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삼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4초

재배지역별 단삼의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비교 (Component Analysis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from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 양은주;선유경;서예슬;신보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29-936
    • /
    • 2017
  • 재배지역에 따른 단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를 위하여 고창, 영양, 장흥 지역의 국내산 단삼 3종과 중국산 단삼에 대한 일반성분,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고, 열수 및 75% 에탄올 추출을 시행하여 단삼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항염증 활성 평가와 salvianolic acid B 함량을 측정하였다. 단삼의 일반성분은 재배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영양 단삼이 가장 높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고창 단삼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재배지역별 단삼의 열수 및 75%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영양 단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75%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더 우수하였다. B. cereus에 대한 지역별 단삼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영양 단삼이 가장 높았으며, 열수에 비해 75%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더 우수하였다.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지역별 단삼 추출물을 처리하여 NO 저해율을 비교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중국산 단삼이 34% 저해율로 가장 높았으나, 75%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고창 단삼이 68% 저해율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재배지역별 단삼 추출물에서 주요 성분인 salvianolic acid 함량을 비교한 결과 영양 단삼 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열수에 비해 75% 에탄올 추출물의 함량이 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농업기술 - 단삼 재배기술

  • 김영국
    • 농업기술회보
    • /
    • 제46권4호
    • /
    • pp.42-43
    • /
    • 2009
  •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높이가 30$\sim$100cm이고 가지가 많으며, 전체에 털이 나 있다. 한약재로 이용되는 단삼뿌리는 관상동맥 확장, 혈압강하 작용이 있고,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며 심혈관 질환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약재의 농약잔류독성, 중금속 등에 대한 안전한 힌약재 선호추세에 따라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약용잔물인 단삼의 재배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단삼 첨가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생육 특성 및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oyster mushroom according to adding of Salvia miltiorrhiza)

  • 이찬중;문지원;유영미;한주연;정종천;공원식;김영국;유영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2-265
    • /
    • 2015
  • 국내에서 재배되는 단삼의 부산물을 느타리버섯 병재배 배지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정 첨가량에 대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삼 10% 첨가된 배지에서 12.7 cm였고, 대조구인 포플러톱밥+미강(8:2)배지에서는 12.5 cm로 단삼 첨가배지와 균사생장이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단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인 포플러톱밥+미강(8:2) 배지 보다 균사생장이 느렸다. 자실체 수량은 대조구가 136.6 g/850 ml였고, 단삼 5 g/병 첨가시 139.5 g/850 ml으로 가장 높았으며, 단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은 급격히 낮아졌다. 갓의 직경과 대의 두께는 대조구보다 단삼 첨가에서 높았으며, 갓의 두께는 단삼 30 g 첨가에서 가장 높았고, 대의 길이는 단삼 20 g과 30 g에서 가장 높았다. 대와 갓의 경도는 단삼 40 g 첨가까지는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갓과 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대의 L값은 단삼 20 g과 50 g에서 가장 높았고, 갓의 L값은 단삼 30 g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수은으로 유발된 토끼의 신장 기능 손상에 대한 단삼(丹參)의 효과 (Effect of Salviae Radix on renal tubular reabsorption in rabbits with mercury-induced acute renal failure)

  • 황영근;정지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7-234
    • /
    • 2000
  • 독성약물에 의한 급성신부전시 세뇨관세포의 물질 재흡수 장애에 대한 단삼(丹參) 추출액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토끼에 수은(HgCl2)을 10 mg/kg되게 피하 주사하여 급성신부전을 유발하였고, 단삼(丹參) 추출액의 효과는 수은을 주사하기 전 7일 동안 0.05% 액(液) 0.3 g/kg 용량을 경구 투여하여 관찰하였다. 수은을 주사하기 전 24시간 동안 요와 혈액을 채취하여 신장기능을 측정하여 대조기간(basal period)의 값으로 하였고, 수은을 주사한 후 24시간 동안 요와 혈액을 얻어 수은에 의한 신장기능 변화를 평가하였다. 수은을 처리한 후 사구체여과율이 대조값에 비해 감소하였고, 혈청내 creatinine 농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수은이 급성신부전을 유발하였음을 가리킨다. 수은을 처리한 동물에서 포도당 및 인산의 배설분율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brush-border membrane에서 물질의 이동장애와 Na-pump 활성의 감소에 기인하였다. 수은을 주사한 동물의 신장피질 절편에서 유기이온인 PAH와 TEA 이동이 억제되었다. 토끼의 신장조직에서 지질의 과산화가 수은을 주사한 후 증가하였다. 단삼(丹參) 추출액을 전 처리한 후 수은을 주사한 경우 수은에 의해 유발된 사구체여과율의 감소와 혈청내 creatinine 농도 증가 현상이 유의하게 완화되었다. 수은에 의한 세뇨관에서 물질의 재흡수 장애가 단삼(丹參) 추출액의 전처리에 의해 방지되었다. 단삼(丹參) 추출액은 수은에 의한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였다. 수은에 의한 급성신부전은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DPPD에 의해 방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생체실험결과 수은에 의한 급성신부전의 유발과정에 지질의 과산화가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고, 단삼(丹參) 추출액은 수은에 의한 급성신부전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그 효과는 단삼(丹參)의 항산화작용에 기인(起因)할 가능성이 많다.

  • PDF

단삼추출액이$H_2O_2$에 의해 유발된 인간의 장관상피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 (Beneficial Effect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SR) on $H_2O_2$-induced Cell Death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 Won-Ill, Kim;Woo-Hwan, Kim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4-173
    • /
    • 2002
  • 목적:반응성산소기들은 장관에서 여러 종류의 질병의 발생과 관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들에 의한 세포손상을 방지하는 약물의 개발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작용을 가진 약재로 보고 된 단삼추출액이 장관상피세포에서 $H_2O_2$에 의한 세포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장관상피세포로는 사람의 소장상피세포에서 유래한 배양세포주인 Caco-2세포를 이용하였고, 세포손상 정도는 trypan blue exclusion assay를 통해 평가하였고, 지질의 과산화는 그 산물인 malondialdehyde의 량을 측정하여 산정하였다. 결과: $H_2O_2$는 처리 시간 및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손상을 유발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단삼추출액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방지되었다. $H_2O_2$에 의한 세포소상은 $H_2O_2$제거제인 catalase와 철착염제인 deferoxamine에 의해 방지되었으나 항산화제인 N,N-diphenyl-p-phenylenamine(DPPD)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H_2O_2$는 지질의 과산화를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단삼추출액과 DPPD에 의해 억제되었다. 단삼추출액은 $H_2O_2$에 의한 세포내 ATP 고갈을 방지하였다. $H_2O_2$는 DNA 손상을 일으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단삼추출액, catalase 및 deferoxamine에 의해 방지되었으나, DPPD에 의해서는 변화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단삼추출액은 장관상피세포에서 $H_2O_2$에 의한 세포손상을 방지하며, 이러한 효과는 항산화작용이 아닌 다른 작용기전에 기인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H_2O_2$가 장관상피세포에서 지질의 과산화를 유발하여 세포손상을 일으키지 않음을 가리킨다.

  • PDF

$H_2O_2$에 노출된 신장 근위 세뇨관 세포에서의 세포 사망 및 DNA 손상에 대한 단삼의 효과 (Effect of Salviae Radix on Cell Death and DNA Damage in Renal Proximal Tubular Cells Exposed to $H_2O_2$)

  • Sung-Dae, Kim;Ji-Cheon, Jeo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30
    • /
    • 2001
  • 목적 : 이전 연구에서 단삼 추출액이 강력한 항산화 작용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어 단삼 추출액이 신장세뇨관 세포에서 oxidant에 의한 세포사망 및 DNA 손상을 방지하는 지를 조사하고 이러한 효과가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는 효과에 기인하는 지를 시험하였다. 방법 : 신장 근위세뇨관 세포 유래 세포주인 opossum kidney (OK)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사망은 frypan blue exclusion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DNA손상 정도는 double stranded DNA의 파괴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Oxidant 약물 모델로는 $H_2O_2$를 사용하였다. 결과 : $H_2O_2$는 적용시 간과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 사망을 유도하였다. 단삼 추출액은 0.05% 농도에서 $H_2O_2$에 의한 세포사망 및 DNA 손상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방지효과는 $H_2O_2$ 제거 효소인 catalase와 철 착염제인 deferoxamine에 의해서도 나타났다. 그러나 강력한 항산화제인 DPPD는 $H_2O_2$에 의한 세포 사망이나 DNA손상을 방지하지 못하였다. $H_2O_2$는 세포내 ATP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감소는 poly (ADP-ribose) polymerase억제제인 3-aminobenzamide에 의해 방지되었으나 단삼 추출액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3-aminobenzamide는 $H_2O_2$에 의한 세포 사망을 방지하였다. $H_2O_2$는 지질의 과산화를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변화는 단삼 추출액과 DPPD에 의해 방지되었다 결론 : OK 세포에서 $H_2O_2$에 의한 세포사망과 DNA 손상에는 지질의 과산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으며, 단삼 추출액의 $H_2O_2$에 의한 세포 사망과 DNA 손상 방지 효과는 항산화 작용이 아닌 다른 기전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단삼 추출물의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 작용 및 사료 적용 시험 (Antibacterial Effect of fish Diet Soaked in Salvia miltiorriza Extract)

  • 목종수;송기철;최낙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57-163
    • /
    • 2001
  • 단삼으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여 어류질병에 대한 천연 항균약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최소증식억제농도, 최소살균농도 및 어류사료에 적용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단삼 추출물은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그람음성균에 대하여는 항균활성이 약하였다. 단삼 추출물의 그람양성균에 대한 최소증식억제농도는 13.4 ~40.3 $\mu\textrm{g}$/ml이었으며, 67.2~403.0 $\mu\textrm{g}$/ml의 농도에서는 살균작용을 보였다. 그러나 그람음성균인 Edwardsiella tarta에 대하여는 403.0 $\mu\textrm{g}$/ml를 첨가하여도 살균작용은 물론 균 증식을 억제하지도 못하였다. 사료를 단삼 추출액에 침지시 적정 침지시간은 10분이었고, 단삼 추출물에 침지시킨 사료는 사용된 모든 어류질병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10.5~14.5 mm의 저해환을 형성하였으며, 특히 Streptococcus 속 및 Vibrio anguillarum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료 중량에 따른 추출물 흡수량은 식 Y=2.4953X+3.3276 ($R^2$=0.9999)으로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단삼추출물에 침지시킨 사료의 항균활성은 저장온도 10~35$^{\circ}C$에서 28일까지 안정하였다.

  • PDF

아나필락시스 반응과 비만세포 활성화에 대한 한국전통약제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everal Korean Traditional Herbs on Anaphylactic Reaction and Mast Cell Activation)

  • 채옥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4호
    • /
    • pp.201-209
    • /
    • 2010
  • 한방에서 사용되는 약재 중 가자와 지모, 단삼은 면역조절 및 항암효과, 항염증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비만세포와 관련된 아나필락스를 이해할 수 있는 세포학적 기전에 대한 가자와 지모, 단삼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아나필락시스 반응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시험관내 실험과 생체 실험을 통하여,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compound 48/80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와 비만세포 활성화 및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compound 48/80에 의한 전신성 아나필락시스와 귀부종 반응,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억제하였다. 2) Compound 48/80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과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가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 전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3) Compound 48/80에 의한 흰쥐 복강 비만세포내로의 칼슘 유입이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 전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과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 비만세포내로 칼슘유입을 억제함으로써 compound 48/80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와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가자와 지모, 단삼은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단삼추출물의 항산화능 검색 및 약과에의 첨가효과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in Dansam(Salvia miltiorrhiza) and Additional Effect on the Shelf-Life and the Characteristics of Yakgwa)

  • 김윤화;한영실;백재은;송태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63-469
    • /
    • 2003
  • 단삼을 ethanol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고, methanol로 추출하여 용매별로 순차 분획하여 농축시켜 분획별 추출물을 얻었다. 항산화효과를 실행하기 위해 DPPH 방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다. 식품에의 첨가에 대한 보존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약과에 단삼 에탄을 추출물을 0.0, 0.25, 0.5, 0.75, 1.0%별로 첨가하여, 제조 한 후 5일간 6$0^{\circ}C$의 Drying oven에 넣어 24시간 단위로 AV, POV, TBA가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단삼에탄을 추출물은 IC50이 8.27과 12.59$\mu\textrm{g}$/$m\ell$이었으며, 메탄을 추출물의 각 분획별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층> Chloroform 층> Buthanol층> Water층> Hexane층 순으로 나타났다. 지질산패도 실험 결과, 단삼 첨가한 약과는 무첨가군에 비해 지질산화가 적게 일어났으며 그 효과는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효과도 크게 나타났다. 6$0^{\circ}C$에서 5일 동안 저장할 때, 산가의 경우RAE(상대적항산화효과)가 무첨가군을 100으로 보았을 때, 단삼의 경우 첨가량별로 130, 217, 269, 282로 증가하였다. POV의 RAE도 단삼의 경우 122, 187, 215, 267 증가를 보였다. TBA value의 RAE는 단삼은 137, 286, 419, 555로 뚜렷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단삼과 울금 추출물 첨가 약과가 무첨가군에 비하여 저장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삼(Salvia miltiorrhiza) 추출물의 치주질환유발 세균의 생육억제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 (Inhibition of Growth and Collagenase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against Microorganisms Causing Periodontal Diseases)

  • 민응기;김용해;금상일;한영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1-114
    • /
    • 2004
  • 단삼(Salvia miltiorrhiza) 추출물의 치주질환유발 세균에 대한 생육저지 활성 및 collagenase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단삼 에탄올 추출물은 치주질환유발 세균에 대해 우수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유기용매 분획물중, hexane에서 생육억제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치주질환유발 세균 C. curvus, C. rectus, E. corrodens, F. nucleatum, P. gingivalis, P. intermedia 및 W. succinogenes에 대한 단삼 추출물의 최소생육저해농도(MIC)는 200,50,50,250,150,250및 200 ${\mu}g$/ml로 각각 우수한 생육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단삼 유기용매 분획물의 collagenase저해 활성은 동일 농도의 minocycline에 비해 우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hloroform분획물의 경우 88.2%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