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누운 자세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2초

30대에서 80대까지의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일어서기 운동형태 (Movement Patterns for Rising from Supine to Erect Stance in the Third through Eighth Decades)

  • 배성수;박상옥;윤창구;권미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8권1호
    • /
    • pp.65-78
    • /
    • 1996
  • This study wan described the movement patterns when rising from supine to erect stance in the third through eighth decades. Two hundred fifty six subjects, ranging in age from 30 year to 89 were filmed while rising from a supine position. Movement patterns were classified using categorical descriptions of the action of the upper and lower extremity, head-trunk reg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within the rising task the movement patterns of different regions of the body vary with age level and sex, to describe time by subjects to perform this task. The incidence of each movement pattern was calculated and graphed wi th respect to age level and sex. Erect standing time was increased by age increasing in beth sex group. The most common form of rising for subject in the third through fifth decades both sex usually involved symmeytrical push with upper extremity, symmetrical squat pattern with lower extremity, partial rotation pattern wi th head-trunk and symmetrical push to push and reach pattern with upper extremity, symmetri cal squat pattern with lower extremity. partial rotation with head-trunk. In the sixth through eighth decades usually involved symmetrical push to push and reach pattern with upper extremity, symmetrical squat pattern with lower extremity, partial rotation pattern with head-trunk in both sex group.

  • PDF

PVDF 필름 기반 센서를 이용한 무구속적인 누운 자세 추정 (Unconstrained Estimation of Body Postures on Bed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Film-based Sensor)

  • 서상원;황수환;윤희남;정다운;최재원;이유진;정도언;박광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69-176
    • /
    • 2014
  • As body postures on bed affects various sleep related diseases, it is considered as important information when monitoring sleeping in daily life. Though there have already been a few approaches to monitor body postures on bed conventionally, the development for simple and unconstrained methods is still needed to realize the long-term daily monitoring. Focusing on the fact that ballistocardiogram changes depending on the body postures on bed, we developed a novel method to estimate body posturesusing extremely simple, film-type ballistocardiogram sensor which is based on polyvinylidene fluoride(PVDF) film. With 10 subjects, we performed two experiments. One was for an estimation test to show that body postures on bed can be estimated by ballistocardiogram, and the other was for a reproducibility test to present the feasibility of ballistocardiogram based body postures monitoring. To estimate body postures on bed, we made an individual template set of body postures by designating one ballistocardiogram (BCG) sample as a template in each postures. Then, we calculat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 sample and each templates and estimated the body posture of the sample by choosing a posture which corresponds to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As a result, we estimated body postures on bed with 99.2% accuracy in average and found that the estimation using ballistocardiogram is reproducible.

누운 자세에서 조기재활 자전거 시스템의 하지 운동 근 활성도 분석 (Muscle Activity Analysis of Lower Limb Training for Early Rehabilitation Cycling System in Supine Position)

  • 신선혜;서신배;유미;정호춘;조광수;홍정표;홍철운;권대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753-760
    • /
    • 201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 bed-type cycling system of lower limbs for rehabilitation. This system consists of two modes of cycling: active and passive. Different velocity and loads are provided for improving the muscle function recovery and increasing the muscular strength. To analyze the muscle activity pattern, we measured muscular activity of lower limbs in the rectus femoris (RF), biceps femoris (BF), tibialis anterior (TA), medial gastrocnemius (MG), and soleus (SOL), while cycling in the supine position, and based on the pedaling direction. A total of 18 young and 23 elderly,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uscle activity of MG muscl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age groups.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reference data to develop cycling exercises for lower limbs during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patients.

심혈관계 질환 진단을 위한 복합 진단 지표와 출현 패턴 기반의 분류 기법 (Multi-parametric Diagnosis Indexes and Emerging Pattern 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 for Diagnosing Cardiovascular Disease)

  • 이헌규;노기용;류근호;정두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1호
    • /
    • pp.11-26
    • /
    • 2009
  • 심혈관계 질환의 진단 위해서 복합 진단 지표를 이용한 출현 패턴 기반의 분류 기법을 제안하였다. 복합 진단 지표 적용을 위해서 심박동변이도의 선형/비선형적 특징들을 세 가지 누운 자세에 대해 분석하였고 ST-segments로부터 4개의 진단 지표를 추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질환진단을 위해서 필수 출현 패턴을 이용한 분류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분류 기법은 환자 그룹의 질환 패턴들을 발견하며, 이러한 출현 패턴은 심혈관계 질환 환자들에서는 빈발하지만 정상인 그룹에서는 빈발하지 않는 패턴들이다. 제안된 분류 알고리즘의 평가를 위해서 120명의 협심증(AP: angina pectrois) 환자, 13명의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acute coronary syndrome) 환자 그리고 128명의 정상인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복합 지표를 사용하였을 때, 세 그룹의 분류에 대한 정확도는 약 88.3%였다.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슬링교각운동 시 슬링스트렙 위치에 따른 부하량 연구 (Study of Loa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Sling Strap during Sling Bridge Exercises for Improvement of Life Care)

  • 문옥곤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65-37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슬링교각운동 시 슬링스트렙의 위치에 따라 다리에서 발생되는 부하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체 건강한 20대 남자대학생 10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양쪽 무릎과, 발목에 슬링스트렙을 걸고 교각운동을 실시할 때 무릎과 발목에 전달되는 부하량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양쪽 무릎을 지지한 상태에서의 슬링교각운동이 양쪽 발목을 지지한 상태에서의 슬링교각운동에서보다 아래로 누르는 부하량이 통계학적으로 더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양쪽 무릎간, 양쪽 발목간 부하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본 연구결과는 슬링교각운동 시 다리에 걸리는 부하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슬링운동 시 운동강도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근막이완기법에 의한 유연성 및 혈장 카테콜라민의 변화 (Changes of Flexibility and Plasma Catecholamine by Myofascial Release Approach)

  • 김종순;문동철;장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14-221
    • /
    • 2012
  • 최근 일부 연구자에 의해 근막의 자율신경지배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근막이완술의 효과에 대한 신경 생리학적 설명과 근거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근막이완술에 의해 자율신경계의 흥분이 변화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20대 피검자 30명을 15명씩 무작위로 근막이완술군(MG)과 위약대조군(PCG)로 배치하였다. 근막이완술군으로 배정된 피검자들에게는 치료대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 두개 기저부 이완기법(cranial base release)을 5분간 적용하였고 위약대조군으로 배정된 피검자들은 같은 자세와 절차를 거치지만 실제 근막이완술을 적용하지 않는 위약 치료를 적용하였다. 근육의 유연성은 경부의 관절가동범위로 측정하였으며 자율신경계의 변화는 심박수, 혈압 그리고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수치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막이완술군에서 신전과 측방굴곡의 가동범위 변화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심박수와 혈압, 그리고 에피네프린의 변화율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노르에피네프린의 변화율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근막이완술이 자율신경계의 흥분을 변화 시킬 수 있다는 근거는 없었다.

바로 누운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무릎관절 굽힘 각도에 따른 엉덩허리근의 근력과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ng the Muscle Strength of the Iliopsoas with the Muscle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according to Knee Flexion Angles in Supine and Sitting Positions)

  • 박희용;원종혁;정도영;차현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3-41
    • /
    • 2019
  • Purpose : The muscle strength of iliopsoas (IL) was measured commonly in sitting position with hip and knee flexed 90°. However, there is no study to determine the muscle strength of IL in various test posi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uscle strength of IL and muscle activity of rectus femoris (RF) according to test position and knee flexion angle. Methods : Twenty healthy subject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muscle strength of IL and muscle activity of RF were measured by hand-held dynamometer and surface electromyography during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of IL, respectively. The muscle strength of IL and muscle activity of RF was measured in 4 conditions as follows; 1) knee flexion angles 90 ° in supine, 2) 130 ° in supine position, 3) 90 ° in sitting, 4) 130 ° in sitting. Each condition were performed randomly by three repetitions. Results : The muscle strength of the IL was the main effect on the test position and knee flexion angle (p<.05), and the muscle activity of RF was the main effect only on the knee flexion angle (p<.05). There was also no interaction between the factors (p>.05). In supine position, the muscle strength of IL in knee flexion 130 °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in knee flexion 90 ° (p<.0125). In knee flexion 90 °, the muscle strength of IL in supine posi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sitting position (p<.0125). The muscle activity of RF in knee flexion 130 °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in knee flexion 90 ° in supine and sitting positions (p<.0125). Conclusion : When the muscle strength of IL was measured in clinic and sports fields, the supine position with knee flexion 130 ° was recommended to prevent the muscle activation of RF and to maintain the trunk stability.

전산화 단층 모의치료기(Computed Tomography Simulator)의 영상을 이용한 TBI(Total Body Irradiation) 자세 잡이 및 보상체 제작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anufacture of Compensator and Setup Position for Total Body Irradiation Using Computed Tomography-simulator's Images)

  • 이우석;박성호;윤인하;백금문;김정만;김대섭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3
    • /
    • 2005
  • 목 적 : TBI의 자세 잡이 과정에서 실시하는 신체 계측과 보상체 제작 과정을 전산화 단층 모의치료기를 이용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환자는 누운 자세를 취하고, 전산화 단층 모의치료기를 통해 영상을 얻었다. 이 영상을 Somavision으로 전송하고 영상을 통하여 신체 계측 점에 대해 계측을 하였다. 계측은 피부를 기준으로 계측을 하고, 폐에 대해서 영상을 이용하여 계측을 하였다. 영상으로 계측된 값을 통해 보상체 두께를 결정하였다. 또한 영상을 통한 보상체 위치를 결정하 고 확인하였다. 선량은 치료실에서 열형광소자를 이용하며 측정하였다. 결 과 : 신체 계측점에서 두께에 대하며 $1{\sim}2cm$의 일반 계측과 영상 계측의 차이를 보였다. 신체 길이는 일반 계측과 영상 계측이 $3{\sim}4cm$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영상을 통해 보상체의 밑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열형광소자를 이용한 선량 측정 결과 값은 머리, 목, 액와 ,가슴(폐 포함), 무릎 부위는 $92{\sim}98%$로 측정되었고 배, 골반, 서혜부, 발 부위는 $102{\sim}109%$로 측정되었다. 결 론 : TBI의 자세 잡이 과정에서 전산화 단층 모의치료기의 영상을 이용하는 것은 유용하였다. 신체 계측 점두께는 일반 계측과 영상계측의 차이가 적게 계측되었고, 길이에 대한 계측은 정확하게 이루어졌다. 영상을 이용한 계측은 신체 밀도까지 고려한 다양한 보상체 제작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보상체 위치 잡이를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보상체의 모 양도 제한 받지 않고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전체적인 치료실 자세 잡이 시간을 $15{\sim}20$분 단축할 수 있었고, 보상체 제작 시간은 약 15분 감소시켰다.

  • PDF

초음파로 신장의 크기 측정 시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Measurement of Kidney Size in Ultrasonography)

  • 윤석환;김연민;최준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2호
    • /
    • pp.161-169
    • /
    • 2008
  • 초음파 검사로 신장의 크기를 측정하는 일은 신 질환의 진단, 치료, 예후 예측에서 중요한 지표가 되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계측 및 평가는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에 신장 크기 측정 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나열하여, 신장크기 측정의 재현성과 객관성을 높여 보고자 하였다. $21{\sim}27$세의 대한민국 성인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8시간 이상 금식한 상태에서 피검자의 자세(position)와 프로브(probe)의 접근방향을 변화시키면서 양측 신장이 가장 크게 보이도록 측정하였다. 이후 물 $700{\sim}1,000\;cc$를 섭취하고 30분과 1시간 후에 같은 방법으로 각각 측정하여 신장크기를 비교하였다. 옆으로 누운 자세(lateral down decubitus)에서 측면주사(lateral approach scan) 시 좌, 우측 모두 신장의 평균길이가 가장 크게 측정되었으며, 측정 시 편차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금식상태에서 우측 신장의 평균길이는 10.19 cm, 좌측 신장의 길이는 10.33 cm이었다. 수분 섭취 후 60분에서 우측 신장의 평균길이는 10.94 cm, 좌측 신장의 길이는 11.13 cm이었다. 금식 상태에서의 신장 평균길이와 수분섭취 후 60분에 길이를 비교하면, 우측신장의 길이는 7.3%, 좌측 7.7%로 크기가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03). 초음파를 이용한 신장의 크기측정은 환자의 수분 섭취상태와 프로브의 접근 방향, 그리고 환자의 자세에 따라 달리 측정될 수 있다. 임상적으로 신장크기 측정이 특히 중요할 때는 수분의 섭취량과 섭취시간을 고려해야 하며, 환자의 자세와 프로브 접근방향을 기록-보관하여, 환자 추적 검사 시 이를 적용하는 것이 신장 길이 측정의 재현성을 높이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

종합병원 간호사의 혈압측정의 정확성 평가 (Evaluating the Accuracy of Blood Pressure Measurement in General Hospital Nurses)

  • 김종숙;김상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5
    • /
    • 2000
  • 임상 간호사의 혈압측정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8년 12월 20일부터 12월 29일까지 포항시와 경주시의 4개 종합병원 간호사 276명을 대상으로 혈압측정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자는 20개 항목의 혈압측정 지침서를 이용하여 간호사들이 가상환자를 대상으로 실제 혈압측정 하는 과정을 직접 관찰하고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혈압측정 실천정도의 준비단계에서는 6개 항목 중 '혈압측정 중에는 말을 하지 않도록 요구한다' 27.1%로 가장 낮았고 나머지 항목들의 실천률은 모두 80% 이상이었다. 측정단계에서는 10개 항목 중 '요골(또는 팔)동맥이 촉지 되지 않는 지점에서 30mmHg까지 높인다' 0%, '30-60초 정도 기다린다' 0%, '압박대의 공기 압력을 빠른 속도로 제거한다' 0.3%', '혈압계의 압력을 상완동맥이 없어지는 지점에서 약 30mmHg 정도 더 높인다' 0.7%, '혈압계상의 혈압치를 2mmHg 단위로 읽는다' 10.8%g로 아주 낮았고 나머지 5개 항목들의 실천률은 70% 이상이었다. 측정결과 기록단계에서는 4개 항목 중 '압박대의 크기를 기록한다' 0.3%, '환자의 자세(앉은 자세, 누운 자세, 선 자세)를 기록한다'는 10.8%에 불과했고 '혈압측정에 사용한 팔(오른팔, 왼팔, 양팔)과 다리를 기록한다'는 53.6%로 낮았으며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을 기록한다'는 100%이었다. 혈압측정 실천정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변수들은 연령, 경력, 직위 그리고 병원근무 중 혈압 측정방법에 대한 보수교육 경험 유무 등 4개였다(p<0.01). 다중 회귀분석에서는 혈압측정 실천과 유의하게 관련된 변수는 간호사의 직위와 혈압측정에 대한 보수교육 경험 유무였다(p<0.01).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종합병원 임상간호사의 혈압측정의 정확도는 상당히 낮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수교육을 시급히 실시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