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수 객체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38초

다수 객체 모델을 이용한 객체 추적 기법 (Visual Object Tracking Using Multiple Object Models)

  • 김한울;김창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4-10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수 객체 모델을 통해 잘못된 객체 모델 갱신의 영향을 줄이고 객체 추적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객체 모델 집합은 다수의 객체 모델과 대응하는 가중치들로 정의된다. 각 델과의 유사도 가중 합을 고려 하여 객체 위치를 추정하고, 각 모델의 추정 신뢰도를 계산하여 가중치를 갱신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오클루젼, 밝기 변화로 인하여 객체 외형이 왜곡되었을 때 추적 성능을 크게 개선함을 보이고 기존 기법들보다 더 정확한 추적 결과를 제공함을 확인한다.

  • PDF

소수의 동력장치와 메커니즘을 이용한 다수의 객체움직임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Multiple Object Movements Using Few Power Units and Machanisms)

  • 강희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543-548
    • /
    • 2020
  • 본 연구는 다중의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객체를 움직이는 키네틱 디자인작품을 제작하면서 다수의 객체를 소수의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동력장치를 이용한 것 같은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수의 객체를 다양하게 움직이기 위해선 다수의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나 이렇게 하면 객체만큼의 많은 동력장치를 이용해야 하며 과다한 동력장치 사용으로 비용의 상승과 작품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많은 동력장치를 움직이기 위한 많은 전력 소모를 하게 된다. 이에 소수의 동력장치로 다수의 객체를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작품에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메커니즘을 이용해 다수의 객체를 움직이면 작품의 무게와 전력 소모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캠의 위치와 모양을 변경한 캠샤프트 구조의 이용과 베벨기어의 이용을 통해 객체의 행과 열을 늘려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키네틱 디자인 작품을 제작하는 많은 디자이너에게 다수의 객체를 제어하는 하나의 또 다른 방법을 제시하게 된다.

클러스터 협업 체계 및 객체 관계를 이용한 객체 추적 연구 (A Study on Object Tracking Using Cluster Collaboration and Object Association)

  • 김진아;문남미;홍상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2-145
    • /
    • 2016
  • 본 논문은 기존의 RFID 감지 시스템에서 더 나아가 다수의 RFID 클러스터의 협업 및 RFID가 부착된 객체들 사이의 관계를 통하여 객체 추적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서버는 다수 클러스터와의 통신으로 모든 객체의 데이터를 관리하며 클러스터는 객체의 RFID가 감지되는 경우에 객체의 데이터를 얻어 서버에 전송한다. 이러한 서버와 클러스터의 상호작용을 통해 감지된 클러스터의 위치를 파악하여 객체 추적이 가능하다. 만약 RFID를 감지하는 데 있어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객체 관계를 활용하여 해결한다. 얻은 데이터의 신뢰도가 낮더라도 RFID가 감지된 상황에 따라 가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체는 싱글과 그룹 관계로 결정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룹 관계를 싱글 관계로 바꾸어 모든 객체를 분별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제한된 실내 공간을 선정해 이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이 시스템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감시 카메라와 RFID를 활용한 다수 객체 추적 및 식별 시스템 (Multiple Object Tracking and Identification System Using CCTV and RFID)

  • 김진아;문남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2호
    • /
    • pp.51-58
    • /
    • 2017
  • 안전과 보안상의 이유로 감시 카메라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영상 인식 및 추적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나 인식 및 추적되는 객체의 정보를 획득하여 객체를 식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특히, 감시카메라가 활용되는 쇼핑몰, 공항 등과 같은 개방된 공간에서는 다수의 객체들을 식별하기란 더욱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영상기반 객체 인식 및 추적 시스템에 RFID 기술을 더하여 객체 식별기능을 추가하고자 하였으며 영상 기반과 RFID의 문제 해결을 위해 상호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시스템의 모듈별 상호작용을 통해 영상기반 객체 인식 및 추적에 실패할 수 있는 문제와 RFID의 인식 오류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객체의 식별 정도를 4단계로 분류하여 가장 최상의 단계로 객체가 식별이 되도록 시스템을 설계해 식별된 객체의 데이터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스템의 효율성 판단을 위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이를 입증하였다.

GIS 응용을 위한 바다-III의 다단계 사전인출과 지연쓰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ulti-level Pre-fetch and Deferred-flush in BADA-III for GIS Applications)

  • 박준호;박성철;심광훈;성준화;박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67-79
    • /
    • 1998
  • 대부분의 GIS 응용 프로그램은 다수의 공간객체에 대하여 주로 읽기 연산을 수행하며 접근하는 공간객체가 복합 객체인 경우 그 복합객체와 그 복합객체가 포함하는 공간객체에 모두 접근하게 된다. GIS 응용 프로그램에서 공간객체의 생성, 삭제, 변경연산은 매우 드물게 일어나지만 다수의 공간객체에 대하여 수행된다. 본 논문은 GIS 응용 프로그램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공간객체들을 신속히 탐색하기 위한 다단계 사전인출 질의의 개념을 제시하고 생성하는 영속객체들을 최적의 성능으로 데이타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한 지연쓰기 기능을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인 바다-III에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을 제시한다. 다단계 사전인출 질의는 그 질의를 만족하는 객체들뿐만 아니라 그 객체들이 포함하는 객체들을 사용자가 명시한 단계만큼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클라이언트 캐쉬에 등록하는 기능이다. 지연쓰기 기능은 응용 프로그램이 생성한 객체들에 대하여 서버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최소화하면서 데이타베이스에 반영하는 기법이다. 이들 두 기능은 GIS 응용과 같이 다수의 복합객체를 탐색하고 생성하는 응용에 적합하다.

  • PDF

영상의 밝기와 텍스처를 이용한 조명 변화에 강인한 변화 검출 (Robust Illumination Change Detection Using Image Intensity and Texture)

  • 연승호;김재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69-179
    • /
    • 2013
  • 변화 검출 알고리즘은 두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를 가져온 유입된 외부 객체의 영역을 검출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두 영상 간의 밝기 변화 요인을 유입 객체에 의한 요인, 객체의 표면에서 주변으로 반사된 반사광 및 그림자에 의한 요인, 내재된 잡음에 의한 요인 등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입된 객체의 영역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새로운 변화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변화 요인의 분류와 객체 영역의 검출을 위하여, 우선 두 영상 간의 밝기 변화 값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다수의 임계값을 추정한다. 다음으로 유입 객체의 경계 후보 화소를 추정하고, 추정된 객체 경계 후보 화소와 임계값을 이용하여 영상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최종적으로 분할된 각 영역의 텍스처를 두 영상에서 각각 구하고 이들 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각 영역이 외부 유입 객체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다른 조명 변화 특성을 가지는 다수의 영상에서 수행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유입된 객체의 영역을 강인하게 검출함을 보여준다.

자연배경에서 여러 객체 윤곽선의 추출을 위한 스네이크의 자동화 (Automation of Snake for Extraction of Multi-Object Contours from a Natural Scene)

  • 최재혁;서경석;김복만;최흥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6호
    • /
    • pp.712-717
    • /
    • 2003
  • 자연배경으로부터 불특정 다수 객체의 윤곽선들을 자동 추출하는 다중 스네이크(Snake)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먼저 잡음에 강건한 문맥자유 주목연산자(context-free attention operator)를 이용하여 자연배경에 혼재하는 불특정 다수 객체들을 자동 검출하고, 각 객체별로 스네이크의 초기 윤곽들을 자동 설정함으로써 기존 스네이크 알고리즘에서는 어려웠던 초기 윤곽의 자동 설정과 여러 객체 윤곽선의 동시 추출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때 각 스네이크의 초기 윤곽들은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객체들의 실제윤곽선에 좀 더 가까이 설정하여 요철이 큰 객체들의 윤곽선도 쉽게 추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합성 영상과 자연배경의 실영상에 대해 실험하여 잡음이 있는 복잡한 배경으로부터도 불특정 다수 객체의 윤곽선을 효과적으로 자동 추출함을 확인하였다.

협력시스템에서의 공유객체의 일관성 유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Consistency maintenance of the Shared data in Collaborative)

  • 원보규;정병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221-223
    • /
    • 2000
  • 협력시스템(collaborative System or Computer-Supported Cooperative Work)은 여러 사용자가 공동 작업을 하기 위해서 참여자간의 정보의 공유와 공조,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컴퓨터 기술을 말한다. 오늘날의 CSCW는 기업체내에서의 기업업무 처리 측면에서 고려되는 시스템과 산업 디자인, 협력 편집기와 같이 특정 목적 시스템의 분야로 발전되어지는 경향이 있다. 산업 디자인과, 협력 편집기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하나의 공유객체를 제어하고, 처리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세분화된 데이터의 공유방법과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공유객체에 대한 동시적 조작이 가할 때 공유객체는 일관적인 상태로 존재시키기 위해서 동시성 제어와 같은 일관성 유지 정책이 요구되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협력시스템에서의 공유객체에 관한 일관성 유지 정책을 소개하고 기존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된 방법을 소개한다.

  • PDF

Mean Shift와 변위지도를 결합한 카메라 이동환경에서의 다수 인체 추적 (Multiple Human Tracking using Mean Shift and Disparity map with an Active Camera)

  • 홍수연;변혜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901-903
    • /
    • 2005
  • 본 논문은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 카메라 환경에서 다수의 사람을 검출하여 검출된 사람을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카메라가 이동하게 되면 카메라의 움직임과 검출 대상이 되는 사람의 움직임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카메라 움직임을 변환 모델을 사용하여 보정하고, 독립적인 움직임을 추출하여 사람을 검출 하였다. 추적은 검출된 사람 영역의 컬러 분포에 기반하여 평균 이동(Mean Shift)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평균 이동 알고리즘은 빠르고 안정적인 성능으로 실시간 추적에 적합하다. 그러나 객체의 컬러 정보만으로는 배경과 컬러 분포가 유사한 객체의 경우 추적에 실패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변위 지도(Disparity map)를 결합하여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는 깊이 마스크를 생성하였다. 변위 지도를 사용하여 다수의 사람이 등장 할 경우 발생하는 가려짐, 겹침 등 다양한 실내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도 해결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 정확한 검출과 추적에 우수한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지능형 영상 교통 감시 시스템에서 공간 투영기법을 이용한 이동물체 추적 방법 (Moving Objects Tracking Method using Spatial Projection in Intelligent Video Traffic Surveillance System)

  • 홍경택;심재홍;조영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35-41
    • /
    • 2015
  •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특정 물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물체에 대한 영상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인식하고 추적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단일 카메라를 이용해서 객체의 추적을 하게 될 경우 가려짐과 같은 문제로 인해 객체 추적의 한계가 존재하게 되고, 복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연속적으로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객체를 추적하게 된다. 그러나 객체추적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추적하고 있는 객체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카메라를 관심영역 내에 설치해서 동시에 동일한 물체를 여러 각도에서 관찰하는 멀티 영상감시시스템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물체 추적에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 정보 취득이 용이하고, 보다 넓은 범위의 공간에서 정확도가 높은 판단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교차로에 다수의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공간투영기법인 호모그래피를 적용하여 자동차와 같은 동일한 물체를 인식하고 추적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