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위용적질량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9초

레미콘 단위수량 산포가 콘크리트 강도 및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Unit-Water Content Distribution in Ready-Mixed Concrete on Strength and Durability of Concrete)

  • 우영제;이한승;정상화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75-381
    • /
    • 2008
  • 레미콘 제조오차에 의한 콘크리트내의 물의 수량이 증가하면 내구성저하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방법들 중에 단위수량의 신속측정법인 정전용량법, 고주파가열법, 단위용적질량법을 이용하여 단위수량의 변동을 관리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의 경우에는 단위수량 변동 ($\pm$ 10, 15, 20 kg/$m^3$ 등)에 대한 관리지침을 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종 지침들이 내구성 저하도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조오차와 측정오차를 확률적으로 고려한 불확도 개념에서 합부판정 기준을 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불확도 개념뿐만 아니라 실제 수량 산포에 따라 내구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수량을 추가로 첨가하여 동결융해, 중성화, 염해를 중심으로 내구성 저하도를 측정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일반강도 범위 내에서 15 kg/$m^3$ 이상의 수량이 추가로 첨가 되었을 경우 콘크리트의 성능 저하 효과가 크기 때문에 설계된 내구 성능의 적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합 설계된 단위수량에 대한 품질관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자철석 혼입 모르터의 기초물성 연구 (Preliminary Tests of Mortars Containing Magnetite as Fine Aggregate)

  • 윤상천;양성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82-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의 방출을 증진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시키며 아울러 비중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층간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건축용 친환경 바닥 마감재에 자철석 잔골재를 사용하는 모르터의 기초물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르터의 배합은 자철석 잔골재를 자연사로 0, 20, 40, 60, 100% 치환하였다. 먼저 원적외선 방출성능으로서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측정하여 KICM의 기준을 훨씬 상회하는 결과를 얻었다. 단위용적질량 압축강도 실험결과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건조수축 시험결과 자철석 잔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건조수축 변화율이 기준 시험체 대비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 차폐용 중량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성 (In-Site Application of Heavyweight Concrete for Radiation Shielding)

  • 양승규;엄태선;이종열;김용호;우상익;김태봉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577-580
    • /
    • 2008
  • 국내 실정에 적합한 방사선 차폐용 고밀도 중량콘크리트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실시한 일련의 콘크리트 기초 특성평가 결과를 토대로, 레미콘 B/P 이용 시험생산 및 Mock-up Test를 실시하였다.중량콘크리트의 경우,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재료들 간의 비중 차이에 의한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생산, 운반, 타설, 다짐 등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현장타설의 경우에는 재료분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재료분리는 강도뿐만 아니라 이보다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콘크리트 비중 및 차폐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중량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재료는 적절한 규정에 의거하여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레미콘 생산 직후 및 펌프압송 전, 후로 구분하여 품질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시험생산 및 Mock-up Test(시험시공) 실시 결과, 목표성능(슬럼프, 공기량, 단위용적질량, 압축강도 등)을 만족하였으며, 양호한 펌핑성능 및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 PDF

Ti염 및 Fe염으로 화학처리된 염색공단 슬러지를 재활용한 인공경량골재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Recycled from the Dyestuff Sludge Treated Chemically With Ti and Fe Salt)

  • 최종오;정용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34-42
    • /
    • 2015
  • 본 연구는 단순매립 및 소각처리 되고 있는 염색공단 슬러지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Ti염과 Fe염으로 화학 처리된 염색공단 슬러지를 이용하여 인공경량골재를 제조하고, 인공경량골재로의 활용성 검토를 위하여 골재의 물리적 특성과 환경유해성 등을 평가하였다. 인공경량골재 제조는 점결제로 점토를 이용하여 점토와 슬러지 배합비율에 따른 성형성을 평가하여 최적 함수량을 선정하고, 최적 배합비를 기준으로 둥근 모양의 형태로 가공한 후 건조과정과 2단계의 소성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제조된 경량골재는 KS F 2534 "구조용 경량 골재"를 기준으로 인공경량골재의 입도 및 조립률, 밀도 및 흡수율, 단위용적질량, 안정성 및 환경유해성 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입도와 조립률에서 기준 범위를 일부 벗어났으나 다른 모든 물리적 특성은 기준 값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도와 조립률도 향후 제조공정에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olycarboxylate에 혼합 사용된 혼화제의 조기강도 발현성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at an Early Stage of the Compound Mixed into Polycarboxylate)

  • 류현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75-18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폴리카본산계에 혼합 사용된 혼화제의 혼입율 변화에 따른 조강용 혼화제로서의 실무에서의 활용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자한 실험연구 결과이다. 유동성은 만족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공기량은 KS규정보다 다소 작고 단위용적질량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리딩 량은 B2가 가장 적게 나타났고, 응결시간은 A1, B1, C1에서 초결 및 종결이 빠르게 나타났다. 경화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조기재령의 압축강도 발형 경향은 7일 재령에서 C2의 모든 첨가율이 가장 높은 강도 값을 나타내었고 그 중 1.3%의 첨가율이 가장 큰 강도 발현경향을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역시 압축강도에 비해 약 1/10정도의 강도 발현율을 나타내고 있다. 건조 수축에 의한 길이 변화율은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는데, 적당한 AE공기 연행제를 사용하면 실무에서 매우 유용한 혼화제로써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단열성능 향상 재료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Materials)

  • 박영신;김정호;김세환;김상헌;전현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2-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압축강도 24MPa 이상 열전도율이 기존 콘크리트보다 2배 감소된 구조용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현장적용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결과 Plain과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은 경과시간에 따라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가 나타났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단열성능 향상 재료를 사용한 배합의 단위용적질량은 Plain 대비 감소하였다. 압축강도는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가 Plain보다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목표강도 24MPa를 만족하였으며, 열전도율은 Plain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은 Plain과 유사하였고, 중성화 저항성은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이 재령 4주에 Plain과 유사했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Plain보다 중성화 저항성이 저하되었고, 길이변화율은 Plain보다 전체적으로 증가되었다.

유리질중공미소구체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y of the Concrete with Glass Hollow Micro Sphere)

  • 김상헌;김세환;박영신;전현규;서치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60-1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외피를 통해 손실되는 냉난방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써, 구조용 콘크리트에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할로마이크로스피어 (Hollow Micro Sphere, 이하 HMS)를 사용하였다. 중공구조의 마이크로 크기의 입자인 HMS를 사용한 콘크리트를 실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HMS의 사용으로 인해 슬럼프에 감소가 나타나 고성능감수제의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기량은 HMS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압축강도는 HMS의 계면부착력이 형성되지 않는 것에 기인하여 치환율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전도율과 단위용적질량은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열전도율은 보통콘크리트 약 30.0~4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SMA 방법을 이용한 순환 굵은골재 콘크리트의 기계적 성능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concrete using Two-Stage Mixing Approach)

  • 권성준;임희섭;이한승;임명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60-67
    • /
    • 2018
  • 본 논문은 콘크리트 배합 방식(NMA, TSMA1, TSMA2)에 따른 순환 굵은골재 치환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기계적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은 순환 굵은골재를 0%, 50%, 100%로 3수준으로 콘크리트의 배합 방식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는 공기량, 슬럼프, 단위용적질량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경화 콘크리트에서는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시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 NMA 방식과 비교하여 TSMA 방식에서 강도 저하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는 순환 굵은골재가 다량 치환됨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순환 굵은골재가 다량 치환됨에 따라 슬럼프 증진, 공기량 증진, 강도 저하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유연탄 bottom ash의 경량 및 단열 특성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and Thermal Insulation of Bituminous Coal Bottom Ash)

  • 이종규;여운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1호
    • /
    • pp.39-45
    • /
    • 2018
  • FA(Fly ash)에 대해서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반면 BA(Bottom ash)의 연구실적은 많지 않으며, 특히 BA 재활용 분야의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공성인 건식(공랭식) BA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해 이를 재료로 활용하여 만든 BA 모르터와 일반 모르터를 비교 분석하여 BA 모르터의 경량 및 단열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BA의 경량성을 알아보기 위해 밀도 시험, 단위용적질량 시험, SEM 시험을 하였으며, 단열 시험을 위해 BA 모르터와 일반 모르터 몰드를 KS A 0006에서 정한 상온 상습의 환경조건에서 제작 후 항량이 될 때까지 온도 $105{\pm}2^{\circ}C$에서 건조하였다. 경량성 시험 결과 BA 모르터의 경량성은 일반 모르터의 0.72배로 일반 모르터에 비해 약 30%정도 가볍게 측정되어 BA를 건축물 재료로 활용할 경우 건축물 하중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단열 시험 결과 BA 모르터의 열전도율은 일반 모르터의 0.70배로 약 30%정도 단열성이 우수하다.

지역별 잔골재특성 및 잔골재율 조정에 의한 콘크리트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with Regional Fine Aggregate Properties and Modulation of Fine Aggregate Ratio)

  • 유승엽;이상래;이범석;송용순;강석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465-468
    • /
    • 2008
  • 본 연구는 영, 호남 지역의 레미콘 공장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잔골재의 특성을 분석하고, 혼합사용 시 잔골재율 조정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실험을 통하여 혼합사용 시 최적조건을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 호남에서 사용하는 골재 종류별 물성은 조립률 및 0.08mm체 통과량을 제외하고 모두 KS F 2526 및 KS F 2527의 규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각 공장에서는 단독사용이 부적합한 골재를 2종 이상 적절한 비율로 혼합사용하고, KS규정에 적합하게 품질을 관리하고 있었다. 영, 호남 각 공장에서 단위용적질량법에 의해 산출한 잔골재율로 조정한 콘크리트의 배합은 기존의 출하배합보다 높은 유동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잔골재율 약 2% 저감에 따라 잔골재의 표면적 감소 및 공극감소에 따른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에 미치는 잉여수량의 상대적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최적 잔골재율을 적용함으로써 단위수량 감소로 인한 경제적인 콘크리트 배합과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