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양하며 확산적 사고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Cultivating Creativity through Various and Divergent Thinking Activities - Focused on Mathemat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다양한 확산적 사고활동을 통한 창조성 육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

  • Lim Mun-Kyu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0 no.1
    • /
    • pp.1-19
    • /
    • 2006
  •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fostering creative thinking is a cor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accumulating research products on that topic is really needed. In this study, I hoped to investigate and verify that in mathematics education it was possible to cultivate creative thinking through various and divergent activities, For this purpose, I delat with some illustrations, in which students learned mathematics through the operational activities using teaching tools,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activities, and finally they seemed to foster creative mathematical thinking. In conclusion of this paper, I have suggested that in math education those activities should be used to cultivate students' creative thinking in kindergarten or early elementary school. Also I asserted that it is urgently need to store up research products about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ose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PDF

A Study o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athematical Problems Posed by the Mathematically Gifted 5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초등 5학년 수학영재 학생이 만든 수학문제에 관한 조사.분석)

  • Lim, Mun-Kyu
    • School Mathematics
    • /
    • v.15 no.4
    • /
    • pp.701-721
    • /
    • 2013
  • In this study, I set the 5th grade children mathematically gifted in elementary school to pose freely the creative and difficult mathematical problems by using their knowledges and experiences they have learned till now. I wanted to find out that the math brains in elementary school 5th grade could posed mathematical problems to a certain levels and by the various and divergent thinking activities. Analyzing the mathematical problem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5th grade children posed, I found out the math brains in 5th grade can create various and refined problems mathematically and also they did effort to make the mathematically good problems for various regions in curriculum. As these results, I could conclude that they have had the various and divergent thinking activities in posing those problems. It is a large goal for the children to bring up the creativities by the learning mathematics in the 2009 refin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 emphasiz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learn and teach the mathematical problem posing to rear the various and divergent thinking powers in the school mathematics.

  • PDF

The Effect of CPS Programming Model on promo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vergent thinking (초등학생의 확산적 사고 촉진을 위한 CPS 프로그래밍 수업의 효과 분석)

  • Jeon, Seong-Kyun;Lee, Young-J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2
    • /
    • pp.1-8
    • /
    • 2012
  • General form of the programing education is finding and realizing algorithm to solve problems faster and more efficiently. In other words, it is based on convergent thinking. However, the programming education mus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o education targe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needed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centered investigation environments. They should learn how to find the most efficient problem solving method by themselves. This study had adopted divergent thinking strategy where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can be repeated at the same time to suit a programming education with great importance of convergent thinking to elementary school leaners, and analyzed its effects. This study was applied to 5th graders, and 12 times of experimental measure classes were conducted by dividing them into the control group that conducted general programming class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a programming class including divergent thinking of CPS model. As a result, CPS model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ordinate elemen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self-assurance, independence, and divergent thinking.

  • PDF

Development of a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 Lee, Seung-Chul;Lee, Saet-Byeol;Kim, Taeyoung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31-34
    • /
    • 2017
  • 현재 4차 산업혁명이 사회에 던지는 화두는 다양하다. 첫째,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이다. 빅 데이터, 인공지능 기술 등이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고 그 중심에는 소프트웨어가 있다. 앞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적이고 강화되어야 할 이유다. 둘째, 생산과 소비가 결합된다는 것이다. 즉, 더 이상 소비자가 수동적인 소비자로만 남지 않으며, 획일화된 제품과 서비스에 흥미를 느끼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자신이 구매할 제품 생산과 판매에 관여하는 '프로슈머(prosumer)' 필요한 물건을 직접 만드는 D.I.Y.(Do It Yourself), 3D 프린팅 등이 새로운 소비 방식을 대표한다[3]. 이에 메이커 운동이 떠오르고 있고, 메이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했다. 초등학교에서는 5~6학년 실과 교과의 정보 관련 단원이 ICT활용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기초 소양 내용 중심으로 개편되었다[1]. 아직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전이지만 선도학교나 연구학교를 통해 진행된 소프트웨어 교육을 보면 기능을 익히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이래서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사고를 도입할 수 있다. 디자인 사고는 인간을 관찰하고 공감하여 소비자를 이해한 뒤, 다양한 대안을 찾는 확산적 사고와 주어진 상황에 최선의 방법을 찾는 수렴적 사고의 반복을 통하여 혁신적 결과물을 도출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 중 하나이다[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 Lee, Seung-Chul;Kim, Tae-young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111-114
    • /
    • 2018
  • 4차 산업혁명의 특징 중 하나는 생산과 소비의 결합이다. 이제는 소비자가 직접 구매할 물건의 생산에 관여하고, 직접 필요한 물건을 생산한다. 이는 다양한 제작도구들이 보편화되면서 가능해졌다. 이런 흐름으로 세계적으로 메이커 운동, 메이커 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메이커들은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활용하여 무언가를 만들고 공유한다. 이런 공유문화는 메이커들의 축제인 메이커 페어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창의적인 메이커를 교육을 통해 길러내야 될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으며, 메이커 교육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디자인 사고가 있다.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는 실제 제품을 사용할 소비자에게 공감하여 이해한 뒤, 다양한 대안을 찾는 확산적 사고,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방법을 찾는 수렴적 사고의 반복을 통해 결과물을 도출하는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이다. 현재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다양한 메이커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이를 학교에 도입하여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다. 아무리 좋은 교육이라도 교사들이 모른다면 학생들을 가르칠 수 없기 때문에 메이커 교육을 학교 현장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Oil Fence 에 발생하는 전장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안성모;청목신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0a
    • /
    • pp.139-142
    • /
    • 1997
  •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Oil Tanker에 의한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사고의 대책으로 Oil Tanker의 2중화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대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일단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모든 대책은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사고 발생 후 확산되는 Oil의 집적에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도구인 Oil Fence는 다양한 형태의 많은 개발품이 사용되어 지고 있지만, 이러한 Oil Fence 및 Oil 회수 장치에 의해 회수되어지는 양은 전체 확산되어지는 양의 고작 15%정도에 그친다. (중략)

  • PDF

부유성 HNS의 근접영역의 확산 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 Go, Min-Gyu;Jeong, Chan-Ho;Lee, Mun-Jin;Jeong, Jeong-Yeol;Lee, Seong-Hyeok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7.11a
    • /
    • pp.162-163
    • /
    • 2017
  • 해양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의 유출 사고 시, 막대한 인명 피해와 환경 훼손을 피하기 위해 유출 사고 조기 예측과 정확한 확산 경로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HNS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위험구역을 적절히 예측할 수 있는 수치해석기법을 개발하고, 다양한 해양사고조건과 환경영향을 고려하여 근접역에서의 2차원 확산 특성을 고찰하고 확산 현상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코드인 ANSYS FLUENT(V. 17.2)을 사용하여 근접역에서의 2차원 확산특성을 모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누출된 HNS의 위치별 농도를 예측하기 위해 종수송방정식(Species Transport Equation)을 이용하였으며 RANS(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과 표준 $k-{\varepsilon}$ 모델을 이용하여 난류유동을 모사하였다. 해석된 결과는 문헌에서 얻어진 실험데이터와 상호비교하였으며 해수의 유속, HNS의 밀도에 따른 유층 두께, 해수면 HNS 평균 농도 그리고 HNS 전파 속도를 분석하였다. 유층 두께는 해류 유속에 따라 변화하며 변화 경향에 따라 두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해류 전파 속도는 대체로 해류 유속과 선형적 비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면 평균 HNS 농도는 해류 유속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감소하며, HNS 밀도가 큰 경우 해수면 평균 HNS 체적 농도는 더 빠르게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HNS 확산 특성을 분석하고 관련된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Analyzing and Assessing the Divergent Product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5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 학생의 확산적 산출물의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Lim, Mun-Kyu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0 no.2
    • /
    • pp.171-194
    • /
    • 2006
  • As it is not long since the gifted education was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the practical studies on the mathematically gifted education. This paper focused on enhancing creativity by providing the various and divergent thinking activitie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I prepared two mathematics problems, and , and let the mathematically gifted 5th grade students solve them. After that, I investigated to analyse their reactions in detail and tried to find the methods for assessing their divergent products. Finally, I found that they could pose various and meaningful calculating equations and also identify the various relations between two numbers. I expect that accumulating these kinds of practical studie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s of gifted education, in particular, instructions, assessments, and curriculum developments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 PDF

A Development of Android Based Debate Learning System for Divergent Thinking Cultivation (확산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 토론학습 시스템 개발)

  • Kim, Eun-Gil;Kim, Jong-Hoo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4 no.1
    • /
    • pp.137-146
    • /
    • 2011
  • Edward de Bono's six thinking hats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excellence of the thinking and cultivate divergent thinking. In particular, this method is effective in finding a reasonable solution through analyzing issue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 In this paper, we developed the system for an effective debate learning that student's own ideas based on six thinking hats are shared and expressed in speech and images through Android devices sensors. We analyzed the tools and guidelines by making design structural model for system design. The developed system was evaluated by the teacher through demonstration and practice and we analyzed through evaluation results the effectiveness and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The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sed that the developed system is more effective improve motivation and debate ability than web based debate learning system.

  • PDF

Creative programming education plan using TRIZ techniques (트리즈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프로그래밍 교육방안)

  • Park, Jaehyeong;Choi, J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317-320
    • /
    • 2013
  • 트리즈는 처음에는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교육, 문화 등 비 기술적인 부분에서도 많이 연구되고 있다. 프로그래밍 교육방법에서도 가능한 대안을 생각해보고 오류를 검증 및 수정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사고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밍 교육에도 트리즈의 원리를 사용한다면 확산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래밍을 교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리즈의 40가지 발명원리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제안하였다. 프로그래밍 교육에 트리즈의 발명원리를 적용하여 프로그래밍에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는 창의적인 프로그램 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추후에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더 다양한 트리즈의 원리를 활용하는 교육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