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능력단위요소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44초

NCS 기반 프로그래밍 교과의 학습 전략안과 학습 모듈의 설계-사례연구 (Design of the learning module and the learning strategy for the NCS-based programming subject - A case study)

  • 김재생;현정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9-560
    • /
    • 2018
  • 최근 국내 신입사원 입사시험에 NCS 직업기초능력시험을 도입함에 따라 국내 각 대학교나 교육기관에서는 NCS 기반의 전공교육 및 교양교육을 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래머를 지향하는 공학도를 위한 NCS 기반 프로그래밍 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수-학습 지침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모듈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과정을 거쳐 본 교과의 학습로드맵과 NCS능력단위요소를 기반으로 학습자 스스로 NCS 프로그래밍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모듈을 설계하였다.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보육교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운영주체에 따른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 비교 (A Comparison of the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Job Performing Abilities from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전윤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30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어린이집 운영추체별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 교사 각 35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능력단위 12개 영역에 근거하여 추출된 45개의 하위 능력단위요소를 토대로 작성된 하위요소 230개를 문항으로 작성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 28명, 민간어린이집 교사 30명, 가정어린이집 교사 30명, 법인어린이집 교사 29명 총 117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가지 모든 직무수행능력단위에 있어 네 집단 간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12가지 직무수행능력단위에 대하여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중, "어린이집 운영방침 수립", "어린이집 활경구성", "보육활동운영", "영유아놀이지도", "신체 예술활동지도", "언어, 수 과학활동지도", "건강 안전 영양지도"의 일곱 가지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교사와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국공립어린이집 교사와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법인어린이집 교사들과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어린이집교사들과 민간어린이집 교사들 간에도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다섯 가지 직무능력단위인 "보육평가", "영유아발달지원", "가정 지역사회와의 협력", "보육운영관리", "보육연구"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민간어린이집 교사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가지 하위 능력단위요소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일관되게 나타났다.

경비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for Security)

  • 김민수;김종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5-138
    • /
    • 2015
  • 지식정보사회의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상은 지식과 실무를 겸비한 차별화된 전문직업인을 요구하지만, 교육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인력들의 직무수행능력은 산업현장 요구에 미치지 못하여, 재교육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재투자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고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양질의 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기법을 활용하여 경비분야 교육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고, 산업체가 요구하는 실질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한다.

민간경비 인사업무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한 고찰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HRM Factors in Private Security)

  • 권정언
    • 시큐리티연구
    • /
    • 제56호
    • /
    • pp.55-8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업에서 내적 역량에 비해 급격한 외적 성장으로 야기된 성장통을 해소하는 적극적인 활동을 인사업무에서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사업무를 민간경비 인사업무에 적용하여 계층구조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통해 상대적인 중요도를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 인사업무의 대분류 구성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모집단계, 운용단계, 복지단계, 퇴직단계 순으로 나타났다. 모집단계의 상대적 중요도가 63.8%에 이르렀다. 둘째, 대분류를 다시 14개 능력단위를 중분류로, 그리고 능력단위요소 46개를 소분류로 구분하여 복합중요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모집단계의 인사기획과 인력채용이 가장 집중해야할 분야로 선정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기획하기와 교육과정 운영하기가 각각 8위와 10위에 해당하여, 교육훈련의 운영에도 역량을 집중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민간경비업의 발전을 위해 인사업무 중 역량을 집중해야 할 분야를 제언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연구방향과 기법도 제안하였다.

수학 실력(Mathematical Proficiency)의 구성요소별 평가 문항 분석 (An Analysis of Assessment Items Based on Strands of Mathematical Proficiency)

  • 정갑년;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1호
    • /
    • pp.1-11
    • /
    • 2010
  • 본 연구는 NRC(2001)의 수학 실력(Mathematical Proficiency)의 구성요소 즉 개념적 이해, 절차상의 능숙, 전략적 능력, 적응 추론, 생산적 성향 등을 바탕으로 교육청 단위 평가에서 수학 실력의 구성요소별 문항 수와 학생들의 성취도를 조사해 봄으로써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수학적인 문제를 공식화하고 표현하고 그리고 풀 수 있는 전략적 능력(strategic competence)을 요구하는 문항이 40%로 가장 많았고, 적응 추론(adaptive reasoning)과 개념적 이해(conceptual understanding)를 요구하는 문항에서는 80%가 넘는 높은 정답률을 보이는 반면, 가장 문항 수를 가진 전략적 능력(strategic competence)을 요구하는 문항은 생산적 성향을 제외한 요소들 중에 가장 낮은 정답률을 나타냈다. 앞으로 초등학교 수학평가에서 수학 실력의 균형적인 평가가 필요하고, 평가 결과가 교사의 교수 활동과 수업 방법을 개선하는데 활용되어야 한다.

직무능력표준과 문화콘텐츠계열 교육과정 특성화 방안 (Characterization plan for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cultural contents curriculum)

  • 김진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9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학문분야별로 체계적인 직무능력 매뉴얼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대학원 교육이 현장에 필요한 맞춤형 인재양성이라는 교육목표의 수월성을 위해 역량 있는 교육과정 방안을 직무능력에 근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전문대학원 문화콘텐츠(융합콘텐츠 포함) 관련 학과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문대학원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한 종합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전문대학원의 고유한 전문성과 주체성을 가진 현장밀착형 교육과정 사례를 통해 교육과정의 특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의 직무능력표준이 정한 문화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및 서비스별로 요구되는 능력수준, 정의, 능력단위 요소를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개념틀(framework of curriculum)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패턴 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of Pattern)

  • 곽연신;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5호
    • /
    • pp.144-158
    • /
    • 2014
  •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is to systemize the competency that is necessary for performing duties in industrial fields and to utilize synthetically duty,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at the nation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NCS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which systemizes competency units and competency unit ele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duty in pattern field. It is to cultivate competent people to be abl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pattern industry ultimately through being a complementary to educational circles and industry then to give them practical knowledge that is demanded in the field. Furthermore, it is to be utilized as a fundamental data for reforming the system of duty competency evaluation so as to manage personnel career systematically and to improve their competency.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adapted as the method of this study, which was proceeded 3 times, and validity of the drawn result is verified through expert questionnaire survey. Research result, which is competency units, is 10 as follows; Fit trend analysis, Analysis of sample garment Specification sheet, Pattern making for sample garment, Pattern making for manufacturing garment, Creation of sewing specification, Instruction of manufacturing technique, Sample garment Inspection for quality control, Grading, Calculation of the required material quantities, Quality control.

지역 기반 호 수락 제어를 이용한 이동 QoS 보장 (Mobile QoS Guarantee by Region-based Call Admission Control)

  • 이준화;정병호;이광일;김상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113-1116
    • /
    • 2000
  • 기존의 연구에서는 셀룰러 망에서 호 수락 제어 시에 다음 두 가지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다. 첫 번째 요소는 각각의 셀, 특히 micro/pio 셀에서 서비스 제공이다. micro/pico 셀과 같이 심한 트래픽 변동이 있는 셀에서는 호 단절률이 수렴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 QoS와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다. 두 번째 요소는 망에서 호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 있는 GOS 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비율의 서비스는 서비스의 집합으로 특정지을 수 있고, 각각의 것들은 다른 양의 대여폭을 요구한다. 이질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 클래스를 가진 망에서는 소수의 광대역호가 망 자원의 대부분을 점유해서, 신규호에 대한 봉쇄로 망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래서, GoS는 광대역호 제어에 의해서 향상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트래픽 조건에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셀들의 최소 집합이면서 논리적인 단위인 지역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개념을 소개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단위가 셀보다는 지역단위로 한 경우에 성능이 더 좋고 GoS 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인 지역기반 CAC 를 제한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에서는 QoS와 GoS 관점에서 RCAC가 현재까지 제안된 다른 방법보다 더 좋은 성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NCS "응용SW엔지니어링" 직무의 지식 관리 및 검색추론 지원을 위한 온톨로지 설계 연구 (A study on ontology design for NCS "Application SW Engineering" supporting intelligent knowledge management and search reasoning)

  • 진영근;이원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7-23
    • /
    • 2017
  • 국가 직무능력 표준(NCS)은 국가가 산업군의 직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태도 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국가 인재 양성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표준이다. 온톨로지는 인간의 개념 속에 있는 추상적인 정보들을 컴퓨팅이 가능하게 정형적으로 표현하게 해주는 기법으로 현재 단순 DB에 저장되어 있는 NCS 체계도 온톨로지화하여 지식관리를 정형화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NCS와 온톨로지 융합연구로, 방대한 NCS 직무중 "응용SW 엔지니어링" 직무에 대한 NCS 온톨롤지를 설계 및 구현하여 해당 직무의 지능형 지식관리 및 추론검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 해당 직무의 능력단위요소들의 학습 콘텐츠 구조의 정형화 명세서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며, 전체 NCS 직무 온톨로지로 확장 구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교수자의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ajor Courses Operation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of Instructor)

  • 권선영;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9-149
    • /
    • 2016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의 교육과정에서 NCS를 적용한 교과목을 실제로 운영한 교수자들의 경험을 FGI 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NCS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현장에 도입된 NCS에 대해 교수자들은 전반적으로 NCS의 취지와 배경을 잘 알고 있었고, 문헌정보학 NCS 교과과정에 대해 직무요소 도출의 비 적절성, 실제 교육 및 실무현장의 의견 미반영, NCS 분류체계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NCS 교과 운영 경험에서는 산출물 서류 작업의 부담감, 평가의 방법이나 시기의 차별성, 학생과의 의사소통 필요성에 대한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NCS 교과 운영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절한 수업인원 및 교육시간의 부여 필요성, 추가 교육시간 및 재평가의 필요성, NCS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실습기자재의 구비 필요성, 상대평가제도와 NCS 평가제도와의 불일치 문제, 교육현장 및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능력단위와 수행준거의 보완 필요성 등을 제기하였다. 넷째, 향후 NCS 교과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수업인원의 적절한 배정, 실습기자재의 충분한 지원,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수성 및 현장 실무와 경험을 반영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전공에서 향후 NCS에 기반을 둔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