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위공간기준

Search Result 25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U-City Data Management (U-City정보의 생산.수집.가공.활용 및 유통 등 정보관리방안 수립 연구)

  • Ahn, Jong-Wook;Shin, Dong-B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2
    • /
    • pp.27-35
    • /
    • 2009
  • U-City law was enacted U-City construction to support efficiently. But U-City planning system is not set. And detailed instructions are not also available. In particular, U-City data is not available and specific plans and instructions. Therefore, in this research, "U-City Law"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establish in the U-City Comprehensive Plan and the U-City master plan to be included in U-City data management was presented matters. U-City comprehensive plan provides the direction of the U-City master plan. Detailed action task are (1) U-City data management standards for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and sharing (2) Establishment of U-City data processing and activation (3) U-City data distribution system infrastructure (4) Establishment of data quality and price. U-City master plan is based on the U-City comprehensive plan. And U-City master plan for the data managements are (1) U-City data on the production plan (2) U-City data on the collection plan (3) U-City data on the processing plan (4) U-City data on the activation plan (5) U-City data on the distribution plan.

  • PDF

Storm-Centered Areal Reduction Factors by Durations and Return Periods Using Rain Fields with Composite of Radar and Gauge Rainfall (레이더 및 지상 합성강우장에 대한 지속시간-재현기간별 호우중심형 ARF)

  • Kim, Eunji;Hyun, Sukhoon;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5-285
    • /
    • 2016
  • 설계홍수량 산정 시, 지점강우량을 대상 유역 내 면적강우량으로 환산하기 위해 면적우량환산계수(ARF, Areal Reduction Factors)를 적용한다. ARF를 산정하는 방법은 크게 면적고정형법(Fixed-Area Method)과 호우중심형법(Storm-Centered Method)로 나뉜다. 면적고정형법은 현재 국내 하천설계기준에서 활용하고 있는 방법이지만, 공간적 관측밀도의 제약으로 정확한 ARF 산정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연 최대치계열의 독립적인 빈도해석을 통해 지점강우량과 면적강우량을 산정하므로 동시간(Synchronized)에 발생하는 강우 사상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산정된 ARF는 실제 강우사상으로부터 산정된 값과 편차를 보인다. 반면 호우중심형법은 각각의 강우사상을 분석 대상 유역 중심에 공간전이 시켜 최대 강우량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레이더 강우 자료를 활용하면 현실적 ARF값의 산정이 가능해진다. 레이더 강우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2007-2012년 홍수기(6-9월)의 10분 단위 단일편파 전국합성 레이더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대상지역으로는 한강 권역을 선정하였다. 그러나 기상청 레이더강우 자료의 경우 가용기간이 아직까지 충분하지 않아 다양한 빈도의 강우사상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어, 보조적으로 한강 권역의 지상강우 관측 자료를 수집하여 높은 재현기간의 강우사상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산정된 레이더 및 지상강우 호우중심형 ARF는 통계적 분석을 통해 비초과확률 90%, 95%의 값을 추출하였으며, 지속시간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과 재현기간 0~10년, 10~20년, 20~50년, 50~80년, 80~100년에 대한 호우중심형 ARF 회귀상수를 제시하였다. 비초과확률 95%에서 기존 국토해양부(2011)에서 제시된 ARF와 호우중심형 ARF는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나, 지속시간이 비교적 긴 12시간, 24시간에서는 호우중심형이 기존 ARF보다 다소 작게 산정되는 패턴을 보이고 있어 설계적용 시 유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emporal Analysis of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urface Area using Remote Sensing and CNN (위성영상 및 CNN을 활용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수표면적 시계열 분석)

  • Yang, Mi-Hye;Nam, Won-Ho;Lee, Hee-Jin;Kim, T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8-118
    • /
    • 2021
  •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폭염의 빈도 및 강도 상승에 따른 가뭄 피해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 가뭄은 강수량 부족, 토양 수분 부족, 저수량 부족 등 농업분야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과 관련되어 있어 농작물 생육 및 수확량 감소를 야기한다. 우리나라는 논농사가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 농업 가뭄은 주수원공인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으로 판단 가능하다. 따라서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수리시설물의 모니터링, 공급량 등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농업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 파악이 필요하다. 수자원 분야에서 지점자료의 시·공간적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자료 및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농업용 저수지 수표면 탐지 및 시계열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위성영상 자료는 5일 주기 및 10 m 공간해상도를 가진 Sentinel-2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딥러닝에 적용하기 위하여 100장 이상의 영상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으로는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활용하였으며, CNN은 주로 이미지 분류나 객체 검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모델로 최근 픽셀 단위로 분류가 가능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높은 정확도의 수표면 탐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NN 기반 수표면 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Sentinel-2 영상 기준 경기도 안성시를 대상으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수표면적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Urban Gutter Reservoir Operating System Model Using Sensors (센서를 활용한 도심지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모델)

  • Lee, Woon Sung;Yuk, Youn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9-399
    • /
    • 2022
  • 최근 국지성 호우 등 홍수방어 시설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 발생으로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피해는 전체 피해액의 50%를 넘는다. 그러나 우수관거의 노후화 및 통수능 부족으로 우수의 즉각적인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침수피해의 주요 원인 중 저지대 지역 및 우수관거의 통수능력 부족이 침수피해의 가장 큰 원인을 차지한다. 따라서 도심지의 경우 내수침수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배수관거와 연계한 저류시스템 구축으로 침수 빈발 지역의 치수 능력 향상을 통하여 경제적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저류시스템은 현장 노면수 저류를 위한 측구 저류조와 저류조 운영 시스템을 의미하며, 저류조 운영 시스템 모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현장 센싱(Sensing)데이터와 연계할 수 있는 정보체계 및 운영 시스템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센서를 활용한 도심지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모델을 제시한다. 먼저 센서의 구성은 측구 저류조 내의 협소한 공간과 전원공급, 방진·방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무전원 근거리 이동통신기술(RFID)을 적용하여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수집서버와 통신하여 센싱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는 근거리 RFID 리더기가 측구 저류조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모듈에 수신한 저류조 개폐도어 열림과 닫힘 시그널(signal), RFID의 고유 ID 등을 전달 받아 운영 시스템 내의 RFID 이력 DB(Database)에 기록한다. 기록된 정보는 각각 RFID 일련번호, 기록 시간, 동적센서 시그널 값 등이 저장되어 각각의 측구 저류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저류량 산정을 위해서 GIS기반의 하수도 시설물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영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 운영 시스템은 수집된 센서정보를 시계열 단위로 분석하고 위치정보 기준으로 측구 저류조 내의 총 저류량 산출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며 결과를 표출한다. 따라서 하수도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포함하여 측구 저류조 및 센서의 속성정보 정의가 필요하며, 공간정보 파일(Shape File)을 적용하여 GIS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운영 시스템은 저류조 만관상태와 총 저류량을 산출하여 침수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상 강우에 따른 도심지 피해를 역으로 예측하여 강우사상 빈도에 따른 측구 저류조 체적을 결정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Facility Criterion for the Revised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 Focused on the Unit Learning Space and Special Classroom -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 대응한 초.중.고등학교의 시설기준에 관한 연구 - 단위 학습공간 및 특별교실을 중심으로 -)

  • Choi, Byung-Kwan;Park, Hu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16 no.2
    • /
    • pp.67-77
    • /
    • 2009
  • This study was made in order to provide the groundwork for the revised 7th education curriculum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s facility criterion. Throughout this study, in which we may accomodate the new education curriculum, we prepare the guide for the standard criterion of the school systems in order to reflect the flexibility of various dictinctive regional education conditions and school qualities considering the purpose of new standard criterion of school facilities. Below is the summary of the study. Regular classroom's standard size, which is the basic module for the scale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ccomodates current standards.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is aimed to fit the standard number of the level of OECD member countrie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 that is, 30 students in primary, secondary and high school to be the standard number of student per class, depending on the district conditions and construction point of time. It is advised that the number of extracurricular classrooms, according to the standard criterion of subject and hour allotment, to reflect the regional and institution's distinctive qualities by indicating the number of hours and classrooms including decimal points. That is to be done so that the founder and the interested parties of the institution, along with the architect can put to practical use when planning and designing the institution.

A VLSI Array Processor Architecture for High-Speed Processing of Full Search Block Matching Algorithm (완전탐색 블럭정합 알고리즘의 고속 처리를 위한 VLSI 어레이 프로세서의 구조)

  • 이수진;우종호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7 no.4A
    • /
    • pp.364-370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VLSI array architecture for high speed processing of FBMA. First of all, the sequential FBMA is transformed into a single assignment code by using the index space expansion, and then the dependance graph is obtained from it. The two dimensional VLSI array is derived by projecting the dependance graph along the optimal direction. Since the candidate blocks in the search range are overlapped with columns as well as rows, the processing elements of the VLSI array are designed to reuse the overlapped data. As the results, the number of data inputs is reduced so that the processing performance is improved. The proposed VLSI array has (N$^2$+1)${\times}$(2p+1) processing elements and (N+2p) input ports where N is the block size and p is the maximum search range. The computation time of the rat reference block is (N$^2$+2(p+1)N+6p), and the block pipeline period is (3N+4p-1).

The Estimation and Analysis of Areal Reduction Factor Applying Hydrologic Characteristics in Urban Basin of Jeju Island (수문학적 특성을 적용한 제주 도심지유역의 ARF 산정 및 분석)

  • Kang, Myung-Su;Yang, Sung-Kee;Lee, Jun-Ho;Yang, S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32-432
    • /
    • 2017
  • 국내에서 설계홍수량 산정시, 실무 적용성이 높은 설계강우-유출 모형을 채택하고 유출모형으로는 단위도 방법을 적용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한다. 설계홍수량을 산정함에 있어 설계강우-유출관계 모형을 적용하기 위한 필수요소로 확률강우량 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확률강우량은 유역면적이 25.9 m를 초과할 경우 면적평균확률강우량을 사용하여야하나 지점평균확률강우량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해당 유역 강우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각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되는 지점 강우자료를 면적평균확률강우량으로 산정하는데 매번 복잡한 자료처리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있다. 따라서 비교적 산정이 간편한 지점평균확률강우량을 사용하여 면적평균확률강우량으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는 각 유역별 ARF(Areal Reduction Factor) 의 필요성이 대두된다.(이등, 정등 2002)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유역의 강우 빈도해석시 이용되는 면적고정형 방법을 사용하여 표본면적에 대하여, 설계홍수량 산정요령(국토부, 2012)에 제시 된 4대강 유역의 ARF와 제주도 한천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반영한 ARF를 산정하여 비교 하였다. 표본면적($100km^2$)에 대하여 기존 4대강 유역의 ARF와 본 연구에서 산정된 ARF 비교 결과 권역별, 빈도별, 지속시간에 따른 ARF는 제주 도심지 유역 기준 최대 18.63%(영산강유역) 작게 산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해당유역의 수문학적 특성 미반영으로 인해 설계홍수량이 과다 및 과소 산정되어 안정적인 수공구조물 결정을 저해하는 중요 요소로 작용 될 수 있어 제주도 전 유역에 적용 가능한 ARF 산정 및 기준 설정 등의 조치가 요구된다.

  • PDF

Measuring and Describing Seoul's Mixed-Use Phenomenon (서울시 용도복합 현상의 측정 및 기술에 관한 연구)

  • KIM, Hyun-Moo;LEE, Woo-Jin;KWON, Tae-Jung;YEON, Jeong-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3
    • /
    • pp.10-31
    • /
    • 2021
  • The mixed-use concept definition, this study reveals, is that the mixing three or more major types of urban uses implements for econom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values in our urban space. With this definition the study explores Seoul's mixed-use phenomenon. The quantification method, the study uses, is the relative entropy which calculate the balance of each urban use in a certain area. The relative entropy method, also known as the LUM(land-use mix score), uses three urban-use categories which is derived from the mixed-use concept definition. Hundreds of building-use types in the building regulations are categorized and calculate the LUM of Seoul's legal-status neighborhoods. The result interpreted as the criteria of Seoul's mixed-use phenomenon and categorize mixed land-use status in a certain value: 'non mixed-use' category has a value 0.631 and below, 'unbalanced mixed-use' category has a value between 0.631 and 0.884, 'balanced mixed-use' category has a value between 0.884 and 0.991 and 'complete mixed-use' category has a value 0.991 and over.

Application Study of Vulnerability Assessment Models for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by Spatial and Watershed Scales (수자원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의 공간 및 유역규모별 적용 연구)

  • Chung, Ji Woong;Lee, Woo-Kyun;Cui, Guishan;Lee, Sang Chul;Choi, Sungho;Choi, Hyun-Ah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1 no.1
    • /
    • pp.21-30
    • /
    • 2010
  • In this study, vulnerability of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was assessed in terms of flood, drought and water management. Criteria and indicators were employed for assessing the vulnerability. The criteria used to assess the vulnerability was sensitivity of the study area, the exposure to climate and the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These criteria were quantified and standardized using corresponding indicators. Vulnerability of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is assessed to be generally increasing over time. The appropriate watershed scales are the large drainage basin for national level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the small drainage basin for local one.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of Villages in Border Region according to Change in Civilian Control Line (민간인통제선 변화에 따른 접경지역 마을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 JEONG, H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2
    • /
    • pp.91-101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the study from a macro perspective 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Minbuk villages according to a change in a Civilian Control Line, such as a social and spatial distribution and a change of the existing Minbuk villag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the spatial analysis for the change in the Minbuk villages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in time series by using a map of the Armistice Agreement Vol. 2, Google Earth, a digital cadastral map, an administrative district map, and the like are used as spatial data, and summarizing and constructing, as attribute data, a statistical yearbook, Ministry of Defense and Cheorwon-Gun notification data, a Land Use Regulation Information System, and cadastral map attribute information. After the enactment of the Military Facility Protection Act,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a 20-year basis based on the 1976 statistical yearbook of which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drawn. As a result, the total area of the Civilian Control Zone in Cheorwon from 1975 to 2015 decreased by 105.8 km2, and 9 of 14 Minbuk villages were released and only 6 villages existed. The unoccupied villages were analyzed as 14 villages, 10 fewer than the existing surveyed or statistical villages. The movement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to the north may disappea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inbuk villages but should be done carefully as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current residents, an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the villag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onducting the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which is the basis of the Minbuk regions and the Minbuk villages, and may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subsequent analys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