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6.342

A Study on the Meaning and Value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Appreciation of Portraits in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Secondary Education of Art  

Kwak, Chul-Won (한남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Seongri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said that portraits were revered as academic teachers, and that the personal meaning was typical. Portraits in the latter phase of Joseon Dynasty have been popular in various contexts, especially in the sense of the texture, the religious church, and the ritual service. The etiquette and written aspects contained in portraits can point out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society's individualism and attitudes through the expressive and personal approach to the art of painting.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explore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coordinate myself with others, to have respect for others, and to change the inner workings of individuals. Through this, we can explore and explore personality education elements and find ways to achieve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exploration of figures using portraits as educational material, the process of making portraits, and the discovery of meaning. Therefore, for systematic appreciation, we are planning to set up an appreciation standard by proposing a 3-step review process applied to the 2015 revised education course.
Keywords
Art Appreciation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Traditional Portrait; Museum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길례, 인성교육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 박용숙, 현대미술의 반성적 이해, 집문당, 1987.
3 남궁달화, 인성교육론, 문음사, 1999.
4 김선영, "전통회화의 수기적 창작 태도를 기초로 한 인성교육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조형교육, 제60권, pp.49-68, 2016.
5 김미희, 고개지의 전신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6 이소영, 인물화의 사의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7 서지은, 조선시대 초상화 표현지도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8 강유림, 人物畵精神性의 視覺化에 관한 硏究. 단국대 인물화 정신성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9 조선미, 초상화 연구, 문예출판, 2007.
10 박수희,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안휘준, 민길홍(편), 이명기가 그린 조선시대의 대표적 초상화, 학고재, pp.338-365, 2009.
11 변종필, 채용신의 초상화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2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형과 영의 예술, 돌베개, 2009.
13 오찬주, 조선후기 초상화의 표현기법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4 교육부, 미술과 교육과정, 2015.
15 김정희, "조선후기 화승(畵僧)의 진영상(眞影像)," 한국불교미술사학, 제35권, pp.69-113, 2010.
16 강관식, "조선시대 초상화의 도상과 심상," 한국미술사교육, 제15권, pp.7-55, 2001.
17 김기완, 조선후기 사대부 초상화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