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위지표물

Search Result 12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ment of vegetation model for Restoration of Degraded stream Landscape (훼손된 하천 경관을 복원하기 위한 식생 복원 모델 개발)

  • Lee, Chang-Seok;Cho, Yong-Chan;Oh, Woo-Seok;Park, Sung-Ae;Seol, Eun-S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45-1148
    • /
    • 2007
  • 한국을 비롯하여 논농사 중심지역에서는 하천 주변이 과거에는 농경지로, 그리고 오늘날은 도시지역으로 개발되어 하천의 원형이 거의 유지되지 못하고 있다. 하천은 수역과 수변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여러 개의 이질적 생태적 공간이 이어지는 복합생태계로서 하나의 경관으로 볼 수 있다. 하천이 하나의 온전한 생태적 계로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하천의 원형이 복원되어야 한다. 현존하는 하천복원사업이 수변 구역의 복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진정한 복원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온전한 강변 식생의 복원이 선결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적군락의 형태로 잔존하는 강변 식생을 조사하여 식생복원 모델로 삼고자 한다. 수위와 침수체제에 의해 하천의 횡단구조를 수변, 홍수터 및 제방으로 구분한 후 각 지소의 적합한 식생단위를 구분하여 생태적 복원을 실현하기 위한 정보를 구축하였다. 수변식생으로는 달뿌리풀군락과 갈대군락이 자주 출현하고, 홍수터에는 갯버들군락과 키버들군락이 우세하였다. 그 중 전자의 식물군락은 하상재료가 거친 입자의 지소에 성립하고, 후자의 것은 미세한 입자의 지소에 성립하는 경향이었다. 제방역에는 버드나무군락, 다릅나무군락, 귀룽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산사나무군락, 신나무군락(한탄강 지류), 참느릅나무군락, 물푸레나무-갈참나무군락(한탄강 본류), 오리나무군락(민통선 북방지역), 소나무군락, 황철나무군락, 느릅나무군락(소양강 상류), 왕버들군락(금강 중류) 등이 성립하였다. 이러한 식생정보를 하천의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 구분하였고, 생태적 복원 시 도입식물을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삼기 위해 각 식생단위를 이루는 종 조성을 정보 체계화하였다.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Solar Unit으로부터 나오는 전기를 중전기에서 밧데리로 축전을 시키고 완전 충전 후에는 나머지 전기는 방전이 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였다. 사통수문 자원조사 결과에 의하면 현재 저수지에 물공급을 하는 수문은 취수탑 형식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30%의 사통수문 중 원형수문비가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대체에너지를 사용하는 저수지 사통수문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력을 사용하는 사통도 조사결과에 의하면 20% 이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수리시설 개보수시 적은 예산으로 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사통수문의 설치방향의 지표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수리시설의 운영관리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분류되었다. 지표 유거가 많아 배수등급이 매우양호로 분류되던 토양은 정 등(1995)의 분류와 비교하여 대부분 강우 유출 가능성이 큰 쪽으로 조정되었다.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이용할 경우 낮은 토심에서 암반층이 발견되는 산림토양이 분포한 유역이나 산림, 밭 등에 식질 토양이 많이 분포하는 유역에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보다 강우 유출량이 높게 평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강우 유출량 실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지속적인 보정을 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불투수층의 존재시 일괄적으로 D유형으로 분류된 토양의 경우 깊이에 따라 C 또는 D 유형으로 세분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가 있었다. 에틸아세테이트분회물의 경우 디글로로메탄 분회물에 비해 다소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지만 250 ${\mu}$g/ml 농도에서 약 60%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

  • PDF

A Study about Water Footprint Evaluation of Industrial Sectors (국내 산업들의 물 발자국 산정에 관한 연구)

  • Kim, Junbeum;Kang, Hun;Park, Kiha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6
    • /
    • pp.400-406
    • /
    • 2013
  • Water footprint means the direct and indirect water resource amount used for the life cycle of different goods, services and industries. In this study, the direct and indirect water resource consumption in industrial sectors were calculated by using water footprint evaluation method. As a result, agriculture and marine product industry takes part of 93% of whole water resource amount, showing the greatest amount of basic unit of water coefficient (637 $m^3/won$) following by petroleum and cool products industry of about 13 $m^3/won$. In the agriculture and marine product industry, the direct water consumption was only 25 billion $m^3$ compared to the indirect water, which is 130 billion $m^3$. The next highest industry was chemical product industry, which consists of 2 billion $m^3$ of the direct water and 4.5 billion $m^3$ of the indirect water consumption. In case of industries which have high direct water,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reduce amount of water related to the industry than to reduce water in actual process. This water footprint of each industry and evaluation method will be useful tool and method for development of national water management policy and regulation.

A study on Estimation of Nonpoint Pollution Loads in the Industrial Site of Urban Area (도시유역 공업단지의 비점오염 부하량 산정)

  • Shon, Tae-Seok;Kim, Mi-Eun;Joo, Jae-Seung;Shin, Hyun-Suk;Yoon, Young-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7-201
    • /
    • 2011
  • 공공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해 그동안 하 폐수 처리장 등 친환경시초시설의 건설과 하수관거의 확충으로 점오염을 통제해왔으나, 여전히 하천, 호소, 연안의 수질은 목표 수준까지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점오염원 삭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비점오염원의 수질오염 기여도는 증가하고 있다. 비점오염물질은 도로상 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지표상 퇴적오염물질, 농지에 살포된 농약, 축사에서의 유출물 등이 강우시 빗물과 함께 유출되면서 발생한다. 특히, 도시지역에는 대 소규모 공단들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의 특징은 단위면적당 오염부하가 크고 각종 유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개별 공장이 아닌 이러한 비점오염원 특징을 가진 대 소규모 공업단지(김해시 나전농공단지, 부산시 녹산 국가산업단지)를 선정하여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Investment Prioritization Criteria for the Mooring Facilities's Maintenance by the Delphi Study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항만 계류시설 유지보수 투자우선순위 결정 기준 개발)

  • Kim, Yong-Hee;Lee, Young-Ho;Song, Jae-Jun;Lee, Sang-Y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
    • /
    • pp.515-524
    • /
    • 2014
  • In this paper, The investment prioritization model was investigated for keeping the service level of mooring facilities more than the target level of management with a limited budget in the right time. Network level prioritization criteria of the national scale was developed to take into criteria index and quantitative evaluation, management authority's opinion. Delphi method was conducted maintenance exports of mooring facilities over twice for verifying the validity and adequacy. In order to improve the objectivity of criteria,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utilization of port facilities is presented form yearly facility traffic/facility's leng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facility traffic data. The investment prioritization criteria of mooring facilities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more efficient and national budget distribution applied to the maintenance budget plan of nationwide.

Re-evaluating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for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considering altitudinal effect in Jeju Island (제주도 고도 영향을 고려한 증발산 보완관계 재평가)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58-458
    • /
    • 2017
  • 증발산은 지표면으로부터의 증발이나 식물에 의한 증산에 의해 유역으로부터 물이 제거되는 주요 기작으로서, 유역 물수지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강수량과 증발산량의 차이로부터 유출이나 함양되는 양을 추정할 수 있다. 제주도의 경우에는 수자원 이용량의 약 84%를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한편으로 제주도의 지질학적 특성으로 인해 일정 규모 이하의 강수량은 지표유출이나 중간유출의 과정없이 대부분 지하로 침투되기 때문에, 증발산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지하수 함양량의 추정과 제주도 전체 수자원 계획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정확한 증발산량 파악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측과 전문적인 계측장비 등에 의한 직접적인 방법이 있으나 광범위한 유역 단위의 관측값을 확보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물수지법, 열수지법, 공기역학적방법 및 조합방법 등의 간접적인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간접적인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Penman-Monteith 법은 일 단위 기반의 정확도 높은 증발산량을 추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작물생육단계 및 토양수분, 기상 등 많은 변수들에 대한 입력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모델링 과정을 수반하게 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반면, Morton (1978)의 CRAE (Complementary Relationship Areal Evapotranspiration)나 Priestly and Taylor (1973)의 AA (Advection-Aridity)와 같이 잠재증발산량과 실제증발산량간의 보완관계를 이용하는 방법은 지역적인 인자 또는 가용 수분에 대한 조건없이 몇 가지 기상자료만으로 유역의 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의 4개 하천유역(한천, 천미천, 강정천, 외도천)을 대상으로, Penman-Monteith 법을 적용한 SWAT 모델링를 통해 얻어진 유역의 실제증발산량과 잠재증발산량으로부터, 고도에 따른 기상특성을 반영하여 증발산 보완관계를 검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Model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acilities (초·중·고등학교 시설물별 추정공사비 산정모델 개발)

  • Jung, Eui-Hyun;Yeom, Dong-Jun;Kim, Jun-Sang;Kim, Young S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2 no.3
    • /
    • pp.69-78
    • /
    • 2021
  • Estimated construction cost is an important index to secure an optimal budget which needs to go into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previous of basic design phase. In order for public institutions to calculate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the cost per unit area of public buildings is used. However, the current calculation method of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in public buildings is impossibl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any facilities and combin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stimation model in the previous of basic design phase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acilities.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a reasonable and reliable manner through the estima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Application Study of Vulnerability Assessment Models for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by Spatial and Watershed Scales (수자원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의 공간 및 유역규모별 적용 연구)

  • Chung, Ji Woong;Lee, Woo-Kyun;Cui, Guishan;Lee, Sang Chul;Choi, Sungho;Choi, Hyun-Ah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1 no.1
    • /
    • pp.21-30
    • /
    • 2010
  • In this study, vulnerability of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was assessed in terms of flood, drought and water management. Criteria and indicators were employed for assessing the vulnerability. The criteria used to assess the vulnerability was sensitivity of the study area, the exposure to climate and the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These criteria were quantified and standardized using corresponding indicators. Vulnerability of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is assessed to be generally increasing over time. The appropriate watershed scales are the large drainage basin for national level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the small drainage basin for local one.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Physical Decline in Small and Medium Citie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building DB in the unit of Census Output Area - (중소도시의 물리적 쇠퇴등급 분류 연구 - 집계구 단위의 건축물 DB 분석을 중심으로 -)

  • Han, Da-Hyuck;Lee, Min-Se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22 no.3
    • /
    • pp.41-4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nage the physical sectors systematically, needed for the selection and direction of declining areas, such as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projects, by grading the density of decline indicators of buildings in small and medium cities. In fiv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Jeollanam-do, the data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density, according to the use, structure, and age of the building. Rating by element of Census Output Area, detailed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declining area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required, rather than setting the scope of declining areas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It is also necessary to manage cities through complex and intra-element phasing rather than single elements in defining physical decline. The analysis based on the complex factors and boundary of the Census Output Area is meaningful in order to maintain and manage such cities in a more detailed and precise manner according to such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Regional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and its Determinants of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우리나라 16개 시·도의 제조업부문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 및 결정요인 분석)

  • Park, Changsuh;Seo, Yun Seok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3 no.1
    • /
    • pp.3-16
    • /
    • 2017
  • This paper analyzed 16 regional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TFEE) of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 for the period of 2005-2013.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it is necessary to use TFEE as well as partial energy efficiency defined by the ratio of energy usage to output (energy intensity) when we compare energy efficiency. Secondly, TFEE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is quite different across 16 regions. For example, Gangwon province should improve energy efficiency by 55% compared to Seoul, Gwangju, Ulsan, and Gyeongbuk which are located on production frontier. Furthermore, the estimation of panel tobit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the higher non fossil fuel using, the higher production share of large-sized firms, the lower energy intensity, and the lower capital-labor ratio could have positive effect on TFEE.

The Classification of Standard Drainage Basin according to Soil Catena (Soil Catena 특성에 따른 유역단위의 유형 분류)

  • Sonn, Yeon-Kyu;Hur, Seong-Oh;Seo, Myung-Chul;Jung, Suk-Jae;Hyun, Byung-Keun;Song, Kwa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9-96
    • /
    • 2007
  • 농업 비점오염원으로부터의 수질 보전이나 수자원 관리는 유역단위로 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며, 지형이 복잡한 우리나라에서는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유역은 물이나 기타 물질들이 모여 강이나 더 큰 수계로 흘러드는 지표수의 범위라 표현할 수 있으며 그 범위를 정함에 따라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특히, 강우에 따른 수자원의 유입과 유출이 토양을 통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유역단위 구분이 토양의 특성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은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유역단위 구분의 큰 단점으로 작용해왔다. 따라서, 농업적 관리뿐만 아니라 수질관리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도 유역단위 특히, 소유역을 토양특성이 포괄하는 체계적 단위로 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토양학에서는 동일한 모재에서 유래된 일련의 토양이 미세지형에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된 것을 Soil Catena(토양연접군)라고 한다. 이 토양연접군을 위주로 토양을 분류하게 되면 수문이나 기상현상 등의 주요 매질인 토양을 그룹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얻게 되고 이런 그룹화는 유역을 수계 위주의 유역군이 아닌 동일특성이나 유사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유역군으로 분류가 가능하도록 유도할 것이므로, 이런 분류는 토양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문모형의 적용성을 확대해 합리적 수자원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며 수자원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 관리에 대한 유역단위 보편성을 확보하고 농업에서의 최적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우리나라 유역 세분화는 토양조사가 되어 있는 지역에만 한정해 분류에 이용했다. 대유역은 15개로 구분하였으며(그림 1), 중유역은 117개 소유역은 1,108개를 분석에 사용했다. 유역의 만곡도(하천의 실제길이 하천의 직선장) 산림의 비율(표준유역내 임지토양의 면적 / 소유역의 면적), 평탄지의 비율(표준유역내 평탄지의 비율 / 소유역의 면적), 다른 소유역으로부터의 유입이 있는지의 여부 등을 기본자료로 하였다. 이렇게 구분된 소유역은 유형적으로 보면 유사한 지형 및 토양특성에 따라 그룹화하였다. 유역내 평탄지가 유역면적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을 평야지로 구분하며, 유역내 평탄지가 25% 미만이고 경사지가 45% 이상인 중간지, 유역내 평탄지가 25% 미만이고, 경사지가 45% 미만인 곳을 산간지로 구분하였다. 경사지는 산악지와 구릉지를 제외하여 모든 소유역을 모암 유래토양특성에 따라 16유형, 농업지대에 따라 3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총 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런 분류의 토대위에 향후 필요분야마다 구분이 가능한 기후특성을 포함시킨다면 최종적으로는 모든 것이 해설될 수 있는 유역군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즉, 토양특징, 농업특징, 기후특징에 비점오염가능성 등 토지이용상 문제점등을 포괄한다면 다양한 자연현상을 기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유역군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