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계 의미

Search Result 1,800,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말 실수와 의미 및 음운 정보 처리: 실험식 유도 말실수의 분석

  • Go, Hye-Seon;Lee, Jeong-M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114-122
    • /
    • 1996
  • 그림자극의 명명에 있어서 이름의 의미유사성, 음운유사성, 그리고 처리부담(말속도, 기억 부담)이 말 실수 오류수와 명명 시간에 주는 영향을 알기 위해 2개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의미(유사/상이), 음운(유사/상이) 변인에 추가하여 실험 1에서는 말속도(330ms, 385ms, 770ms)의 변인이, 실험 2에서는 인지적 부담(높음/낮음)의 변인이 조작되었다. 두 실험의 결과, 의미유사성과 음운유사성, 그리고 인지적 처리 부담이 말 실수의 양과 그림자극 명명 시간이 증가시킴이 드러났다. '의미유사' 조건 및 '음운유사 조건'과 '의미-음운 모두 유사' 조건간의 말실수의 양의 차이는 말 산출 과정에서의 어휘 인출 과정에 대한 '독립적 2단계 모형'과 '활성화 상호작용 모형' 중 전자에 의해 더 잘 설명될 수 있음이 논의되었다.

  • PDF

Parser as An Analysis Finisher (분석의 최종 판단자로서의 구문 분석기)

  • Yuh, Sang 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77-680
    • /
    • 2004
  • 통상적인 언어 처리의 분석 과정은 전처리, 형태소분석, 품사 태깅, 복합 단위 인식, 구문 분석, 그리고 의미 분석 등의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다. 분석의 매 단계에서 중의성(Ambiguity)가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구문 분석 이전의 분석 단계에서도 정확률(Precision)을 높이기 위해, 어휘(Lexical) 정보, 품사정보 그리고 구문 정보 등을 이용한다. 각 단계에서 고급 정보로서의 구문 정보 이용은 구문분석의 중복성과 분석 지식의 중복성을 야기한다. 또한, 기존의 처리 흐름에서는 각 분석 단계에서의 결과는 최종적인 것으로, 이로 인해 다음 분석 단계에 분석 오류를 전파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문 분석기를 분석 결과의 최종 판단자로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즉, 구문 분석 전단계의 모든 분석 정보는 구문 분석기에 제공되고, 구문분석기는 상향식 구문분석을 수행하면서 이들 정보들로부터 최종의 그리고 최적의 분석 후보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구문분석기는 한 문장 단위를 입력 받는 기존의 제한을 따르지 않는다. 제안된 방법은 구문분석 앞 단계에서의 잘못된 정보 제공(예: 문장 분리 오류, 품사 오류, 복합단위 인식 오류 등)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이를 통해 분석 실패의 가능성을 최대로 줄인다.

  • PDF

A Study on the Meaning and Value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Appreciation of Portraits in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Secondary Education of Art (조선시대 초상화 감상을 통한 인성 교육적 의미와 가치 탐구 -중등미술을 중심으로)

  • Kwak, Chul-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6
    • /
    • pp.342-352
    • /
    • 2018
  • Seongri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said that portraits were revered as academic teachers, and that the personal meaning was typical. Portraits in the latter phase of Joseon Dynasty have been popular in various contexts, especially in the sense of the texture, the religious church, and the ritual service. The etiquette and written aspects contained in portraits can point out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society's individualism and attitudes through the expressive and personal approach to the art of painting.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explore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coordinate myself with others, to have respect for others, and to change the inner workings of individuals. Through this, we can explore and explore personality education elements and find ways to achieve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exploration of figures using portraits as educational material, the process of making portraits, and the discovery of meaning. Therefore, for systematic appreciation, we are planning to set up an appreciation standard by proposing a 3-step review process applied to the 2015 revised education course.

The Tendency of Denotative Re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in Disney Animation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외시 의미적 표현과 소통의 경향)

  • Oh, Dong-I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1
    • /
    • pp.575-583
    • /
    • 2014
  • Roland Barthes views a myth as a chain of connotative concepts that are mutually connected. For him, a myth appears through a chain connotation that is mutually related, due to the first-stage signification system. In other words, the connotation of a particular scene is already inherent in a culture in the form of social convention or social values before it is made. In the case of Disney animation, as mentioned Barthes, it has also two layers of denotation and connotation for signification. However, Disney animation shows the tendency that seek the denotative representation and the direct communication, based on the typified character, to the representation and delivery of the myth that is inherent. Therefore, the tendency of denotative signification is seen Disney animation can be said as a branch of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approach to the aesthetics of Disney animation.

Meaning of Rating Beyond Recommendation: Explorative Study on the Meaning and Usage of Content Evaluation Based on the User Experience Stages of Personalized Recommender Service (평점의 의미: 개인화 추천 서비스에서 사용자 경험단계에 따른 콘텐츠 평가의 의미와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Hyundong Kim;Hae-jeong Hwang;Kieun Park;Mingu Kang;Jeonghun Kim;Inseong Lee;Jinwoo Kim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8 no.3
    • /
    • pp.155-183
    • /
    • 2016
  • Research on personalized recommender service that uses big data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given the increasing volume of contents being created. This development indicates the need for service providers to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and content rating data to personalize content recommendations. Previous studies on this topic proposed algorithms to offer improved recommendations using minimal rating data or service designs and increase the number of ratings. However, limi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actors that motivate the ratings input of users, as well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continuous usage of recommender service.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factors that motivate users to enter rating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users who use recommender services. The meanings of these ratings were also explored. Results show that the meaning and usage range of ratings differed based on the stage of a user's with utilization of the service. When users input an initial rating, they treat such a rating as a database to save the impression of a past experience. Such a rating is then used as a tool to reflect the current feeling and thoughts of a user. In the end, users were not only interested in their own rating system, but they also actively sought out the meaning of the rating systems of others and utilized them. Users also expressed mistrust in the recommendations of the service because they were aware of the limitation of the algorithms. This study identified a number of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recommender services.

Different Approaches of Introducing the Division Algorithm of Fractions: Comparison of Mathematics Textbooks of North Korea, South Korea, China, and Japan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도입 방법 연구: 남북한, 중국,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내용 비교를 중심으로)

  • Yim, Jae-Hoon;Kim, Soo-Mi;Park, Kyo-Sik
    • School Mathematics
    • /
    • v.7 no.2
    • /
    • pp.103-121
    • /
    • 2005
  • This article compares and analyzes mathematics textbooks of North Korea, South Korea, China and Japan and draws meaningful ways for introducing the division algorithm of fractions.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five contexts: 'measurement division', 'determination of a unit rate', 'reduction of the quantities in the same measure', 'division as the inverse of multiplication or Cartesian product', 'analogy with multiplication algorithm of fractions'. The main focus of the analysis is what context is used to introduce the algorithm and how much it can appeal to students. This analysis supports that there is a few differences of introducing methods the division algorithm of fractions among those countries and more meaningful way can be considered than ours. It finally suggests that we teach the algorithm in a way which can have students easily see the reason of multiplying the reciprocal of a divisor when they divide with fractions. For this, we need to teach the meaning of a reciprocal of fraction and consider to use the context of determination of a unit rate.

  • PDF

A Question Answering System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ategory Information of Thesaurus (시소러스범주정보를 이용한 질의응답시스템)

  • 김수민;백대호;김상범;임해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179-183
    • /
    • 2000
  • 정보검색시스템은 사용자의 질의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보검색시스템은 단어와 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질의를 입력받아 문서를 검색해 주고, 사용자는 그 문서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다시 찾아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 자여어질의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좀 더 근접한 형태의 답으로서 제한된 길이의 짧은 답을 제시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시스템은 크게 질의분석단계, 문서검색 및 분석단계, 정보추출단계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사용자 질의분석단계에서는 의문사 정보와 오토마타, 시소러스 범주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에 대한 정답이 될 수 있는 단어의 속성을 예측하였다. 문서분서단계에서는 정답이 될 수 있는 단어의 후보를 선정하기 위해서 시소러스의 범주정보를 사용하였고, 선정된 정답후보중에서 정답을 추출하기 위해 각 후보단어의 질의단어와의 평균거리가중치, 범주간유사도, 공기질의어비율을 사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평균거리가중치만을 이용하는 것 보다 범주간유사도와 공기질의어비율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성능의 향상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Quantifying of Software Quality Risk (소프트웨어 품질 리스크의 정량화에 관한 연구)

  • Yoon, Jin-Woo;Kwon, Wonil;Kwon, Ho-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1027-1030
    • /
    • 2010
  • 소프트웨어 테스팅에서 리스크 기반 테스팅은 리스크 식별, 리스크 분석, 리스크 계획, 리스크 추적의 4 단계로 전개되며, 특히 마지막 단계인 리스크 추적 단계에서는 식별된 리스크가 테스팅 진행과정을 거치면서 어느 정도 완화되었는지를 확인하고 현재의 리스크 완화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는지를 모니터링 해야 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하지만 리스크 추적 단계에서 필요한 리스크 완화 수치가 정의되지 않아 사용자들은 테스트 실행율 또는 결함 해결율 등을 리스크 완화 수치의 대안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스크 추적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리스크의 완화 정도를 수치화한 "리스크 해결 지수"의 산출 과정을 수식과 함께 제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예시를 통해 리스크 수치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리스크 수치화 관련 차트를 몇 가지 제시하여 실무에의 응용 통찰력을 제공한다. 리스크를 수치화한 "리스크 지수"는 테스팅 조직의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설득력있는 정보로서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그 활용 가치가 높다.

Query expansion by Similar words Using LSI (잠재적 의미 색인을 이용한 유사 질의어 확장)

  • Lim, Tae Hun;An, Dong Un;Chung, Seong J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165-169
    • /
    • 2009
  • 오늘날 인터넷 검색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되고 있다. 주로 키워드 매칭에 의존을 둔 지금의 검색 서비스들은 사용자 중심의 아이템들을 개발해 정보검색의 경과시간 및 결과의 분류면에서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질의어의 의미에 유사한 검색은 아직은 발전하는 단계로, 내용에 기반을 둔 검색 환경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행렬의 특이치 분해(SVD)를 이용한 잠재적 의미 색인 기법(LSI)을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다. 구축한 시스템의 성능 평가는 재현도 계산으로 비교되었는데 작은 크기의 특이값(singular value)들 생략에 의한 SVD의 성능과 그것을 재이용, 질의어에 대한 의미 구조상 근접한 용어들을 찾아 질의어를 확장한 후 적합한 문서들의 검색을 사용한 특이값 개수, 유사단어 확장 개수를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특이값 2개를 사용한 잠재적 의미 색인이 특이값 3개를 사용한 잠재적 의미 색인보다 보다 나은 성능을 보였다. 그리고 조건을 달리한 모든 잠재적 의미 색인의 경우 단어 매칭에 의한 적합문서 검색보다 별 뚜렷한 나은 결과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의미적으로 관계가 깊은 유사어들을 찾아냈고, 의미적으로 가장 관계 깊은 문서를 대부분의 경우에서 순위 1위로 찾아내는 부분적 우수함을 보였다.

  • PDF

Market Seeker Strategy and Market Leader Strategy Through Design (디자인을 통한 시장탐색전략과 시장선도전략)

  • 이진렬;김명주;황영성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2
    • /
    • pp.355-364
    • /
    • 2003
  • This research verified efficiency of 2 design process models; 2-stage model and 3-stage model. 2-stage model means subjective and sensitive design process based on designer's creative mind. Contrarily, 3-stage model means objective, logical and consumer-oriented design process. Past researches have suggested inconsistent conclusions on efficiency of 2 design process models. This study suggested efficiency of 2 design process model based on the concept of market leader strategy and market seeker strategy.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in condition of high prestige brand, 2-stage model based on market leader strategy is more effective and contrarily in case of low prestige brand, 3-stage model based on market seeker strategy is more efficient. However, it is requested to perform various investigation about situations in which each design process model is more effective for the generalization of the study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