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포(多包)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6초

조선중기 공포형식 간의 장식요소 상호영향과 그 의미 (The Mutual Effect and Meanings of the Decoration Elements between Bracket Styles in the Mid-Joseon Period)

  • 홍병화
    • 건축역사연구
    • /
    • 제25권6호
    • /
    • pp.27-34
    • /
    • 2016
  • There were lots of changes of the wooden structure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It was the time of replacement from Jusimpo (simple bracket system) to Ikgong (wing-like bracket system) and each bracket had shown mutual variation as well as itself. The aspects of change were discovered that the decorative elements of Ikgong and Dapo (multi-bracket system) had accepted from each other. It was clearly shown that not only the Ungung (carved cloud-shape) and Chotgaji (shape of the acuminate leaf) of Ikgong had affected to Dapo, but also Gaang (pseudo-pointing cantilever) of Dapo had affected to Ikgong. It was mostly found in the Buddhist architecture because there was the conservatization of ruling hierarchy as well as the active growth of Buddhist society.

17세기 사천왕상 천왕문(天王門)의 건축형식 전개(展開)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velopment of Four-Guardian-Statutes Building-Gate in 17th Century)

  • 류성룡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5호
    • /
    • pp.69-82
    • /
    • 2012
  • This study is basically about four-guardian-statutes-building-gate in 17th Century. In the field of art-history, there are four-guardian-statutes made of clay in order that the statutes are so gigantic and grotesque enough to threaten all the devils.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re that the similar variation occurred at the four-guardian-statutes-building-gate in 17th centu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y Da-Po style four-guardian-statutes-building-gates were built in famous four temples separately from 1612 until the Manchu war of 1636. And there are gigantic four-guardian-statutes made of clay in the building. Second, there are Chul-mok Ik-gong style buildings were built in 1660s at Bo-Rim-Sa and Neung-Ga-Sa. The buildings including four-guardian-statutes-building-gate of Song-gwang-sa built in 1636 probably are all similar to earlier Da-Po style four-guardian-statutes-building-gates in the viewpoint of structural type and size of building. Third, it began to build Ik-gong style four-guardian-statutes-building-gates in 1676 at Su-ta-sa.

다포건축 평면비례의 전개과정 - 사찰건축 (합각지붕) 을 대상으로 한 통계처리 -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lane proportion Method on the DAPO Hapgak Style House-)

  • 장석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01-112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rch the approch and basic principle which make it possible to establish the consistent and subjective direction on the proportion method of DAPO HAPGAK STYLE House in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The object of reseach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dealing with traditional concept on proportion are as follows. What is the proportional method in the plane of the Korean traditional archtecture.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find out that, what was the basis of numerical system implied in the proportion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whether there can be the absolute and ideal relatioship between proportion systmes or not.

  • PDF

제주땃쥐 (Crocidura dsinezumi)의 정자변태 (Spermiogenesis in the Crocidura dsinezumi)

  • 정승돈;이정훈;오홍식;김상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3호
    • /
    • pp.185-198
    • /
    • 2007
  • 제주땃쥐 (Crocidura dsinezumi)의 정자변태과정은 전자현미경에 의해 조사되어졌으며, 이들 정자변태 과정은 핵의 형태적 특징과 세포질내 소기관의 변화에 기초하여 12기, 14단으로 구분되었다. 골지기$(1{\sim}2)$단의 정자세포의 핵은 모두 구형인데 반해 두모기$(3{\sim}6)$단의 정자세포의 핵은 타원형으로 변하였다. 정자꼬리는 첨체중기에서 생성되었으며, 성숙기에는 가늘고 긴 정자두부를 형성하였다. 정자세포의 두부는 1단에서 6단(골지기${\sim}$두모기)까지는 내강을 향하고 있었으며, 7단부터 14단(첨체기${\sim}$이탈기) 까지는 세정관 상피의 기저막 쪽으로 향하고 있었다. 핵과 첨체는 10단에서 각각 최대로 신장되었다. 염색질은 첨체후기 (10 단)에 응축되기 시작하여 성숙중기(12단)에 완전히 응축되고 균질화 되어졌다. 다포체의 출현은 두모중기(5단)에 첨체포 가까이에서 다포체가 출현하며 두모 후기(6단)에 이르러 골지체 가까이 다수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자변태과정은 정자형성세포의 분화 단계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리라 여겨진다.

발포공정을 이용한 경량의 연질 세라믹 보온단열재의 제조 (Preparation of Flexible and Light Thermal Insulating Ceramic Composites Using Foaming Technology)

  • 이철태
    • 공업화학
    • /
    • 제26권1호
    • /
    • pp.59-66
    • /
    • 2015
  • 본 연구는 유기계 보온단열재의 장점인 경량성과 연질특성을 갖는 무기계 보온단열재의 제조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무기질 저온 발포 공정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무기질 발포 공정은 섬유상인 해포석 및 규산알루미늄으로 하여금 발포체의 골격을 형성토록 하고, 저온에서 기체 발생이 가능한 발포제를 사용하여 무기질 섬유상 골격체가 팽창되어 공동을 형성하게 하며, 이 형성된 공동 속에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무기질 다포체인 팽창진주암을 채우는 것이다. 총괄적으로 무기질 재료를 고온 용융함이 없이 저온에서 무기질 발포체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섬유상인 해포석의 해섬처리과정, 발포를 위한 섬유상 슬러리의 열처리공정 등 다양한 준비공정이 필요하며, 열처리 전 슬러리의 최적 조성물 조건이 요구된다. 제조된 발포체는 경량, 연질의 보온단열재로서의 겉보기 밀도, 내력 강도, 굽힘강도, 고내열성 등의 물성을 보여주었다.

쇠뒤쥐 (Sorex minutus gracillimus)의 정자변태 (Spermiogenesis in the Saghalien Pygmy Shrew, Sorex minutus gracillimus)

  • 허진철;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129-141
    • /
    • 2001
  • 식충목 땃쥐과 쇠뒤쥐 (Sarex minutus gracillimus)의 정자변태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정관 상피의 세포분화에 따른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쇠뒤쥐의 정자변태과정을 골지기, 두모기를 각각 전 중 후기로, 첨체기를 각각 전 후기로, 성숙기와 이탈기를 각각 하나의 단계로 총 10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핵질의 응축은 첨체기에 시작하여 이탈기에 완성되었으며, 만세트의 출현은 첨체후기부터 성숙기까지 나타났다. 정자편모의 형성은 골지후기에 생성하여 이탈기에 완성되었다. 다포체는 골지기부터 성숙기까지 나타났으며, 골지기는 주로 pale multivesicular body가, 두모기와 첨체기는 주로 pale 또는 moderate pale multivesicular bodies가 그리고 성숙기에서는 dense multivesicular body가 관찰되었다.

  • PDF

거제도 다포 연안 정치망 어획물의 종조성 및 주요 어종의 분포 특성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Set-net Catches on the Coast of Dapo, Geoje Island)

  • 정경미;이동진;강수경;최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97-1005
    • /
    • 2014
  • We analyzed 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in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using both daily catch and quantitative analysis data collected from a set-net fishery over a period of two years (2011-2012) on the coast of Dapo, Geoje Island. Set-net fishing season in this area is from May to November, and the annual yield based on the daily catch data was 171,412 kg in 2011, and 102,611 kg in 2012. In total, there were 46 species (belonging to 36 families and 12 orders) in 2011, and 41 species (belonging to 25 families and 9 orders) in 2012. The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numbers were Trachurus japonicus, Engraulis japonicus, Clupea pallasii, Scomber japonicus, and Sphyraena pinguis. The range in fork length for T. japonicus and E. japonicus was from 3.2 to 23.9 cm, and from 2.6 to 13.3 cm, respectively. The fork length of recruiting juveniles to the Dapo set-net fishing ground ranged from 4.6 to 7.8 cm (median) for T. japonicus, and from 4.1 to 5.0 cm (median) for E. japonicus. The fact that most of the fish caught from the two species were at immature growth stages implies that the coast of Dapo can act as a nursery area for these migratory species.

한국 서해산 암컷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성 성숙 (Ultrastructural Study of Vitellogenesis during Oogenesis and Sexual Maturation of the Female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23-31
    • /
    • 2005
  •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 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 생식주기 및 군성숙도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초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골지복합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지방적 및 난황 과립의 형성에 관여되었다. 후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는 조면소포체와 다포체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 과립 형성에 관여되었다. 성숙 단계 난모세포에서 성숙 난황 과립은 주소체(중앙중심), 표면층,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한계막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산란기는 5월과 8월 사이이고, 주 산란은 수온이 대략 $18{\sim}23^{\circ}C$로 상승하는 6월과 7월 사이에 일어나고 있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9{\sim}10$월), 후기 활성기($9{\sim}2$월), 완숙기($2{\sim}6$월), 부분 산란기($5{\sim}8$월), 회복기($6{\sim}8$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군성숙도는 각고 $51.0{\sim}60.9mm$에서 53.1%이었고 각고 61.0mm 이상에서는 100%를 나타내었다.

  • PDF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초기 생활사 동안 생존율 향상을 위한 생물학적 연구 - III. 성체 소화관의 미세구조 (Biological Study on the Increment of Survival Rate during Early Life Cycle in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Teleostei: Scorpaenidae) - III. Ultrastructure of the Adult Digestive Tract)

  • 진평;이정식;신윤경;김학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5-127
    • /
    • 1998
  • 조피볼락의 소화관은 인두, 식도, 위, 장, 항문 그리고 10~11개의 유문수로 이루어져 있다. 유문수는 위의 유문부 말단에서 유래하며 바나나 형태의 맹낭을 형성하고 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elative length of gut: RLG)는 1.56(n=10)이다. 식도의 근육층은 바깥쪽의 앓은 종주근층과 안쪽의 두꺼운 환상근층으로 구성된다. 점막상피층은 정단부에 짧은 미세융모를 가진 원주상피로 구성되며, 다수의 점액분비세포들을 가진다. 위의 점막주름은 규칙적으로 배열되었으며, 근육층은 종주근, 사주근, 환상근층으로 구성된다. 위선의 주세포는 관상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그리고 전자밀도가 높은 다수의 분비과립을 가지지만, 부세포는 소형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그리고 전자밀도가 낮은 액포를 가진다. 유문수와 장의 점막상피층은 주로 원주상피세포, rodlet cell 그리고 dark cell로 구성된다. 흡수기능을 가진 원주세포들은 발달된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 물질, 음작용포 그리고 다포체를 가진다. Rodlet cell은 발달된 cytoplasmic capsule을 가지며 세포질에는 소포체가 잘 발달되어 있다. Dark cell의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높고, 미토콘드리아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원주상피세포는 세포연접이 발달되어 있고, 상부에는 미세융모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미세융모의 내부에서는 세포질에서부터 시작된 actin filament를 관찰할 수 있다. 장 상피의 미세융모는 유문수의 미세융모 보다 길며, 배상세포의 수도 정상피에 더 많다.

  • PDF

한국 서해산 큰구슬우렁이, Glossaulax didyma의 난자형성과정 및 생식주기 (O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Glossaulax didyma on the West Coast of Korea)

  • 김대기;정의영;김은종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22
    • /
    • 2006
  •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만 앞바다 조간대에서 채집된 큰구슬우렁이를 대상으로 생식소중량지수(GSI), 난자형성 중 난황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세포, 조직학적 관찰과 형태측정 자료에 의해 조사하였다. GSI의 월별 변화는 생식소발달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초기 난황형성 단계 난모세포에서 골지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지방적 및 난황과립의 형성에 관여되었다. 후기 난황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조면소포체와 다포체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과립에 관여하였다. 성숙 난황과립은 주소체 (중앙중심), 가장 자리에 표면층,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한계막의 3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산란기는 6월 초-8월 말 사이 이었고, 주산란은 수온이 $19^{\circ}C$ 이상인 7-8월에 일어났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 (12-2월), 후기 활성기 (2-3월), 완숙기 (4-7월), 산란기 (6-8월), 회복기 (8-11월) 의 연속적인 5 단계로 구분되었다. 완숙난모세포의 크기는 직경이 $250-270{\mu}m$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