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전지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nhanced Parameter Measurement Method of Battery 2nd RC Ladder Model (배터리 2차 RC Ladder 모델 변수 측정법 개선)

  • Kim, Jae-Gu;Lim, Dong-Jin;Ahn, Jung-Hoon;Lee, B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51-452
    • /
    • 2015
  • 본 논문은 리튬 폴리머 배터리 전기적 등가 회로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내부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안한다. 종래의 파라미터 결정 방법이 내부 용량성 임피던스의 영향으로 부정확해지는 현상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으로 얻어진 배터리 모델의 정확성은 시뮬레이션 결과 및 단전지의 실험적 결과를 통하여 검증한다.

  • PDF

Identification of Battery Model Parameter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and Improved System Model (개선된 시스템 모델과 EKF를 이용한 실시간 배터리 모델 변수 추정법)

  • Lee, Jaehyung;Kim, Jae-Gu;Ahn, Jung-Hoon;Lee, Byoung 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45-46
    • /
    • 2016
  • 본 논문은 사용 환경 및 노화에 따라 변하는 배터리 회로 모델의 변수를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동특성 방정식의 개선과 모델변수 변동을 반영하여 시스템 모델의 정확도를 종래의 방법 대비 향상시킨다. 제안하는 추정법의 타당성은 단전지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Comprehensive SOH Estimation Algorithm Considering the Changes of Capacity and Power (배터리의 용량 및 출력 감소를 추정하는 포괄적 SOH 알고리즘)

  • Noh, Tae-Won;Kim, Nari;Ahn, Jung-Hoon;Kim, Dong-Hee;Lee, Byoung 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43-44
    • /
    • 2016
  • 본 논문은 노화로 인한 배터리의 용량과 최대 출력 변화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실시간으로 내부저항을 추정하여 배터리의 최대 출력을 예측하고 전하량 대비 개방회로전압의 변화율을 통해 노화된 용량을 계산한다. 개방회로전압 변화율의 정확한 계산을 위하여 앞서 추정된 내부저항을 이용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정확도는 단전지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한다.

  • PDF

Enhanced SOC Reset Algorithm Using Optimization Technique of Battery Rest-Curve (배터리 휴지곡선 최적화 분석을 통한 향상된 SOC 리셋 알고리즘)

  • Bae, Young-Chan;An, Sung-Pil;Lee, Jaehyung;Kim, Jae-Gu;Lee, Byoung 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83-84
    • /
    • 2016
  • 본 논문은 배터리 모델 의존도를 최소화한 SOC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전류 적산법을 기반으로, 100초 내외의 짧은 휴지시간 동안 측정된 휴지곡선을 함수최적화 기법으로 분석하여 OCV를 추정하고 추정 OCV를 이용하여 누적 SOC 오차를 리셋 한다. 또한 최적화 기법의 발산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초깃값 설정 과정을 포함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정확성은 시뮬레이션과 단전지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Effects of Dan Jeon Breathing on Stress, Sleep Disturbance and Self-esteem of Hemodialysis Patients (단전호흡이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수면장애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Jeong, Mi-Hyun;Park, Ok-L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2
    • /
    • pp.5882-5892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an Jeon Breathing on stress, sleep disturbance and self-esteem of hemodialysis patients. This study used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Before applying the Dan Jeon Breathing program,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nd were requested to report their self-ratings to measure their stress, sleep disturbance and self-esteem. The Dan Jeon Breathing program was given to experimental groups for 60 minutes a day and 2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program were analyzed by means of ${\chi}^2$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Shapiro-Wilk and t-test.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 stress(t=-2.95, p=.006) and sleep disturbance(t=-2.13, p=.041) levels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after Dan Jeon Breathing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in self-esteem(t=2.44, p=.020)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Dan Jeon Breathing could be used as nursing intervention for hemodialysis patients to mitigate their stress, sleep disturbance an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Fabrification of Segmented Flat-Tubular SOFC cell (Segmented 평관형 SOFC 셀 제조)

  • Park, Sung-Tae;Choi, Byung-Hyun;Ji, Mi-Jung;Choi, Heon-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37.1-137.1
    • /
    • 2010
  • SOFC cell 하나의 전위차는 약1.1V이기 때문에 발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단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stack의 디자인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형태가 하나의 지지체에 셀을 직렬로 연결함으로 전극의 선폭 및 단위 셀 간의 간격이 기존 평판형, 원통형에 비해 대폭 축소되어 전극 및 연결재의 저항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Segmented형 SOFC이다. Segmented SOFC에 적용하기 위한 세라믹 다공성 지지체는 연료와 공기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셀의 구성소재와 반응이 없으며 열팽창계수가 유사해야하는 특성을 가져야하는데 그 중에서도 지지체로써 적절한 기계적 강도와 높은 가스투과도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에서 안정한 Spinel의 MgAl2O4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공성 지지체를 압출 성형하여 평관형으로 제조하였으며 활성탄을 기공형성제로 사용하여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약 30%의 기공율을 가지는 다공성 세라믹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라믹 지지체에 연료극(NiO/YSZ), 전해질(TZ8Y), 공기극(LSM)을 코팅하여 실제 SOFC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 of Sintering aid in $LaSrTiO_3$ Ceramic Interconnector for SOFC application (SOFC용 $LaSrTiO_3$계 연결재에서 소결조제 첨가에 따른 소결특성)

  • An, YongTae;Choi, ByungHyun;Ji, MiJung;Park, SungTae;Lee, KyungJin;Hwang, Hae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89.1-89.1
    • /
    • 2010
  • 본 연구는 세라믹 연결재로 사용되는 Perovskite 구조의 LSTO조성의 실제 SOFC stack 적용을 위한 소결온도를 낮출 수 있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SOFC 단전지에서 IC 소재는 $1300{\sim}1400^{\circ}C$에서 소결이 이루어져야만 하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LCO계 조성의 경우 $1500{\sim}1600^{\circ}C$의 높은 온도에서 소결이 이루어지며 고온에서 $Cr_2O_3$의 휘발로 인해 낮은 전기전도성을 갖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IC 소재에 소결조제를 첨가하여 소결특성을 평가하였고, SEM과 XRD분석을 통하여 perovskite 단일상이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rchimedes법을 사용하여 흡수율 및 겉기공율을 측정하였고, DC analyzer를 사용하여 전기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대기분위기 $750^{\circ}C$에서 높은 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OFC 밀봉재로서 $SiO_2-B_2O_3-RO$계에서 RO 변화에 따른 밀봉특성

  • Gwon, Yong-Jin;Choe, Byeong-Hyeon;Ji, Mi-Jeong;An, Yong-Tae;Seol, Gwang-Hui;Nam, Sa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33.2-33.2
    • /
    • 2011
  • 고온형 SOFC의 개발에 있어 스택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은 스택 구성요소 사이를 접합하는데 필요한 고온형 밀봉재의 개발이다. SOFC 스택에서의 밀봉재는 고체전해질과 접속자 사이에서 음극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양극에 공급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은 물론 기계적으로 취약한 단전지의 보호 및 스택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일체성(Structural integrity)을 부여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현재 기체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재는 크게 유리 및 결정화 유리계, mica및 mica/유리복합재료, 유리/충전재 복합재료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수의 단위전지로 구성되는 스택 구성에서 스택의 열기계적 안정성 및 장기수명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복합밀봉재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O_2-B_2O_3-RO$계에 BaO, SrO를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제작된 유리 frit을 열처리하여 물리화학적 물성변화를 검토하였으며, $700^{\circ}C$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유리를 기지상으로 하고 세라믹 보강재를 첨가한 고온형 복합밀봉재를 개발하고 그 물리화학적 안정성, 열기계적 안정성 및 밀봉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고체산화물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밀봉재 개발 및 특성 평가

  • Gwon, Yong-Jin;Choe, Byeong-Hyeon;Ji, Mi-Jeong;Lee, Seo-Hwan;Seol, Gwang-Hui;Nam, Sa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95.2-95.2
    • /
    • 2012
  • 고온형 SOFC의 개발에 있어 스택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은 스택 구성요소 사이를 접합하는데 필요한 고온형 밀봉재의 개발이다. SOFC 스택에서의 밀봉재는 고체전해질과 접속자 사이에서 음극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양극에 공급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은 물론 기계적으로 취약한 단전지의 보호 및 스택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일체성(Structural integrity)을 부여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현재 기체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재는 크게 유리 및 결정화 유리계, mica및 mica/유리복합재료, 유리/충전재 복합재료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수의 단위전지로 구성되는 스택 구성에서 스택의 열기계적 안정성 및 장기수명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복합밀봉재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O-B2O3-RO계에 BaO, SrO를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제작된 유리 frit을 열처리하여 물리화학적 물성변화를 검토하였으며, $750^{\circ}C$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유리를 기지상으로 하고 세라믹 보강재를 첨가한 고온형 복합밀봉재를 개발하고 그 물리화학적 안정성, 열기계적 안정성 및 밀봉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Single cell property and numerical analysis of metal-supported solid oxide fuel cell (금속지지체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단전지 특성 및 전산해석)

  • Lee, Chang-Bo;Bae, Joong-Myeon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7.05b
    • /
    • pp.2222-2227
    • /
    • 2007
  • Newly structured metal-supported solid oxide fuel cell was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by impedance analysis and galvanodynamic experiment. Using a cermet adhesive, thin ceramic layer composed of anode(Ni/YSZ) and electrolyte(YSZ) was joined with STS430 metal support of which flow channel was fabricated. $La_{0.8}Sr_{0.2}Co_{0.4}Mn_{0.6}O_3$ perovskite oxide was used as cathode material. Single cell performance was increased and saturated at operating time to 300hours at 800$^{\circ}C$ because of cathode sintering effect. The sintering effect was reinvestigated by half cell test and exchange current density was measured as 0.005A/$cm^2$. Maximum power density of the cell was 0.09W/$cm^2$ at 800$^{\circ}C$.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lassify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single cell performances. Compared to experimental IV curve, simulated curve based on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as exchange current density was in good agre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