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iment Deposition and Future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 in Saemangeum Freshwater Lake

새만금 담수호의 유사퇴적량 및 장래퇴적분포 추정

  • 이은정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시스템공학과) ;
  • 조영경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시스템공학과) ;
  • 김학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시스템공학과) ;
  • 박승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6.05.18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담수호로 유입되는 유사량과 담수호의 장래퇴적분포를 추정하였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범용토양유실량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을 적용하여 새만금 담수호 상류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량을 산정하고, 총유실량-유사운송비(sediment delivery ratio) 법을 이용하여 담수호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였다. USLE에 의한 총 유실량은 2,804 천ton/yr, 새만금 소유역별 평균 유사운송비는 12%, 담수호 유입유사량은 328 천ton/yr으로 추정되었다. 새만금 담수호의 유효저수량과 유입량에 의한 포착효율(trap efficiency)을 고려하여 담수호에 실제 퇴적되는 양을 추정하고 새만금 담수호의 표고별 장래퇴적분포는 Lara method (USBR method)을 이용하였다. 새만금 담수호의 유사퇴적량은 302 천ton/yr으로 산정되었으며, Lara method에 의한 추정결과 5년, 10년 후 각각 새만금 담수호의 내용적이 0.4%, 0.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