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목적 활용

Search Result 28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Priority Analysis of Reserve Berth in Gwangyang Port Using Fuzzy-AHP (Fuzzy-AHP를 이용한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여유선석 활용대안 우선순위 분석)

  • Park, Hong-Gyu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8 no.2
    • /
    • pp.29-41
    • /
    • 2012
  • Competition between international Hub ports has been more and more intense. In order to invigorate itself, Gwang-Yang port has been making multilateral efforts. However, it has not still reached 300Millions TEU which is the standard to be permitted as a self-reliance Hub port. Therefore, a functional modification of berth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suggests to transform container berths to general berths. This article is focused on reserve berth mode of Gwang Yang hub port and selected three kinds of berths as alternative subjects of the study: general berth, exclusive berth, and multipurpose berth. This research has conducted that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in relation with Logistics as professional mutually group about Gwang-Yang hub port. The measurements of this survey were measure section and factor. Also, Fuzz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applied to the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 by measuring weight values of alternatives, the best favored one was multipurpose berth expect stability (32.6%), Exclusive berth was graded the most among the alternatives. Also, based on total weight value, the order of priority is as follows: multipurpose berth(38.2%), exclusive port(33.7%), general berth(28.1%).

Optimization of Detention Facilities by Using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우수유출 저류지 최적화 방안)

  • Chung, Jae-Hak;Han, Kun-Yeun;Kim, Keuk-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2
    • /
    • pp.1211-1218
    • /
    • 2008
  • This study is for design of the detention system distributed in a watershed by the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MOGAs). A new model is developed to determine optimal size and location of detention. The developed model has two primary interfaced components such as a rainfall runoff model to simulate water surface elevation(or flowrate) and MOGAs to get the optimal solution. The objective functions used in this model depend on the peak flow and storage of detention. With various constraints such as structural limitations, capacities of storage and operational targets. 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at Gwanyang basin within Anyang watersh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maximum outlet reduction is occurred at detention facilities located in upper reach of watershed in the peak discharge rates. It is also reviewed the simultaneous construction of an off-line detention and an on-line detention. The methodologies obtain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to control the flood discharges and to reduce flood damage in urbanized watershed.

Drought risk assessment by monthly precipitation regression in multipurpose dams (다목적 댐의 월강우량 회귀분석에 의한 가뭄위험 평가)

  • Park, Chang Eon;Kim, Da 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3-263
    • /
    • 2016
  • 기후변화 등에 따른 가뭄위험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으며, 기상학적인 가뭄이나 생물학적인 가뭄 등으로 정의되는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어졌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가뭄의 판정은 수원으로부터 더 이상의 용수를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졌을 때 비로소 결정되는 것이므로, 수원공의 가뭄위험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생공용수 공급을 책임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다목적댐인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가뭄위험을 평가하기 위하여 월강우량 자료로부터 특정시기의 저수율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도록 하였다. 월강우량 변화에 따른 저수율의 변화양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저수지 유입량과 방류량에 따른 물수지 분석이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하지만, 실질적으로 상류에 또 다른 댐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유입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도 어렵지만 수시로 상황에 따라 이루어지는 방류량을 적절히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물수지 분석에 의한 저수율 예측은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을 가질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댐 관리관행에 따라 나타나는 월강우량과 저수율 사이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일정한 법칙을 만들 수 있는지 시도하였다. 다목적 댐인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1984-2013년의 일별 저수율 자료로부터 저수율 관리관행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다목적 댐인 관계로 호우시의 홍수피해 예방을 위하여 6월말에는 25-35% 정도의 저수율을 유지하도록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호우가 발생된 이후에는 일정량을 수시로 방류하여 다음 호우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댐의 최저 저수율은 3월말 - 4월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월과 5월에 일정 정도의 강우량만 존재한다면 가뭄피해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저수율 관리 관행을 적용하여 예측되는 강우량 패턴에 따른 저수율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월강우량 자료와 4월 1일 기준의 저수율 자료 사이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전년의 7월부터 당해 3월까지의 월강우량으로부터 4월 1일의 저수율을 예측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변화 등에 따른 미래에 예측되는 월강우량 자료로부터 각 댐의 4월 1일 기준 저수율 자료를 예측할 수 있으며, 4월 및 5월의 월강우량과 함께 분석함으로써 가뭄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적절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knowledge-based DSS for the decision making under multi-objectives

  • 최용선;김성의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2.04b
    • /
    • pp.267-277
    • /
    • 1992
  • 본 논문은 다목적선형계획법을 위한 Decision Support System ASEOV-VIM을 소개하고 있다. ASEOV-VIM에는 1) efficient solution set전체에 대한 개괄과 search direction을 제새하는 ASEOV; 2) decision maker의 preference information을 도출해내는 VIM; 3) 위 두 부분간의 interface로 활용되는 Mediator등 3개의 하부시스템이 있다. ASEOV-VIM은 TURBO-C를 이용하여 personal computer에 구현되었다.

  • PDF

Modeling of Reaction Wheel Using KOMPSAT-1 Telemetry (KOMPSAT-1 Telemetry를 활용한 반작용휠 모델링)

  • Lee, Seon-Ho;Choi, Hong-Taek;Yong, Gi-Ryeok;Oh, Si-Hwan;Rhee, Seung-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2 no.3
    • /
    • pp.45-50
    • /
    • 2004
  • The design of reaction wheel control logic is critical to achieve the spacecraft attitude stabilization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the successful mission. Due to various uncertainties on orbit there exist limitation to obtain the model parameters through the ground tests and to design the associated control logic. Thus, the model parameter correction using on-orbit data is essential to the control performance on orbit. This paper performs the system identification using KOMPSAT-1 telemetry data and extracts the model parameters of the reaction wheel. Moreover, the reaction wheel is remodeled and compared with the ground test results.

Prediction of Fatigue Life for Composite Rotor Blade of Multipurpose Helicopter Using Strength Degradation Model (강도저하모델을 이용한 다목적헬리콥터용 복합재로터깃 피로수명예측)

  • 권정호;서창원
    • Composites Research
    • /
    • v.14 no.2
    • /
    • pp.50-59
    • /
    • 2001
  • The predictions of residual strength evolution and fatigue life of full scale composite rotor blade for multipurpose helicopter were studied using a strength degradation model. Flight-by-flight load spectru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FELIX standard spectrum data. The laminated structural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obtain corresponding local stress and/or strain spectra for each ply of laminate skin and glass roving spar structures around the blade root where fatigue damage was severely anticipated.

  • PDF

Optimal Reservoir Operation Using Goal Programming for Flood Season (홍수기 Goal Programming을 이용한 저수지 최적운영)

  • Kim, Hye-Jin;Ahn, Jae-Hwang;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7-71
    • /
    • 2010
  • 홍수기 다목적댐 운영의 목적은 홍수조절용량을 최대한 이용하여 하류 주요 지점의 첨두홍수량을 저감시키거나, 계획홍수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방류량과 방류시점을 조절함으로써 홍수 피해규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 다목적댐 운영에서 다목적 최적화의 한 형태인 goal programming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제 강우사상을 이용하여 단일저수지 운영과 저수지 연계운영을 실시하였다. 단일 저수지 운영을 적용하기 위한 시험유역으로는 충주댐 유역을 선정하였고 저수지 연계운영을 적용하기 위한 시험유역으로는 안동댐과 임하댐 유역을 선정하였다. goal programming의 결과 분석을 위해 저수지 모의운영 모형인 HEC-5 모형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goal programming을 이용할 경우 HEC-5 운영결과보다 안정적인 운영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goal programming을 이용한 최적화 운영의 경우 전구간의 유입량을 알고 있다는 점에서 실제 저수지 운영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적절한 제약조건을 적용하고 홍수예경보를 이용하여 예보된 유입량을 활용하면 최적의 방류시점과 방류량을 산정하여 홍수기 다목적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주요 지점의 홍수량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Design and Practical Use of Multi-purpose Auditorium with Priority given to Variable Application in Educational Facility (다목적강당의 계획과 활용에 관한 연구 - 가변성 적용을 중심으로 -)

  • Chi, Hyun-Jung;Lee, Jung-Ran;Lee, Sang-H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12 no.6
    • /
    • pp.5-17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rchitectural design standards of the Multi-purpose Auditorium planning in educational facilities. The success of the design is measured by how well variable elements are applied to parts of Multi-purpose Auditorium and designed and equipped so that all groups-amateurs, professionals, youth, and adult alike-may use it effectively. The use of this facility will extend over a wide range, including concerts, plays, motion pictures, forums, and other forms of presentation. The wall, stage, roof, windows, and furnitures are important parts of Multi-purpose Auditorium and variable elements can applied to these parts. To successfully application of variable elements, it is necessary that these elements are considered in planning phase including time schedule planning. Various elements are permit a more informal and flexible arrangement and extensive learning activity.

수로측량정보의 e-Navigation 서비스 다목적 활용방안

  • Gwon, Gwang-Seok;Heo, Cheo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2-114
    • /
    • 2017
  • 선박의 대형화, 해상물류 생산성 및 환경보존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다양한 부문에서 eNavigation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변화하는 기술환경이 고려되어야 한다. 항해안전과 효율성, 환경 등 다양한 수요를 고려하여 신뢰할 수 있는 최신 수로측량정보를 확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목적에 효과적인 eNavigation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수로측량정보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