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공간

Search Result 906,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 Study on Estimating Level-of-Service for Pedestrian Facilities (보행자 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 김정현;오영태;손영태;박우신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1
    • /
    • pp.149-156
    • /
    • 2002
  • 본 연구는 보행자 시설 중 계단과 대기공간에 대해 공학적으로 합리적인 분석방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시설의 제공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계단과 대기공간에 대한 외국의 조사방법과 분석방법을 참조, 비교하여 서비스 수준 결정기준을 정하고 용량 값을 산출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적정한 설계기준을 산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계단의 경우 효과척도로 보행 교통량을 그리고 대기공간에 있어서는 1인당 점유면적을 사용하였다. 현장 조사 결과 계단에서의 보행량은 보행자가 군을 형성했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최대 보행량에 차이가 나는 것을 고려하여 보행자 군의 형성 여부에 따라 서비스 수준의 기준을 다르게 제시하였으며, 대기공간의 경우에는 1인당 점유면적을 한국인의 평균체형을 기준으로 하여 서비스 수준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계단과 대기공간에 있어서 이러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산출된 결과는 외국의 경우와 다른 값을 나타내는데, 계단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효계단 폭에 따라 최대 보행 교통량의 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대기공간의 경우에는 한사람이 점유 할 수 있는 용량상태에서의 공간이 0.2$m^2$/인으로 외국의 경우보다 적게 나타난다.

Uniformity Evaluation of Elderly Hospital Outpatients' Waiting Space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요양병원 외래부 대기공간 균일성 평가)

  • Yoon, So-Hee;Kim, Suk-T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7
    • /
    • pp.490-499
    • /
    • 2017
  • In recent years, the introduction of complex systems analysis based on various variables has become more active in order to identify and analyze complex problems of Modern Society. Prediction of patients' spatial perception and usability according to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outpatient departm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providing high quality hospital service. For objective analysis, the standard program procedure and analysis index for the diseases of the elderly were prepared and the uniformity of the atmospheric space was evaluated through heat map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In this study, 73 cells were installed and simulated to analyze the uniformity of the four alternativ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rrangement of the medical care space, receiving space, and consultation space using the complex system analysis method for the nursing hospitals. The resulting density was deri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The layout of the reception spac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total spatial density of the waiting space. 2) The uniformity of the waiting space can be increased by separating the examination space and the examination space. 3)The closer the location of the receiving space is from the entrance, the greater the density of the waiting space. Finally, this study applied discrete event simulation to the evaluation of uniformity of atmosphere space, and proved that the actor - based model can be utilized for utilization and evaluation as spatial analysis methodology.

A Study on Determining the Optimal Size of Bicycle Waiting Zone under Hook-Turn Operation (Hook-Turn 통행방식의 적정 자전거 대기공간 크기 결정에 관한 연구)

  • Lim, Guk-Hyun;Kim, Nam-Sun;Lee, Sang-Soo;Nam, Doohee;Kim, Jeong-Ta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5
    • /
    • pp.42-5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ook-turn operation with various sizes of bicycle waiting zone(WZ)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size of bicycle WZ under various traffic and control circumstances. An extensive simulation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bicycle and vehicle delay trends for given experimental design. Results showed that vehicle delay was insensitive to the size of waiting zone, but bicycle delay was reduced as the size of waiting zone increased in general. The delay performance indicated a similar trend between with RTOR and without RTOR operation, but vehicle delay slightly increased and bicycle delay slightly decreased without RTOR. Regarding to optimal waiting zone size, 6 WZ was recommended for general conditions with RTOR, but 9 WZ was recommended when bicycle left-turn volume was greater than 120 v/h. 6 WZ was recommended for general conditions without RTOR, but 12 WZ was recommended when bicycle left-turn volume was greater than 90 v/h.

Study on the Enhancement of the Level of Service for the Pedestrian Queuing Area (보행자 점유공간 현행화 및 대기공간 서비스수준 산정을 위한 개선 연구)

  • Jungeun Yoon;Kyeongjin Lee;Hyoungsuk Jin;Heecheon You;Ilsoo 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3 no.1
    • /
    • pp.1-12
    • /
    • 2024
  • Pedestrian facilities encompass pedestrian roads, stairs, and queuing areas exclusively designed for pedestrian use.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provides guidelines for analyzing the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of pedestrian facilit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analysis methods tailored specifically for pedestrian faci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a new standard of pedestrian space to account for changes in the Korean body ellipse. Furthermore, based on this newly defined pedestrian space, we proposed a new standard value for the level of service of queuing areas. The results of on-site survey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level of service can effectively reflect the actual walking situation.

On Dynamics of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Averaged Temporally and Spatially Over a Metropolitan Area (시간 및 공간에 대해 평균화된 대도시 대기오염 특성해석에 관하여)

  • 김석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3-134
    • /
    • 2003
  • 도시지역에서 관찰되는 대기오염현상은 거의 예외 없이 대단히 복잡한 양상을 띈다. 그 결과 모델링을 통하여 도시지역의 대기오염현상을 정확히 묘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주가변동, 기상변화 등의 다양한 시간(/공간) 스케일을 지니는 복잡한 현상도 충분히 긴 시간(/ 공간)에 대해 평균을 칠할 경우 일반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경향을 보인다. 1990년부터 2001년까지 서울지역에 대한 관측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대기오염현상 역시 예외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중략)

  • PDF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of Air Pollution (대기오염 재해방지를 위한 대기오염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Lim, Ik-Hyun;Hwang, Eui Jin;Ryu, Ji Hyeob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2 no.1
    • /
    • pp.65-74
    • /
    • 2009
  • In this study,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based GIS has been developed to estimate the emission rate and air pollution modeling of air pollutants, effectively. This system is able to estimate emission rate of air pollutant and to analyze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with high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air pollution modeling.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was applied to Gwangyang Bay including large industry complex with a large number of emission sources.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was constructed using the spatial database of emission sources in Gwangyang Bay. It was found that the estimated emission rates of air pollutants is similar to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in Gwangyang Bay. Als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llutants was similar to the location of emission sources. The predicted results of air pollution model was showed a good correlation coefficient (0.75) for TSP.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is expected to be effective tool (database system (GIS)) for the management and the control of air pollution.

  • PDF

A Two-step Approximation for Multi-server Queueing Systems (복수 서버를 갖는 대기행렬시스템 분석에 대한 2단계 근사법)

  • 이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92-19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변환을 취하지 않고 M/G/c 시스템의 고객수분포를 구하는 방법으로 2단계 분석을 제시한다. I 단계에서는 마코비안 서비스를 따르는 전통적인 고객수분포로부터 출발하여 여기에 새롭게 정의된 모수를 도입해서 근사하여 고객수가 c명일 때까지의 분포를 구한다. II단계에서는 선수 작업으로 하나의 대기행렬을 각각의 고객의 대기공간으로 구별하여 나눈 후에 현재 시스템내의 고객수에 따라 고객의 도착시점에서 바라 본 대기공간의 부하 유형별로 나누고, 해당 대기공간에 부하를 주는 정도에 따라 정리된 식으로부터 축차적으로 고객수분포를 유도한다. 유도된 고객수분포로부터 평균 시스템 체재시간과 평균 대기시간 등을 구하고 이를 시뮬레이션과 비교하여, 본 근사법의 유용성을 논의한다.

  • PDF

A Study on the Variation of Air Quality with Space Structure Changing in Busan City using GIS (I) : Emission Distribution (GIS를 이용한 부산지역공간구조와 대기질 변화에 관한 연구 (I) : 배출량분포)

  • 유은철;박옥헌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18-319
    • /
    • 2003
  • 국내 도시는 1960년대이후의 산업화에 따라 인구와 산업이 도시로 집중되어 급속하고 거대한 성장을 이루었고 대기오염 현상의 다양화, 복합화로 인해 스모그와 시정장애 등 새로운 오염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도시지역 대기중의 오염물질 농도수준은 오염 배출원의 분포 및 배출강도 그리고 지역의 지형, 기상 요인 등 많은 요인에 따라 좌우된다. 특히, 대도시는 경제ㆍ사회ㆍ문화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유기체적인 공간으로 특정 지역에로의 집중과 분산이 일어나면서 다양한 공간구조(예; 신시가지, 산업단지 등)를 만들어 가고(이광국 등) 이런 변화에 따라 대기오염의 공간적 분포 경향 역시 달라져 갈 것이다. (중략)

  • PDF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ir Environment Index and Urban Spatial Structure: Based On Land Use and Traffic Data In Seoul (대기오염지수와 도시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토지이용과 교통자료를 바탕으로)

  • Lee, Won-Do;Won, Jong-Seo;Joh, Chang-Hy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143-156
    • /
    • 2011
  • Recently, the environmental problem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there are many efforts to manage it efficiently. As one of the ways to measure the environment in quantitative index,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are used in decision-making process. Air Environmental Index(AEI), which is derived from the U.S. Air Quality Index(AQI), illustrat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study as follows: to find the charateristics of administrative dongs in Seoul,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land-use patterns and daily traffic data that represent AEI and urban spatial structure of Seoul.

  • PDF

An Observation of Tropospheric Ozone and Asian Dust by Using LIDAR (라이다를 이용한 대류권 오존 및 황사 관측에 관한 연구)

  • 최성철;차형기;김덕현;김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9-40
    • /
    • 2003
  • 레이저를 이용한 원격 분석 기술은 최근 들어 선진 여러 나라에서 지대한 관심을 보이며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특히,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펄스형 레이저를 대기 중으로 조사하여 대기 중에 존재하는 공기 분자나 에어러솔에 의해 산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대기의 물리ㆍ화학적 성질을 규명하는 기술로 대기물질의 분석 감도, 공간분해능, 측정거리 면에서 탁월한 장점을 갖고 있다. 대개의 분석 장비들이 지엽적적인 공간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라이다 장비는 레이저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함으로써 임의의 3 차원 공간에 대한 광역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McDermid et al., 1990; McGee et al. 1991).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