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순화

Search Result 3,610,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Comparison of 2D Inundation Analysis of Simplified Runoff-model for Development of Sewer Network Simplification Guidelines (하수관망 단순화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단순화 유출 모형의 2차원 침수분석 비교)

  • Lee, Jung-Hwan;Chun, Soo-Bin;Kim, Min-Seok;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7-257
    • /
    • 2018
  •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주요 도시지역의 하수관망은 그 개수는 많고 복잡하여 실시간 도시홍수예보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전체 하수관망을 사용하여 구축한 강우-유출모형에 단순화를 실시하여 분석하지만 연구자의 주관과 단순화 방식에 따라 유출결과가 크게 달라지며 정확한 단순화 범위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망의 개수 및 분포가 각각 다른 여러 도시지역의 하수관망을 일정기준으로 단순화하여 유출, 침수분석을 통한 단순화 적정성을 판단하고 도시지역의 획일적인 하수관망 단순화 가이드라인을 산정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지역은 문래, 구로, 도림천 유역으로, 각 유역을 대상으로 구축한 강우-유출모형의 관망개수는 각각 2000, 10000, 40000여개이다. 하수관망 단순화는 SWMM에서 노드의 누가유역면적을 단순화의 범위 산정을 위한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5가지 범위의 누가유역면적을 기준으로 단순화하였다. 이를 통해 산정된 획일적인 단순화의 범위는 실시간 도수홍수예보에 적합한 합리적이고 정확도 높은 유출모형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2D Inundation Analysis of SWMM Model according to Sewer Network Simplification Methods (하수관망 단순화 방법에 따른 SWMM모형의 2차원 침수분석)

  • Lee, Jung-Hwan;Hwang, Sung-Hwan;Moon, Hyeon-Tae;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7-187
    • /
    • 2019
  • 서울과 같은 주요 도시지역의 하수관망은 그 규모와 구성이 크고 복잡하여 강우유출모형을 구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많은 연구자들이 직관적으로 관망을 구축하고 단순화하고 있으며, 실무에서는 일정기준 이하의 관망을 일괄적으로 삭제하는 등의 간단한 하수관망 단순화 방법을 사용하여 강우-유출 모형을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주요 상습침수 구역인 도림천 유역을 대상으로 전체 하수관망을 구축하고 대상유역의 누가유역면적을 기준으로 모형을 단순화하는 단순화기법과 일정 관경 이하의 하수관을 일괄적으로 삭제하는 단순화방안을 2차원 침수분석 결과를 통해 비교하여 적절한 하수관망 단순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각각의 하수관망 단순화 기법을 통해 3가지 규모로 나누어 모형을 단순화 하였으며 도림천 일대에 많은 침수 피해를 발생시킨 2010년 9월 21일 강우사상을 적용하여 각각의 2차원 침수결과를 침수흔적도와 비교하여 규모별 단순화 방안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 PDF

Motion Simplification using Joint Posture Clustering (JPC) (관절 자세 군집화(JPC)를 활용한 모션 단순화 기법)

  • Ahn, Jung-Hyun;Wohn, Kwang-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0 no.2
    • /
    • pp.42-50
    • /
    • 2004
  • 캐릭터 애니메이션 기술의 발달로 가상공간에 애니메이트되는 캐릭터의 수가 점점 증가되고 있으며, 캐릭터 자체 골격구조의 관절 개수와 캐릭터를 덮고 있는 메쉬의 폴리곤 개수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실시간 가상환경에서 다수의 캐릭터를 전처리 과정 없이 시뮬레이션할 경우 전체 군중시스템 성능의 저하가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션 다단계(motion level-of-detail) 기법을 제시한다. 모션 단순화 기법은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골격(관절)구조와 캐릭터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하(메쉬)구조를 단순화 하는 방법으로 기존 동작과 단순화된 동작의 차이를 최소화 한다. 골격구조 단순화를 위한 JPC(joint posture clustering)방법은 특정 관절의 연속된 모션 시퀀스에서의 유사 자세 집단을 추출하여 하나의 자세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모션의 특성에 따라 동적으로 관절을 단순화하여 관절 시뮬레이션 시간을 줄이는 방법이다. JPC방법은 골격구조가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골격구조의 계층구조를 재 구축할 시간이 필요하지만, 기존 동작과 유사성을 잃지 않는 단순화된 동작 생성이 가능하다. 유사 자세 집단을 추출하기 위해 전체 모션 시퀀스에서 관절의 프레임간 자세 차이를 수식화하여 테이블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통해 기존 동작의 유사성을 잃지 않으며 관절의 단순화 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또한, 실시간 군중 환경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시간에 따라 변형되는 캐릭터 메쉬의 단순화 기법을 적용한다. 실험결과 모션 다단계 기법은 실시간 군중환경에서 캐릭터의 수가 많고 복잡한 골격구조와 기하구조로 구성된 관절 궤적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동작에 대해 특히 효율적이다.

  • PDF

A study on simplification of SWMM for prime time of urban flood forecasting -a case study of Daerim basin- (도시홍수예보 골든타임확보를 위한 SWMM유출모형 단순화 연구 -대림배수분구를 중심으로-)

  • Lee, Jung-Hwan;Kim, Min-Seok;Yuk, Gi-Moon;Moon, You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1
    • /
    • pp.81-88
    • /
    • 2018
  • The rainfall-runoff model made of sewer networks in the urban area is vast and complex, making it unsuitable for real-time urban flood forecasting. Therefore, the rainfall-runoff model is constructed and simplified using the sewer network of Daerim baisn. The network simplification process was composed of 5 steps based on cumulative drainage area and all parameters of SWMM were calculated using weighted area. Also, in order to estimate the optimal simplification range of the sewage network, runoff and flood analysis was carried out by 5 simplification ranges. As a result, the number of nodes, conduits and the simulation time were constantly reduced to 50~90% according to the simplification ranges. The runoff results of simplified models show the same result before the simplification. In the 2D flood analysis, as the simplification range increases by cumulative drainage area, the number of overflow node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positions were changed, but similar flooding pattern was appeared. However, in the case of more than 6 ha cumulative drainage area, some inundation areas could not be occurred because of deleted nodes from upstream. As a result of comparing flood area and flood depth, it was analyzed that the flood result based on simplification range of 1 ha cumulative drainage area is most similar to the analysis result before simpl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reliable data suitable for real-time urban flood forecasting by simplifying sewer network considering SWMM parameters.

Performance Assessments of Three Line Simplification Algorithms with Tolerance Changes (임계값 설정에 따른 선형 단순화 알고리듬의 반응 특성 연구)

  • Lee, Jae Eun;Park, Woo Jin;Yu, Ki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4
    • /
    • pp.363-368
    • /
    • 2012
  • The result of the line simplification algorithm varies with the choice of algorithms, the change in tolerance and the selection of target objects. Three of the algorithms used in this study are Sleeve-fitting, Visvalingam-Whyatt, and Bend-simplify. They were applied to the three kinds of objects which were buildings, rivers, and roads with the five degrees of the tolerance. Through this experiments the vector displacement, the areal displacement, and the angular displacement were measured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trend line of the erro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errors were differ from toleranc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line simplification algorithms based on changes of tolerance were understood.

Simultaneous Simplification of Multiple Triangle Meshes for Blend Shape (블렌드쉐입을 위한 다수 삼각 메쉬의 동시 단순화 기법)

  • Park, Jung-Ho;Kim, Jongyong;Song, Jonghun;Park, Sanghun;Yoon, Se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5 no.3
    • /
    • pp.75-83
    • /
    • 2019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technique for simultaneously simplifying N triangule meshes with the same number of vertices and the same connectivities. Applying the existing simplification technique to each of the N triangule mesh creates a simplified mesh with the same number of vertices but different connectivities. These limits make it difficult to construct a simplified blend-shape model in a high-resolution blend-shape model. The technique presented in this paper takes into account the N meshes simultaneously and performs simplification by selecting an edge with minimal removal cost. Thus, the N simplified meshes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simplification retain the same number of vertices and the same connectivities.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demonstrated by applying simultaneous simplification technique to multiple triangle meshes.

Motion Simplification of Virtual Character (가상 캐릭터의 동작 단순화 기법)

  • Ahn, Jung-Hyun;Oh, Seung-Woo;Wohn, Kwang-Yun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3 no.10
    • /
    • pp.759-767
    • /
    • 2006
  • The level-of-detail (LoD), which is a method of reducing polygons on mesh,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techniques in real-time render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level-of-detail technique applied to the virtual character's motion (Motion LoD). The movement of a virtual character can be defined as the transformation of each joint and it's relation to the mesh. The basic idea of the proposed 'Motion LoD' method is to reduce number of joints in an articulated figure and minimize the error between original and simplified motion. For the motion optimization, we propose an error estimation method and a linear system reconstructed from this error estimation for a fast optimization. The proposed motion simplification method is effectively useful for motion editing and real-time crowd animation.

Accuracy Improvement of Simplified Liquid Storage Tanks Seismic Design (유체저장탱크 단순화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내진설계변수 산출)

  • Song, Soo-Young;Lee, Kang-Won;Kim, Jun-Hwi;Lim, Yun-Moo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285-288
    • /
    • 2010
  • 유체저장탱크가 외부로부터 지진과 같은 동적하중을 받게 될 경우 유체와 구조물의 상호작용(Fluid-Structure Interaction)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구조물과는 상이한 거동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현재 내진 설계에서는 Housner와 Haroun의 이론을 적용한 단순화 모델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모델은 유체의 거동을 대류(convective) 성분과 충격(impulsive) 성분으로 구분하여 집중질량으로 단순화 한다. 하지만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유체저장탱크의 정확한 동적 거동 특성을 파악하고, 지진하중과 같은 방향성을 가진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정확한 응답을 해석하려면 단순화 모델의 적용성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하중을 받는 유체저장탱크의 동적거동을 집중질량 모델과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나아가 해석결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단순화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내진설계변수 산출에 관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Simplification of Boundary Representation Models Based on Stepwise Volume Decomposition (단계적 볼륨분해에 기반한 경계표현 모델의 단순화)

  • Kim, Byung Chul;Mun, Duhw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7 no.10
    • /
    • pp.1305-1313
    • /
    • 2013
  • In this study, a method to apply feature-based simplification to boundary representation models is proposed. For feature-based simplification, a volume decomposition tree is created from a boundary representation model. The volume decomposition tree is represented by regularized Boolean operations of additive volumes, subtractive volumes, and fillet/round/chamfer volumes, and it is generated by stepwise volume de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fillet/round/chamfer decomposition, wrap-around decomposition, volume split decomposition, and cell-based decomposition. After the volume decomposition tree is transformed to an infix expression, the CAD model can be simplified by reordering the volumes.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a prototype system was implemented, and experiments on test cases were conducted.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t is verifi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useful for simplifying CAD models based on boundary representation.

Application of the GPS Data Simplification Methods for Railway Alignments Reconstruction (철도 선형 복원을 위한 GPS 데이터 단순화 방법의 적용)

  • 정의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2 no.1
    • /
    • pp.63-71
    • /
    • 2004
  • This research is to reconstruction of railway alignment using GPS data, an investigation is made on the method of optimum simplification for reduction of unnecessary linear data, improve the accuracy by using four simplification algorithms among the methods. By applying two measured of displacement between observed data and it's simplification methods have been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lexities of lines is not practical to investigate simplification algorithms, the Douglas-Peucker method produced a little displacement between observed data and it's simplification. Its by using the Douglas-Peucker method to observed linear GPS data in railway track, design elements of horizontal alignment have been calculated. Then we could know that obtain the good results fur reconstruction of alignment elements through the methods and algorithn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