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백질 약물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32초

흰쥐의 실험적 건망모델에 있어 항치매 효과물질의 약효검색에 관한연구(I)

  • 이영근;류항목;양지선;김옥희;최병천;이숙영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43-43
    • /
    • 1992
  • 최근 수년 전부터 학습(learning), 기억(memory)의 분자약리학적 기전과 치매(dementia)의 신경생리학적 원인 규명에 대한 연구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횐쥐를 이용하여 실험실적 건망모델을 설정하여 항치매 물질의 효력 screening을 시도하였다. 실험실적 건망모델은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Acetylcholine 길항제인 Scopolamine을 사용하여 중추신경계중 기억, 학습기전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cholinergic신경계률 차단하여 유발한 실험적 건망모델과, 둘째, 단백질합성 저해제인 cycloheximide를 사용하여 기억, 학습경로에 관여하는 수종의 중추 단백질듈을 비선택적으로 저해하여 유발한 실험적 건망모델을 이용하여 인삼, 오미자등의 항치매 효과를 검색하고자 수동적 회피학습능, 능동적 회피학습능, 자발운동량을 측정하여 기억, 학습, 행동의 상관 관계를 고찰하였다.

  • PDF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Cd-binding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 in rat liver

  • Kim, Bong-Hee;Chun, Ki-Ju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6-126
    • /
    • 1995
  • 본 연구는 중금속에 의한 생체내 독성기전을 연구하고자 흰쥐간의 상층액에서 카드뮴과 잘 결합하는 HMWP들을 분리, 정재하고 나아가 생화학적 특성을 밝히고 이단백질이 카드뮴에 의해 생성되는 것인지 아니면 간의 기존 단백질인지를 밝히고자 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CdCl %2 (3mg/kg body wt.)을 3일간 ip injection시킨 후 흰쥐의 간을 적출하고 균질화하여 원심분리한 crude extract를 직접 Sephacryl S-100에 흡착시켜 10mM phosphate buffer(pH 7.0)으로 용출시켰다. 용출된 fraction tube를 UV spectrometer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로 카드뮴량을 측정하여 카드뮴량이 높은 분획을 모아서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DEAE-Sepharose)에 흡착시켜 염농도 구배로 chromatography를 실시하고, 음이온 교환수지에서 흡착되지 않고 용출된 분획을 ultrafiltration으로 농축시킨 후 S-Sepharose에 흡착시켜 염농도 구배로 chromatography를 실시한 결과 두 종류의 카드뮴 결합 단백질(Cd-BP)를 분리, 정제하였다.

  • PDF

Native Chemical Ligation을 통한 티타늄 산화물 기판에의 폴리에틸렌글리콜 고정 (Poly(ethylene glycol) Immobilization to Titanium Oxide Substrates Through Native Chemical Ligation)

  • 변은경;김장배;강성민;이혁진;방두희;이해신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2년도 추계총회 및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4-85
    • /
    • 2012
  • Poly(ethylene glycol) (PEG)는 Hydrophilic하면서 독성이 없기 때문에 약물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초기 PEGylation은 약물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PEG의 non-fouling 효과 때문에 표면에 적용하여 biomedical 장비에 세포나 단백질이 붙지 않도록 하는 개질하는 방법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Native Chemical Ligation(N.C.L.)은 단백질을 합성할 때, Protecting group을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N.C.L.은 합성한 두 물질이 Thioester와 Cysteine을 갖고 있으면, mild condition에서 amide bond를 형성하면서 반응이 쉽게 진행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N.C.L.을 표면에 적용시켰으며 그 중 한 예로 표면 PEGylation진행하였다.

  • PDF

개시제와 교차결합제 농도의 변화에 따른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물리적 성질과 약물용출 농도의 변화 (Changes in Drug Elution Concentr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ft Contact Lenses Depending on the Initiator and Crosslinker)

  • 박현주;이현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5-151
    • /
    • 2014
  • 목적: 개시제와 교차결합제의 농도에 따른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을 변화시켜서 재질변화에 대한 물리적 특성 및 약물의 용출량 및 속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HEMA에 개시제인 AIBN과 교차결합제인 EGDMA의 농도을 변화시켜서 콘택트렌즈를 제작하였다. 항균물질인 노플록사신(norfloxacin)은 고분자 중합 시 0.1% 농도로 단량체와 함께 혼합하였다. 재질변화에 따른 물리적 성질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약물용출 농도, 함수율, 굴절률, 단백질 흡착량 등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개시제의 농도을 변화 시킨 콘택트렌즈는 함수율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굴절률의 값에도 별 변화가 없었다. 교차결합제 농도이 증가하면 함수율이 낮아지고 굴절률이 높아졌다. 약물용출의 농도를 살펴보면 개시제의 변화에 의해서는 많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함수율이 높을수록 용출되는 농도가 증가하였다. 단백질 흡착양은 개시제에 의한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함수율이 낮을수록 흡착되는 양이 증가하였다. 결론: 개시제의 농도에 대한 변화는 특성 변화에 영향력이 거의 없었으며, 교차결합제 농도에 따라서는 많은 변화를 보였다. 교차결합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함수율은 감소하며 굴절률은 증가하였다. 또한 함수율의 증가에 따라 약물이 많이 용출되었으며 단백질의 흡착량은 감소되었다.

천연 독소로부터 세포독성물질의 분리 및 정제

  • 김영식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08-208
    • /
    • 1994
  • 코브라과 (Elapidae)에 속하는 뱀에는 극소량으로도 치사시킬수 있는 독을 가지고 있는데 독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중 특정한 계열의 단백질이 매우 두드러진 약리학적 활성을 보여줄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사들의 혈액독소 및 신경독소를 우리나라에서 제일 종류가 많은 위암세포주(SNU-1)에 대해서 세포독성을 검색하고 곤충 및 해양생물의 독소에 대해서도 위암세포주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 king cobra계통인 Ophiophagus hannah의 분획은 SDS-PAGE에서 분자량이 66,000 부근에 나타난 것이 세포독성물질로 추측되며 더욱 정제하여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고 Phospholipase화성을 측정함으로써 세포독성물질의 규명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뇌조직으로부터 정제한 Succinic semialdehyde reductase의 정제 및 활성기작 연구

  • 최수영;송민선;최의열;조성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71-271
    • /
    • 1994
  • NADPH-dependent succinic semialdehyde reductase를 소의 뇌조직으로부터 여러가지 크로마토그래픽 방법을 이용하여 순수 분리 정제하였다. 효소는 분자량 34kDa을 가진 monomeric 단백질이며 substrate specificity. 분자량, 최적 pH, 아미노산 조성 등을 다른 sources의 효소들과 비교하였다. 이 비교 결과들로부터 본 연구에서 정제한 효소는 다른 sources와 다른 효소로 밝혀졌다. 반응의 산물이나 유사 기질 등을 저해제로 사용하였을때의 반응기작은 intermediate ternary complex를 형성하고 NADPH가 먼저 효소에 binding하는 ordered Sequencial mechanism을 보인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사람의 $\beta$$_2$-adrenergic receptor 유전자의 cloning 및 효모에서의 발현

  • 강현삼;고광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61-61
    • /
    • 1993
  • 사람의 혈액의 백혈구로부터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beta$$_2$-adrenergic receptor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이 증폭된 유전자를 pbluescript KS(+)에 cloning하였으며, 제한효소지도 작성과 부분적인 염기배열 확인으로 증폭된 유전자가 사람의 $\beta$$_2$-adrenergic receptor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다. $\beta$$_2$-adrenergic receptor 유전자를 N말단의 아미노산이 21개 제거되도록 결손시킨후 yeast의 pSec5의 Killer toxin signal sequence의 뒤에 in-frame으로 연결하였다. 현재 효모에서의 발현양상 및 발현된 단백질의 활성을 조사중이다.

  • PDF

자극감응성 고분자막을 통한 약물의 방출조절

  • 임성윤;이영무;성용길;조종수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3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2-43
    • /
    • 1993
  • 최근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고분자재료를 이용하여 약물의 방출속도를 조절하며 이를 통해서 장기간에 걸쳐 치료 유효농도이상의 혈중농도를 유지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극대화 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macromolecular drug의 방출조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acromolercular durg은 인슐린, 알부민등의 단백질과 유로키나제등의 효소와 같이 약효는 매우 높으나 적절한 투여 수단이 발견ㄷ되지 않아 투여가 매우 번거로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같은 macromolercular durg의 대부분은 구강을 통해서 투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체내 반감기도 매우 짧아서 적절한 투여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 PDF

Salmonella Type III Secretion System을 이용한 단백질 분비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rotein Secretion System using Type III Secretion System of Salmonella)

  • ;홍순호
    • KSBB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393-396
    • /
    • 2009
  • 단백질을 동물세포내부로 직접 주입할 수 있는 살모넬라 균주의 T3SS를 활용하여 모델 단백질인 lipase를 세포외부로 분비하는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T3SS의 effector 단백질인 SlrP, SptP의 N-말단부분과 lipase를 fusion하였다. Lipase 분비실험의 결과 S. typhimurium SL1344 (sptP-tliA) 균주의 경우 lipase 활성도가 약 2.6배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T3SS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T3SS를 신개념 약물전달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해 지리라 예상된다.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 의 선택적 저해제 3-Deazaneplanocin A 에 의한 (Melanogenesis Promotion by 3-Deazaneplanocin A, a Specific Inhibitor of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 in B16/F10 Melanoma Cells)

  • 황윤정;부용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7-121
    • /
    • 2021
  • 백색증이나 백반증에서 관찰되는 피부 저색소침착은 유전적 요인, 후성유전적 요인 및 기타 요인에 의해 멜라닌 합성이 감소할 때 발생한다.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촉진 할 수 있는 약물 후보를 확인하기 위해 141개의 세포 투과성 저분자 약물로 구성된 후성유전적 조절제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했다. B16/F10 쥐 흑색종 세포를 0.1 𝜇M에서 각 약물로 처리하고 멜라닌 합성 및 세포 생존력을 모니터링했다. 그 결과, (-)-네플라노신 A, 3-디아자네플라노신 A (DZNep) 및 DZNep 염산염이 세포 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구조적으로 관련된 약물은 세포 멜라닌 합성 및 세포 생존력에 유사한 용량 의존적 효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DZNep을 추가 실험을 위한 대표 약물로 선택하였다. DZNep는 세포내 멜라닌 함량과 티로시나제(TYR) 활성을 증가 시켰다. DZNep은 또한 m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TYR, 티로시나제 관련 단백질 1 (TYRP1) 및 도파크롬 토토머라제 (DCT)의 발현을 유도했다. DZNep는 또한 멜라닌 합성의 주요 조절자인 소안구증 관련 전사 인자(MITF)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유도했다. DZNep은 S-아데노실 호모시스테인 가수분해효소의 선택적 억제제이며 히스톤 메틸화효소를 저해하는 S-아데노실 호모시스테인의 세포내 축적을 유발하였다. 이 연구는 특정 세포 상황에서 S-아데노실 호모시스테인 가수분해효소를 표적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이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