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utual Effect and Meanings of the Decoration Elements between Bracket Styles in the Mid-Joseon Period

조선중기 공포형식 간의 장식요소 상호영향과 그 의미

  • 홍병화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문화부 전통사찰전수조사연구실)
  • Received : 2016.08.09
  • Accepted : 2016.11.06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re were lots of changes of the wooden structure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It was the time of replacement from Jusimpo (simple bracket system) to Ikgong (wing-like bracket system) and each bracket had shown mutual variation as well as itself. The aspects of change were discovered that the decorative elements of Ikgong and Dapo (multi-bracket system) had accepted from each other. It was clearly shown that not only the Ungung (carved cloud-shape) and Chotgaji (shape of the acuminate leaf) of Ikgong had affected to Dapo, but also Gaang (pseudo-pointing cantilever) of Dapo had affected to Ikgong. It was mostly found in the Buddhist architecture because there was the conservatization of ruling hierarchy as well as the active growth of Buddhist society.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욱, (개정)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13
  2.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3. 홍병화, 전통건축구조: 새로운 이해, 선, 2013
  4. 한국건축개념사전 기획위원회, 한국건축개념사전, 동녘, 2013
  5. 주남철, 익공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권, 10호, 1992
  6. 전봉희, 조선시대 목조건축 공포형식의 변천에 관한 연구 - 갖은 삼포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7. 박왕희, 한국의 향교 건축, 문화재관리국, 1998
  8. 이달훈, 익공계 공포의 발생 및 변천과정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9. 김재웅.이봉수, 영건의궤에 실린 목부재용어의 용례와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7권, 5호, 2008
  10. 류성룡, 출목익공 기원과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11. 이상해, 삼국사기 옥사 조의 재고찰, 건축역사연구, 4권, 2호, 1995
  12. 김도경, 조선시대 영조의궤의 공포용어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13. 김현범, 19세기 말 서울.경기지역 사찰에서 나타난 궁익공의 형성과 전개,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4. 이우종, 고려 시대 공포의 형성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