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기간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21초

상호참조시간을 고려한 단기간 임시지역성 측정 (Measurement of Short-term Temporal Locality Based on Request Interarrival Time)

  • 김영일;심재홍;최경희;정기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1호
    • /
    • pp.63-74
    • /
    • 2004
  • 임시지역성은 웹 캐싱 전략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며, 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임시지역성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상호 참조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스택을 이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임시지역성 측정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참조시간을 고려한 단기간 임시지역성 측정도구를 제안하고, NLANR과 NASA의 로그 파일로 실험한 결과를 논의한다. 실험 결과 스택기반의 기존 측정도구보다 상호참조시간 기반의 제안 측정도구가 단기간 임시지역성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었다.

저비용 모바일 게임 개발사례 분석을 통한 사용성 연구 (A Study of Usability Analysis on 'Low-Budget' Mobile Game Development)

  • 안덕기;김석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355-363
    • /
    • 2019
  • 본 연구는, 기존의 저비용 모바일 게임개발 사례를 근간으로, 3명의 개발인원, 4개월의 개발기간이라는 연구의 지향점을 두고 진행된 분석연구로, 소규모, 단기간 조건하에서 게임제작에 필수적인 업무 간 협업과정을 단계별로 기록, 효율적 게임개발의 필수요소들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로 개발인원의 업무적 책임역량을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본문에서 단기간 제작사례를 바탕으로 제작자의 입장에서 효과적인 제작 과정을 분석, 과정상의 핵심요소를 제시하고, 사용성 검증을 위하여 개발자들의 피드백을 추가적으로 첨부함으로서, 소규모 인원에 의한 단기간 게임개발의 장, 단점 및 보완사항이 연구결과로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소규모 개발사에게 좋은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간 기관내 삽관전, 후 음성지표의 측정

  • 서영일;남순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7년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6-116
    • /
    • 1997
  • 배경 및 목적: 전신마취를 위하여 시행한 기관내 삽관은 삽관튜브와 성대내면의 접촉에 의한 압력과 마찰로 후두 미세한 손상을 주게된다. 저자들은 단기간 기관내 삽관 전,후의 음성분석을 통하여 손상의 유무와 회복을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음성지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만성 중이염 수술시 전신마취를 목적으로 경구기관 튜브를 거치한 성인 남자 10명과 여자 15명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1일전과 술후 24시간 후 각각 "a"음을 연장 발성시켜 CSL 4300B (KAY elemetrics Corp)의 MDVP(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을 이용하여 harmonic to noise ratio(NHR), Jitter, Shimmer, Fundamental frequency를 측정 비교하였다. 결 과: 남녀 모두에서 Jitter, Shimmer는 각각 평균 0.70%에서 1.06%, 1.92%에서2.28%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Fundamental frequency는 여자에서 평균 220Hz에서 221Hz로 남자는 125Hz에서 128Hz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harmonic to noise ratio(NHR)또한 평균 0.11로 수술 전, 후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2내지 6시간의 단기간 삽관으로 인한 성대의 손상은 경미하여 24시간 이내에 회복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6시간 이상의 기관내삽관이나 수일이상의 장기간 삽관후의 음성지표의 측정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심혈관 신호에 있어서 단기간 beat-to-beat 변이의 비선형 역할에 관한 연구 (Study on Nonlinearites of Short Term, Beat-to-beat Variability in Cardiovascular Signals)

  • Han-Go Choi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1-158
    • /
    • 2003
  • 심장혈관 신호에 있어서 단기간의 beat-to-beat 변이(variability)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 선형 분석기법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단기간 beat-to-beat 변이에 대해 선형기법 사용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나 선형과 비선형 특성을 비교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단기간 beat-to-beat 변이의 비선형성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선형기법 사용의 적절함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형 ARMA와 비선형 신경망(NN)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을 수행하였는데, 과거의 순시 심박(HR)과 평균 혈압(BP)으로부터 현재의 심박과 혈압 예측을 상호 비교하였다. 이러한 예측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MIMIC 데이터베이스로부터 HR와 BP 시계열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신경망에 의한 비선형성은 단기간 beat-to-beat 변이를 생성하는 시스템 동특성을 나타내는데 의미있는 역할을 하지 못하였으며, 이 사실은 ARMA 선형 분석기법이 이러한 시스템 동특성을 나타내는데 적절함을 보여주고 있다

중학교 레슬링 선수의 단기간 체중 감량이 신체 구성과 적혈구 Heinz body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pid Weight Loss on Body Composition and Heinz Body Formation in Middle-School Wrestlers)

  • 김종오;김영욱;윤진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84-889
    • /
    • 2006
  • 본 연구는 중학교 레슬링 선수의 단기간 체중 감량이 신체구성 성분과 적혈구의 산화적 손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중학교 레슬링 선수의 시합 전 단기간 체중 감량 법에 의한 체중 감량은 주로 탈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임을 확인하였으며, 인체 내 산소운반 능력을 가진 적혈구의 산화적 손상 지표로 이용되는 RDW, ESR, 그리고 Heinz body 형성의 변화를 확인해 본 결과 성장기에 있는 중학교 레슬링 선수의 시합 전 단기간 체중 감량법에 의한 체중감량은 적혈구의 산화적 손상을 증가시켜 인체 내 산소운반 능력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좀 더 다양한 감량법과 더불어 기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반코마이신 단기간 투여로 유발된 호중구감소증 증례보고 (A Case of Neutropenia Induced by Short-Term Treatment of Vancomycin)

  • 김수현;방준석;김광준;이유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7-80
    • /
    • 2013
  • 메치실린 저항성 황색 포도상구균(MRSA)에 감염된 환자에게 단기간 연속적으로 반코마이신을 투여했을 때 비정상적으로 호중구의 수치가 감소한 약인성 부작용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해당 여성 환자는 61세로서 MRSA 감염증을 판정받고 반코마이신 투여와 더불어 점차 백혈구(WBC)와 절대호중구수치(ANC)가 감소하였고, 제10일째에 이르러 호중구 감소증이 발생하여 ANC가 최저 430 $cells/mm^3$까지 낮아졌으나, 반코마이신의 투여를 중단하자 곧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본 사례는 Naranjo Probability Scale과 Korean Algorithm Score(Ver. 2.0)로 각각 평가하였을 때 반코마이신의 투여와 호중구감소증의 발현 사이에 모두 '가능한(probable)' 정도의 인과관계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통상적으로 20일 이상 연속투여를 할 때 임상적으로 관측되던 반코마이신-유래 호중구감소증이 단지 10일 정도의 단기간 투여만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임상적 약물부작용의 사례로서, 향후 MRSA환자에게 반코마이신을 선택할 때에는 이와 같은 부작용을 고려하여 환자의 WBC와 ANC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투여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