 이러한 중금속은 토양 오염 및 수질오염을 유발시키며 특히 토양과 분진 중의 중금속오염은 심각한 환경 오염현상 중의 하나이다. 도시에서의 분진 및 토양에 산재된 중금속류의 성질은 산업활동량, 인구밀집도, 자동차, 폐기물 등에 따라 그 원인이 다양하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the Stratospheric Ozone and the Surface Damaging UV-B Radiation in Pohang (포항 지역의 성층권 오존 및 지표 유해 자외선 특성)

  • 정성래;오재호;최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307-308
    • /
    • 1999
  • 오존전량은 대류권계면 고도[Hoinka at al., 19961, 기온과 지위 고도[Spankuch and Schulz, 1995], 잠재 와도[Vaughan and Price, 1991] 또는 상대 와도와 같은 기상 변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성층권 오존량의 감소는 지표 유해자외선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예: 조회구 등 1998; Zerefos et al. 1997).(중략)

  • PDF

Analysis of Trifluoroacetic acid by GC/FID (GC/FID를 이용한 Trifluoroacetic acid의 분석)

  • 노경록;홍영민;김만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31-332
    • /
    • 2001
  • CFCs는 가정 제품과 공업적 과정에서 발포제와 냉매제로 오랜 기간 사용되었다. 1974년, CFCs는 Molina와 Rowland에 의해 성층권 오존의 고갈 요인으로 인식되었고,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의 기여물질로써 관련되어 지고 있다. CFCs의 세계적인 생산은 Montreal 의정서와 그 개정안에 의해 점차 폐지되었고, 대체 물질로 HCFCs와 HFCs가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다. 수소의 존재는 대체 물질의 대류권 산화를 가능하게 했고, 대체로 성층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중략)

  • PDF

Comparison of Measured Currents from Electrical Cascade Impactor (ECI) and ELPI (전기적 다단임팩터(ECI)와 ELPI의 측정 전류값 비교 연구)

  • 권순박;박현설;정정선;이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22-323
    • /
    • 2002
  • 다단임팩터와 입자하전기, 전류측정기를 결합하여 입자상물질의 크기분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기초적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수행되었으며, 다단임팩터의 성능평가 결과는 권순박 등(2002a)이 발표하였으며, 입자하전기에 대한 성능평가결과는 권순박 등(2002b)이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단임팩터와 입자하전기 및 전류측정장치를 결합하여 입자상물질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측정장치를 개발하였다. (중략)

  • PDF

자기폭풍이 일어나면 이온권에서는 "보통" 어떤 일이 생길까?

  • Ji, Geon-Hwa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39.3-39.3
    • /
    • 2009
  • 우주기상현상에서 자기폭풍은 태양으로부터 태양풍, 지구 자기권, 고층대기를 모두 포함하는 매우 복잡한 현상인데, 이들 중 자기폭풍이 고층대기 이온권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자기폭풍이 이온권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는 대부분 어떤 특정한 자기폭풍이 일어났을 때 이온권에 나타나는 변화의 관측자료 분석이나 모델링을 통한 연구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자기폭풍이 일어나면 보통 이온권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답을 주지는 못한다. 한편, 이온권은 시간, 위치, 태양 및 지자기 활동 등의 변화에 따라 일반적인 변화경향을 보일 수 있는데, 이러한 물리적 조건 중 지자기활동이 변화할 때, 즉 자기폭풍이 발생할 때 이온권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는 자기폭풍의 영향이 다양한 조건에서 대단히 복잡한 패턴을 가지고 있어 간단히 일반화하기 어렵기 때문인데, 장기간의 이온권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자기폭풍이 얼어났을 때 공통으로 나타나는 이온권 변화를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장기간에 걸쳐 전지구적인 이온권 관측이 수행되고 있는데, GPS나 TOPEX/JASON 위성 등에서 이온권 총 전자량이 관측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관측 자료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자기폭풍에 의한 이온권 변화의 일반적인 경향을 체계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id- and Low-Latitude Earth Ionospheric Phenomena and Current Status of Research (중·저위도 지구 전리권 현상 및 연구 현황 )

  • Eojin Kim;Ki-nam Kim
    • Journal of Sp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 /
    • v.3 no.3
    • /
    • pp.239-256
    • /
    • 2023
  • The Earth's ionosphere is an area where part of the upper atmosphere is ionized and exists in a plasma state that affects radio waves. It is a field that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as it directly affects real life in relation to communications. Depending on the altitude, it is divided into D, E, and F layers depending on the main ions that make up the electron density. The density of the neutral atmosphere is very large compared to the electron density, so it should be described as plasma taking that effect into account. It is an area where influences from outside the ionosphere are directly reflected, starting from the sun and extending to the earth's surface, and is a field that involves complex and diverse areas of research.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process by which the Earth's upper atmosphere is ionized to form the ionosphere and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onosphere at low and mid-latitudes. In addition, we introduce the research that domestic researchers have participated in related to the ionosphere to date and hope that it will be used to promote exchange in the field of ionospheric research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