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Factors Affecting Measurement of Kidney Size in Ultrasonography

초음파로 신장의 크기 측정 시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oon, Seok-Hwan (Department of Radiologic technology, Dongnam Health College) ;
  • Kim, Yun-Mi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Samsung Medical Center) ;
  • Choi, Jun-Gu (Department of Radiologic Science, Far East University)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Since measuring the size of kidney with sonography becomes an important index for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tic prediction in kidney disease, the accurat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n this are clinically very importa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reproducibility and objectivity in measuring the size of kidney by enumerating factors that have an impact for measurement. It targeted 44 adults in Korea at the age of 21-27. It measured in order for both kidneys to be seen most largely while changing a subject-examiner's position in a state of fasting for 8 hours and a transducer's approaching direction. It compared a size of kidney by measuring, respectively, with the same method in 30 minutes and in 1 hour after drinking water in 700-1,000cc. In case of the lateral approach scan in decubitus position, the average length of the kidney both to the right and the left and the deviation of measurement to be the largest. In NPO(None Per Oral) state, the average length in the right kidney was 10.19cm, and the average length in the left kidney was 10.33cm. In 60 minutes after taking moisture, the average length in the right kidney was 10.94cm, and the average length in the left kidney was 11.13cm. In comparing the average length of the kidney in NPO state and its average length in 60 minutes after taking moisture, the size swelled by 7.3% for the length in the right kidney and by 7.7% in the left,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3). The measurement in a size of kidney by using ultrasound may be meas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a patient's state of taking moisture and a transducer's approaching direction. It is thought that when the measurement in a size of kidney is especially important clinically, the intake and intake time in moisture need to be considered and that measuring with the posterior approach in prone position is a good method aiming to increase reproducibility in measuring length of the kidney.

초음파 검사로 신장의 크기를 측정하는 일은 신 질환의 진단, 치료, 예후 예측에서 중요한 지표가 되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계측 및 평가는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에 신장 크기 측정 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나열하여, 신장크기 측정의 재현성과 객관성을 높여 보고자 하였다. $21{\sim}27$세의 대한민국 성인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8시간 이상 금식한 상태에서 피검자의 자세(position)와 프로브(probe)의 접근방향을 변화시키면서 양측 신장이 가장 크게 보이도록 측정하였다. 이후 물 $700{\sim}1,000\;cc$를 섭취하고 30분과 1시간 후에 같은 방법으로 각각 측정하여 신장크기를 비교하였다. 옆으로 누운 자세(lateral down decubitus)에서 측면주사(lateral approach scan) 시 좌, 우측 모두 신장의 평균길이가 가장 크게 측정되었으며, 측정 시 편차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금식상태에서 우측 신장의 평균길이는 10.19 cm, 좌측 신장의 길이는 10.33 cm이었다. 수분 섭취 후 60분에서 우측 신장의 평균길이는 10.94 cm, 좌측 신장의 길이는 11.13 cm이었다. 금식 상태에서의 신장 평균길이와 수분섭취 후 60분에 길이를 비교하면, 우측신장의 길이는 7.3%, 좌측 7.7%로 크기가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03). 초음파를 이용한 신장의 크기측정은 환자의 수분 섭취상태와 프로브의 접근 방향, 그리고 환자의 자세에 따라 달리 측정될 수 있다. 임상적으로 신장크기 측정이 특히 중요할 때는 수분의 섭취량과 섭취시간을 고려해야 하며, 환자의 자세와 프로브 접근방향을 기록-보관하여, 환자 추적 검사 시 이를 적용하는 것이 신장 길이 측정의 재현성을 높이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