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담수유입

Search Result 38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ediment Deposition and Future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 in Saemangeum Freshwater Lake (새만금 담수호의 유사퇴적량 및 장래퇴적분포 추정)

  • Lee, Eun-Jeong;Cho, Young-Kyoung;Kim, Hak-Kwan;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81-158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담수호로 유입되는 유사량과 담수호의 장래퇴적분포를 추정하였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범용토양유실량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을 적용하여 새만금 담수호 상류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량을 산정하고, 총유실량-유사운송비(sediment delivery ratio) 법을 이용하여 담수호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였다. USLE에 의한 총 유실량은 2,804 천ton/yr, 새만금 소유역별 평균 유사운송비는 12%, 담수호 유입유사량은 328 천ton/yr으로 추정되었다. 새만금 담수호의 유효저수량과 유입량에 의한 포착효율(trap efficiency)을 고려하여 담수호에 실제 퇴적되는 양을 추정하고 새만금 담수호의 표고별 장래퇴적분포는 Lara method (USBR method)을 이용하였다. 새만금 담수호의 유사퇴적량은 302 천ton/yr으로 산정되었으며, Lara method에 의한 추정결과 5년, 10년 후 각각 새만금 담수호의 내용적이 0.4%, 0.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Prediction Of Low Salinity Water Behavior Caused By Tidal Gate Extension In Yeongsan-River Estuary (영산강 하구둑 배수갑문 확장 후 시간 변화에 따른 저염수 거동 예측)

  • Kwoun, Chul-Hui;Kwon, Min-Sun;Kang, Hun;Jang, Gyu-Sang;Seo, Jeong-Bin;Cho, Kwang-Woo;Maeng, Jun-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1 no.4
    • /
    • pp.553-565
    • /
    • 2012
  • 영산강 하구에서 담수유입에 따른 저염수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EFDC 모델을 수행하였다. 모델의 수행은 홍수기 배수갑문 확장 전 후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모델의 마지막 담수유입시점으로부터 16일 후 해역이 준 정상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저염수의 확산양상을 시간 경과순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담수유입이 멈춘 후에 저염수는 방류시점으로부터 약 6시간 경과 후에 배수갑문 전면 해역으로부터 해측으로 최대의 확산을 보였으며, 약 2~7일 후 염분의 분포 양상은 담수가 유입되기 전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배수갑문을 확장하기 전보다 배수갑문을 확장한 후에 담수유입 후 해역이 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욱 짧았는데, 이는 시간당 방류량의 증가가 난류혼합을 강하게 하고, 해측으로 더 멀리 확산된 저염수는 외해수에 의해 보다 쉽게 혼합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해역에서 일정한 양의 담수가 유입되는 경우, 저염수의 확산은 시간당 방류량이 크고 방류지속시간이 짧을수록 해역이 준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욱 짧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A Feasibility Study on Mid-watershed Representative Station of Suyeong-river based on Field Measurement (현장 계측 기반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 선정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 Lee, Ho Soo;Lee, Jae Kwang;Tak, Yong Hun;Kim, Yo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28-128
    • /
    • 2018
  • 하구는 강이 흘러 바다로 유입되는 지역으로 강의 담수와 바다의 염수가 만나는 강의 하류에 형성되며 지형, 담수의 유입, 해수의 조석 등에 의해 염분분포가 변화 하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하구에 형성되는 하구역은 조수 간만의 차로 인한 상하운동이 일어남으로 인해 염분 농도는 0.5~30 ‰로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하구는 해수가 미치는 최대 경계인 감조역과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기수역이 나타나며, 하구에서의 염분의 변화는 동 식물의 생존 및 분포, 수자원 확보 및 관리, 구조물 설치 등 공학적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염수쐐기와 조석의 영향으로 하구의 수층에서는 담수 및 염분분포가 지점에 따라 다르게 형성이 되기 때문에 하천 수질측정 시 염수에 의해 대표성이 결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바다로 유입되는 수영강을 대상으로 염분분포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권역 대표지점으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수영강은 부산 용천산에서 발원하여 회동수원지를 거쳐 온천천과 합류하여 남해로 유입된다. 수영강에 위치한 좌수영교와 수영교에서 조석 간만의 차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는 대조기와 소조기에 연직 염분분포를 분석하여 하천수질 측정지점의 대표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만조에서 간조로 수위가 변화 할 때 표층의 담수층이 옅어지는 현상을 보이며 소조기 보다 대조기에서의 담수층 변화 폭이 커지며 수질측정 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Numerical Prediction of Residence Time According to Freshwater Influx in Enclosed Bay (담수유입에 의한 폐쇄성 내만의 물질체류시간 수치예측)

  • Kim, Jin-Ho;Lee, I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4
    • /
    • pp.339-343
    • /
    • 2011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reshwater influx on residence time to understand a long-term material transportation in enclosed bay. To predict the residence times of the coastal water in Masan bay, we were carried out the numerical simulations by using a EFDC model to simulate seawater circulation and particle tracking. The average residence times of Masan bay obtained from the particle release simulations under the condition to neglect a freshwater influx were estimated to be about 110 days in northern part of the bay to near Dotseom, 40 days in around Modo and 20 days in Budo to open sea. However, the average residence times under the condition consider with freshwater influx decreased about 81 days in both Region 1(northen Masan bay to near Dotseom) and Region II (Dotseom to Modo), but the Region III(Modo to Budo) and Region IV(Budo to open sea) incresed about 58 days and 17 days, respectively.

Stratification and Destratification Processes in the Kangjin Bay, South Sea, Korea (남해 강진만에서 성층 형성과 성층 파괴 과정)

  • Jung, Kwagn-Young;Ro, Young-Jae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5 no.3
    • /
    • pp.97-109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stratification and destratification processes in the Kangjin Bay (KB), South Sea, Korea, driven by the Nam Gang Dam water discharge based on numerical modeling experiments. Model performanc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skill scores for elevation, velocity, temperature and salinity, with scores mostly exceeding 90%. The models reproduced the tidal current, density-driven and wind-driven current. The stratification by fresh water input and destratification by the wind mixing was assess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 Richardson number (Ri) in that Ri increased from 0 to 7~20 during the Dam water discharge period, while vertical mixing and destratification followed by the typhoon passage showed Ri, 0 to 2.

A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Geum River Estuary (금강 하구 기수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 Shin, Yoon Keu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6 no.4
    • /
    • pp.524-540
    • /
    • 2013
  •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Geum River estuary dam, we investigated the ecological property of phytoplankton community with physicochemical property in 9 stations of Geum River estuary 4 times seasonally in 2010 about the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the change of phytoplankton. Physicochemical property seems to show eutrophication which developed from the tendency of accruing of the nutrients (those involved in intermittency of freshwater which flows from the dike and the surrounding cities), caused by the changing of tidal flow, the decreasing of the inflow of seawater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Geum River estuary dam (dike). A total of 233 species of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emerged, showing a highly increased result compared to that of the former research.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number is considered as a phenomenon resulting from the mix of blackish and freshwater marine species in the flow of intermittency of freshwater discharge. Also,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considerably increased compared to when the dike had not yet been built. Highly affected by the discharge of occasional freshwater, the diatoms of blackish water zone dominated in spring and winter, while freshwater species appeared to dominate in summer and autumn. The species diversity showed over 2.0 except in winter season. After a cluster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Geum River estuary was influenced by runoff from cities like Gunsan, the sewage which flows from Gyeongpo River, and the intermittency of freshwater discharge from the Geum River estuary dam.

A Study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Fresh Water Distribution and Flushing Time in Suyoung Bay (수영만에 유입된 담수의 체류시간과 그 계절적 변동 특성)

  • Lee, Byeong-Geol;Jo, Gyu-Dae;Kim, Dong-S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27 no.3
    • /
    • pp.170-177
    • /
    • 1991
  • This paper presents the seasonal variation of distribution and flushing time of the fresh water in Suyoung Bay based on the monthly observation from May 1989 through April 1990 and Pusan City Report of Suyoung Bay. Most of Suyoung river water was trapped inside of the bay west of the Dong-Baek Island located. Low salinity water lies dominantly on the right hand side of the Suyong river. Salinity structure of the bay is the well mixed type in summer and the partially mixed type in other season. The fresh water fraction varied in an exponetial manner from unity at the head of bay toward a value of zero at the its mouth. The calculated average flushing time during a year was about 10-15days. About 1.5 days was in summer because the strong fresh water discharge from the river was dominated in the bay.

  • PDF

Water quality modeling of estuary reservoir using Watershed-Reservoir linkage model (유역-호소모형 연계를 이용한 담수호 수질모의)

  • Kim, Seokhyeon;Kim, Sinae;Gwak, Jihye;Lee, Hyunji;Kang, M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69-469
    • /
    • 2022
  • 하구담수호는 하천의 종점에서 해양과 만나는 곳에 방조제를 건설해 담수를 유도하여 형성되는 인공호수이다. 유역 말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역에서 유출되는 모든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모두 유입되고 인공적인 담수의 특성 때문에 수질이 악화되기 쉬운 조건을 지니고 있다. 담수호의 수질관리는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이 많고 담수된 수자원량도 많으므로 부분적인 방법으로는 개선이 어려우며, 유역과 호소를 포함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담수호의 수질관리대책 수립은 크게 상류 유역에 대한 대책과 호소에 대한 대책으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대책으로는 상류 유역의 하수처리장, 축사, 농경지 관리를 통한 배출부하량 감소와 호소 내 수질개선을 위한 습지, 저류지 건설 및 준설을 통한 내부부하 감소 등이 있다. 이처럼 담수호의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상류 유역에서 호소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모형과 호소모형의 연계를 통해 간월호 유역을 모의하였다. 유역모형은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유역 내 3개의 하수처리장과 1개의 분뇨처리장을 고려하였으며, 4개 지점에 대하여 보정 및 검정을 시행하였다. 호소모형은 EFDC-WASP 연계모형을 이용하였으며, HSPF에서 모의 된 유입량과 호내 설치된 4개의 양수장, 배수갑문 운영일지를 고려하여 모의하였다. 호소 내 수질 측정지점에 대하여 T-N, T-P에 대하여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담수호 수질관리를 위한 분석시스템 구축으로 추후 대책에 따른 효과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imulation of salt intrusion and mixing influence for Yongsan estuary regarding Seawater exchange (해수교환에 따른 영산강 하구역 염분 확산 영향 범위 수치 실험)

  • Park, Yong-Woo;Cho, Yang-Ki;Sin, Yong-Sik;Lee, Ch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57-561
    • /
    • 2006
  • 매년 영산강 본류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영산강 유역주변은 최근 전남도청 이전에 따른 남악 신도시개발, J-Project 및 환경 문화 복원사업의 추진, 기업도시개발등과 관련하여 수질관리개선 및 주요환경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영산강 하구역 관리방안 중 담수호 수질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수문개방을 통한 해수 유입에 의한 수질 개선을 효과를 도모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하구호 방조제의 수문 개통 및 완전 개방에 따른 수질개선 문제에 앞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변화 중 영산강 및 연안역 염분의 확산범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모형 실험이 실시되었다. 담수 유입에 따른 염분 확산 범위 및 해수 유입에 따른 염분의 역상 범위를 평가 하기위해 수치 모델로는 EFDC를 적용하였고, 하천형상과 연안역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수평좌표계는 직교곡선좌표로 격자 크기는 $120{\sim}1000m$, 연직방향으로 시그마좌표를 사용하였다. 담수 방류 및 염분역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997년부터 2005년까지의 하구 수문 방류량 및 하천 유입량으로부터 홍수기와 갈수기를 선택하여 현재 상황 및 수문의 부분 개통 하구둑 완전 개방에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수문의 부분개통과 하구둑 완전 개방에 따른 염분 확산 범위는 영산강 하구둑을 기준으로 홍수기에는 $13{\sim}17km$, 갈수기에는 36km 이상의 상류지역에서 해수와 담수의 분리 기준인 0.3 psu 범위가 계산됨을 알 수 있다.

  • PDF

Estimates of Flushing Time in a Bay using the SCS Curve Number Method (SCS 유출곡선지수법(流出曲線指數法)을 이용한 만내(灣內) 담수(淡水) 교체시간(交替時間)의 추정(推定))

  • Kim, Jong Hwa;Chang, Sun Duck;Song, Hyun K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6
    • /
    • pp.1453-1463
    • /
    • 1994
  • The SCS Curve Number(CN) method has become widely accepted as a procedure of estimating stormflow volumes for design and natural events in small watersheds. The applicability of this method for calculating the flushing time was evaluated as compared with the net volume transport(NVT) method in Masan Bay, Korea. It is shown that the flushing time using the CN method ranged from 10.9 to 15.3 days under the well mixed condition, that the time using the NVT method was 13.9 days averaged over 6 days of field data. These results were revealed that two methods calculated the approximate times as shown abov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un-off, Qr, and the flushing time, t, are expressed as the following forms. $t_1=228.79Q_r^{-0.9996}$ in case of well mixed condition, (1) $t_2=131.06Q_r^{-1.0}$ in case of two layered model. (2) Those empirical expressions are represent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Q and t are nonlinear as those as Bumpus obtained in Boston Inner Harbour. Therefore, the CN method will permit calculation of the flushing time for any given bay to be unexpected as water balance under the condition of short-time (0.5 day) data, instead of NVT method based on the long-time (at least 3 days over)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