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gional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and its Determinants of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우리나라 16개 시·도의 제조업부문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 및 결정요인 분석

  • 박창수 (숭실대학교 경제학과) ;
  • 서윤석 (숭실대학교 경제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16.11.21
  • Accepted : 2017.01.27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16 regional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TFEE) of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 for the period of 2005-2013.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it is necessary to use TFEE as well as partial energy efficiency defined by the ratio of energy usage to output (energy intensity) when we compare energy efficiency. Secondly, TFEE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is quite different across 16 regions. For example, Gangwon province should improve energy efficiency by 55% compared to Seoul, Gwangju, Ulsan, and Gyeongbuk which are located on production frontier. Furthermore, the estimation of panel tobit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the higher non fossil fuel using, the higher production share of large-sized firms, the lower energy intensity, and the lower capital-labor ratio could have positive effect on TFEE.

본 논문은 에너지 효율성 지표로써 투입물로 에너지뿐만 아니라 노동과 자본 등을 동시에 고려한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을 DEA에 기초하여 2005-2013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 16개 시 도의 제조업 부문에 대하여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단일요소 에너지 효율성과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 간에 차이가 존재하여 두 지표를서로 보완적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 지표는 대부분의 시 도들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서울, 광주, 울산, 경북 등은 프런티어에 위치하지만, 강원, 부산, 대구, 인천 등은 상대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널 토빗 모형을 통해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의 결정 요인을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대기업의 생산액 비중이 클수록, 에너지 다소비업종의 생산액 비중이 작을수록, 그리고 전력 사용 비중이 클수록,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목, 2015, 효율성 생산성 성과분석, 경기: 법문사.
  2. 고경완.김대철, 2016, 지역 간 특성에 따른 소매점의 효율성 차이 및 결정요인 분석, 생산성논집, 30(1), pp.75-101.
  3. 김광욱.황석준, 2015, 제조업 에너지 생산성 분해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24(2), pp.411-433.
  4. 김의준.최은진.이유진.장재원, 2011,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이용한 지역별 산업구조와 생산성의 연계성 분석, 지역연구, 27(4), pp.65-86.
  5. 문하나.민대기, 2015, DEA를 활용한 국내 기업의 에너지 효율성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32(3), pp.37-54.
  6. 박재곤.변창욱.정윤선, 2011, 지역별 제조업 투자의 효율성과 효과성 분석, 연구보고서 2011-591, 산업연구원.
  7. 박창수.유동헌, 2007, 한국 제조업에 대한 에너지절약 투자의 에너지 원단위 개선효과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16(3), pp.485-510.
  8. 에너지경제연구원, 각년도, 에너지통계연보, 울산: 범신사.
  9. 에너지경제연구원, 각년도, 지역에너지통계연보, 울산: 범신사.
  10. 이정동.오동현, 2012, 효율성 분석이론: DEA 자료포락 분석법, 서울 : 지필미디어.
  11. 이창근.최명섭.김의준, 2009, "우리나라 지역의 총요소 생산성과 결정요인 분석: DEA와 2SLS를 이용하여," 지역연구, 25(3), pp.25-43.
  12. 조윤기.배규한, 2012, "지역별 제조업 총요소 생산성 변화와 요인분석," GRI 연구논총, 14(1), pp.87-102
  13. 중소기업 중앙회 중소기업 통계(http://www.kbiz.or.kr).
  14. 최영준.박현용, 2015, "기후환경변수와 한국의 지역별 총요소생산성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29(2), pp.121-141.
  15. 최원철.이종근.이만형, 2013, "자료포락분석(DEA) 기법에 근거한 시.군의 도시공공서비스 공급 효율성과 영향요인 분석," 지역연구, 29(1), pp.49-65.
  16. 한광호, 2005, "한국 제조업의 총요소 생산성, 효율성 변화와 기술진보: SFA와 DEA에 의한 추정," 한국경제연구, 53(4), pp.119-146.
  17. 한국은행 경제통계(http://ecos.bok.or.kr).
  18. Coelli, T.(1996), A Guide to DEAP Version 2.1 : A Data Envelopment Analysis (Computer) Program, Centre for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alysis, Department of Econometrics, University of New England. Working paper 96/08.
  19. Farrell, M. 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120(3), pp.253-290. https://doi.org/10.2307/2343100
  20. Honma, S., and Hu, J. L., 2008, Total-factor energy efficiency of regions in Japan, Energy Policy, 36(2), pp.821-833. https://doi.org/10.1016/j.enpol.2007.10.026
  21. Hu, J. L, and Lio, M.-C., 2012, Total-factor energy efficiency for regions in Taiwan, Energy Sources Part B, 7(3), pp.292-300. https://doi.org/10.1080/15567240903096902
  22. Hu, J. L. and Wang, S. C., 2006, Total-factor energy efficiency of regions in China, Energy Policy, 34(17), pp.3206-3217. https://doi.org/10.1016/j.enpol.2005.06.015
  23. Li, M., 2010, Decomposing the change of $CO_2$ emissions in China: a distance function approach, Ecological Economics, 70(1), pp.77-85. https://doi.org/10.1016/j.ecolecon.2010.07.034
  24. Mukherjee, K., 2008, Energy use efficiency in the Indian manufacturing sector : An interstate analysis, Energy Policy, 36(2), pp.662-672. https://doi.org/10.1016/j.enpol.2007.10.015
  25. Patterson, M. G., 1996, What is energy efficiency concepts, indicators, and methodological issues, Energy Policy, 24(5), pp.377-390. https://doi.org/10.1016/0301-4215(96)00017-1
  26. Roy, J., Sathaye, J., Sanstad, A., Mongia, P., and Schumacher, K., 1999, Productivity trends in India's energy intensive industries, Energy Journal, 20(3), pp.33-61.
  27. Wang, C., 2007, Decomposing energy efficiency change: a distance function approach, Energy, 32(8), pp.1326-1333. https://doi.org/10.1016/j.energy.2006.10.001
  28. Wang, C., 2011, Source of energy productivity growth and its distribution dynamics in China,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33(1), pp.279-292. https://doi.org/10.1016/j.reseneeco.2010.06.005
  29. Wang, Z.-H., Zeng, H.-L., Wei, Y.-M. and Zhang, Y.-X., 2012, Regional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An empirical analysis of industrial sector in China, Applied Energy, 97, pp.115-123. https://doi.org/10.1016/j.apenergy.2011.12.071
  30. Xiaoli, Z., Rui, Y. and Qian, M., 2014, China's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of provincial industrial sectors, Energy, 65, pp.52-61. https://doi.org/10.1016/j.energy.2013.1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