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누에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29초

누에 무름병 및 농핵병 바이러스의 주요 뽕나무 해충에 대한 교차감염 (Cross-Infection of Flacherie and Densonucleosis Viru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to Mulberry Pests.)

  • 강석우;김근영;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31
    • /
    • 1992
  • 수종의 주요 뽕나무 해충-멧누에, 뽕나무 명나방, 환불나방-에 누에 무름병 바이러스(Flacherie virus; FV)와 농핵병 바이러스(Densonucleosis virus: DNV)를 접종하여 감염여부를 2중 면역확산법과 조직관찰로 조사하므로서 이들 누에병의 뽕나무 해충에 의한 전염경로 차단 및 방제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1. 멧누에는 누에 FV 및 DNV-1 각각의 항혈청과 반응하여 침강대를 형성하였고, 뽕나무 명나방은 DNV-1 항혈청과 반응하여 비들의 교차감염을 인정할 수 있었으나, 흰불나방은 FV 및 DNV-1 항혈청과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교차감염을 인정할 수 없었다. 2. FV 접종 멧누에는 중장 배상세포 세포질에 바이러스 특이 공포 형성 및 27nm 크기의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3. DNV-1 접종 멧누에는 중장 원통세포 핵이 비대하였으며 군집형과 연쇄상의 2종류의 바이러스 증식 형태가 관찰되었다. 4. DNV-1 접종 뽕나무 명나방은 중장 원통세포의 일부 핵에서 비대 현상이 관찰되었고, feulgen 염색결과 적자색으로 염색되었으며, 비대한 원통세포핵내에 소수의 바이러스들이 여러 곳에서 증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누에와 누에번데기의 혈청지질에 미친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Serum Lipids Levels in Silkworm and Silkworm Pupae)

  • 김은주;이소영;김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73-282
    • /
    • 2020
  • 본 연구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가치가 있는 미래의 식량자원인 곤충식품의 산업적 활용도를 높이고자 최근 10년간(2009년~2019년) 발표된 곤충식품들 중 누에와 누에번데기의 생리활성 연구자료를 수집하여 혈청 지질 수준 개선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누에와 누에번데기 연구물의 총 편수는 20편이었으며, 총 사례 수는 261개로 산출되었다. 연구단위로 분석한 연구의 수는 총 20개였다. 전체 연구결과의 효과크기는 0.852로 큰 효과크기였으며, 95% 신뢰구간의 범위는 0.662~0.999였다. Q 값은 23.264(p<0.001), Higgin's I2 값은 92.217로 각각의 연구가 이질성이 있다고 확인되었다. 관측값과 추정치를 보정한 관측값이 0.654로 동일하게 나타나 출판편향은 없었다. 누에 연구는 혈당과 혈중지질이 각각 0.801, 0.948로 큰 효과크기였으며, 그중 LDL-콜레스테롤은 1.371로 매우 큰 효과크기였다. 간 세포 손상(AST/GOT)은 0.768, 만성 간 세포 손상(ALT/GPT)은 0.788로 중간 효과크기였다. 실험기간은 5~8주가 1.170, 섭취량은 1~50 mg/kg이 1.020으로 매우 큰 효과크기였다. 누에번데기는 혈중지질과 총 콜레스테롤이 각각 0.991, 0.951로 큰 효과크기였다. 실험기간은 9주 이상이 1.103으로 매우 큰 효과크기였으며, 섭취량은 5001 mg/kg 이상이 0.855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IGR계 농약 diflubenzuron의 독성과 누에이상증상 (The toxicity of an IGR class insecticide, Diflubenzuron on silkworm, Bombyx mori and abnormal symptoms)

  • 박경훈;김병석;박연기;이희동;정미혜;유아선;손봉희;강필돈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9-304
    • /
    • 2007
  • IGR계 농약은 곤충에는 독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내분비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관찰된 누에 미화용 현상의 원인으로 추정되기도 하여 본 연구는 가장 많이 사용된다고 알려진 IGR계 농약 diflubenzuron의 누에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였다. 누에에 대한 급성독성시험과 뽕잎잔류 독성시험 결과에 의하면 diflubenzuron은 표준살포액을 10,000배 희석한 액에 노출된 누에에도 치명적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나타났고, 6주전에 야외에서 표준살포농도로 살포한 뽕잎을 급여하여도 누에가 치사되는 등 독성이 매우 강하였으나 최근 농가에서 나타난 미화용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 과수원으로부터의 비산을 가정하여 과수원에 diflubenzuron WP (25%)를 살포하고 거리별로 뽕잎을 채취하여 누에에 섭식시킨 결과,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50 m 까지만 화용비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과수원에서 비산된 diflubenzuron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100 m 정도의 안전거리를 둘 것을 추천한다.

누에똥 간이 수집장치 개발 (Development of Collecting System of Silkworm Excreta Using a Devised Equipment)

  • 정이연;강필돈;김기영;이상욱;김미자;류강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8-31
    • /
    • 2006
  • 효율적으로 누에똥을 수집할 수 있는 사육장치 및 수집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사육장치 무게를 경량화하고 조립식 및 바퀴를 부착하여 급상 및 수집작업시 편리성을 제고하였다. 2. 누에자리망 크기별 수집량은 7.0*7.0 mm망 이용시 5.0*5.0 mm 대비 36% 많았으나, 떨어지는 누에가 5령 사육기간 동안 다소(0.3%) 있었다. 3. 누에 수거기를 이용한 수집노력은 수작업 대비 37%의 절감효과가 있었다. 4. 상자당 누에똥 수집량은 2단 사육시 19.7kg의 잠분이 수집되었다. 5. 노동투하시간(시간/상자)은 현행(손수집) 대비 개선(수집기)이 65%수준으로 35%의 노력절감이 있었고 노동생산성(kg/시간)은 55% 증가하였다. 6. 생산비에서도 현행 대비 개선이 35.9% 비용절감이 있었다. 7 누에수거 및 누에통수거시 흡입구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저온감압 자견법에 의한 재조합 형광누에고치의 조사 (Reeling of recombinant flourescence cocoons through low temperature decompressed cooking)

  • 박종화;김성완;정영훈;이종길;고영미;이상찬;최광호;김성렬;구태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42-146
    • /
    • 2013
  • 최근 국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연구팀에서 농가보급품종인 백옥잠(잠123 ${\times}$ 잠124)을 이용하여 피브로인 중쇄 유전자 내에 녹색형광유전자(EGFP)를 도입하여 녹색형광 누에고치를 생산하는 형질전환누에 개발에 성공한 바 있다. 그리고 녹색형광 누에고치는 견사의 주성분인 fibroin heavy chain 유전자에 삽입된 형광유전자의 발현으로 정련을 해도 형광단백질의 고유한 색깔이 그대로 유지되며, 자연광 하에서도 도입 형광유전자 고유의 형광색을 나타낸다. 그러나 형광누에고치는 기존의 $100^{\circ}C$ 내외의 고온 처리에 의한 건조, 자견 및 조사 방법을 이용하면 형광단백질에 심각한 변성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형광색깔을 잃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색형광 누에고치로부터 녹색형광단백질의 변성을 초래하지 않는 누에고치의 저온건조 방법, 저온 진공 감압 처리에 의해 고치 내강 내 침지액 침투방법 및 조사방법을 개발하여, 녹색형광 누에고치로부터 천연의 녹색형광색을 띄는 생사를 생산하였다. 그리고 이들 생산된 녹색형광 생사는 별도의 염색처리 없이 패션의류, 벽지, 조명등갓, 액세서리, 인테리어용품 등의 고부가가치 실크소재로 적용이 기대된다.

자외선이 곤충병원성선충의 생존과 대체기주 누에에 대한 병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ltraviolet Light on Survival and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against an Alternative Host Silk Worm, Bombyx mori)

  • 이동운;김영섭;김판기;추호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115-124
    • /
    • 2011
  • 본 연구는 누에의 식엽성 곤충을 대체할 실험곤충으로서의 유용성과 자외선이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Heterorhabditis sp. 202 strain,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rain, Steinernema sp. 223 strain, S. carpocapsae Pocheon strain, S. glaseri Dongrae strain, S. longicaudum Nonsan strain)의 병원성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누에에 대한 곤충병원성선충의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누에의 령기나 곤충병원성선충의 계통이나 종에 따라 상이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는데 5령충에 대해서는 Steinernematidae선충의 병원성이 높았고, 1령충에 대해서는 Heterorhabditidae선충의 병원성이 높았다. UV-C는 곤충병원성선충에 유해하여 노출 60분후에는 모든 선충이 치사되었다. UV-C 조사는 곤충병원성선충의 병원성에도 영향을 미쳐 노출 10분 후에도 누에나방 3령충에 대하여 6.7% 이하의 보정사충율을 나타내었다. 야외 뽕나무밭(UV량: $2.3mW/cm^2$)에서 곤충병원성선충, S. carpocapsae Pocheon strain을 엽면 살포 4시간 후 채취한 뽕나무 잎을 급상한 누에는 치사되지 않았다. 뽕잎에서 $4.0mW/cm^2$의 UV 1시간 노출은 곤충병원성선충, S. carpocapsae Pocheon strain의 누에에 대한 병원성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화제의 연구 - 누에 배설물에서 암세포 파괴하는 '포르피린' 발견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5권12호통권403호
    • /
    • pp.24-25
    • /
    • 2002
  • 연세대 이원영교수는 누에 배설물에서 암세포를 파괴하는 '포르피린'을 발견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포르피린을 이용한 광역동 치료기술은 광민감제와 빛의 조화로 정상세포가 아닌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암치료의 전망을 더욱 밝게하고 있다.

  • PDF

경북 북부지역의 양잠산업에 피해를 주고 있는 누에(Bombyx mori) 미화용 기작에 관한 연구 (A Possible Mechanism Related with Non-spinning Syndrome of Bombyx mori that Intimidates the Sericultural Industry in Northern Kyungbuk)

  • 김용균;배상기;이선영;지동진;김진;홍용표;김길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3-153
    • /
    • 2004
  • 경북 북부지역의 양잠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는 누에(Bombyxmnri)의 미화용 유발 문제에 대한 원인과 기작을 밝혀내는 데, 이 연구의 궁극적 목적을 두었다. 일반 사육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발육온도(20, 25, 3$0^{\circ}C$)와 최종령 초기 유충 체중 변이(412.6-1,616.0 mg)는 누에의 용화 결정에 영향을 주지 많았다 한편 유약호르몬(juvenile hormone:計I)동력제인 피리프록시팬(pyriproxyfen)은 10-s M의 낮은 농도에서도 난포세포 개방화를 유도하여, 이 약제가 누에에서도 동력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리프록시펜은 약제 농도 및 처리 시기별로 특이하게 누에 미화용 유발 효과를 보였다. 피리프록시펜은 JH 에스테라제(JH esterase: JHE)를 직접적으로 억제하지 못하고, 오히려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JH 결합단백질(JH binding protein:JHBP)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피리프록시펜은 체내에 JH 동력제로 작용하면서 JHE 유전자 활성을 제고시켰지만, JHE활성 증가에 따른 체내 JH함량이 줄어듬에 따라 JHBP의 유전자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양잠농가 주변으로 살포 가능성이 있는 농약을 대상으로 난포세포 개방화 분석을 실시 한 결과, 제초제 3종(simazine, molinate, alachlor)이 JH 동력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에 미화용 원인체 규명을 위해서 이들에 대한 직접 노출 시험이 요구된다.

알코올성 간독성에 미치는 누에배설물의 영향 (Effect of Silkworm (Bombyx mori) Excrement Powder on the Alcoholic Hepatotoxicit in Rats)

  • 김용순;김기영;강필돈;차재영;허진선;박보경;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42-1347
    • /
    • 2008
  • 알코올 급여 흰쥐에서 알코올성 간독성에 대한 누에배설물(silkworm excrement powder)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반합성 식이에 누에배설물을 3% (w/w) 수준으로 첨가하여 30일간 급여한 후 혈중 알코올 및 지질 농도, 간 기능 지표 효소 활성 및 간 조직 검사를 실시하였다. 임상생화학적으로 중요한 간 기능 지표 효소인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amma$-GTP) 및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이 알코올 대조군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혈중 알코올 농도도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하였다. 그러나 누에배설물 투여에 의해 혈중 ALT 및 LDH 활성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혈중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에 비해 누에배설물 투여에 의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간 조직 검사에서 알코올 대조군에서 많은 지방적이 나타나 지방간이 확인되었으나 누에배설물 투여에 의해서는 지방적의 크기와 수가 많이 줄어드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누에배설물에 의한 알코올-유발 간독성의 개선효과는 간 조직의 임상생화학적 지표 효소의 활성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