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뇌척수액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3초

경막외강(硬膜外腔)에 주입(注入)한 생리식염수(生理食鹽水)가 뇌척수액압(腦脊髓液壓)에 미치는 영향(影響) (Cerebrospinal Fluid Pressure Changes Following the Injection of Saline into the Epidural Space)

  • 전재규;이석강;주영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1권1호
    • /
    • pp.21-26
    • /
    • 1977
  • Many cases have been reported that a post spinal headache can be relieved immediately by an epidural injection of saline; and autologous blood also has recently been used successfully instead of saline. The changes of the cerebrospinal fluid pressure in 40 cases were observed in the present study in support of the concept; that a continuous leakage in association with hypovolemia and hypotension of the cerebrospinal fluid is the primary cause of a post spinal headache. Subarachnoid pressure increased immediately with saline injection into the lumber epidural space. A spinal needle was inserted into the subarachnoid space at the level of $L2{\sim}3$ and opening pressure of the cerebrospinal fluid was read. An epidural Tuohy needle was insertad at the$L3{\sim}4$ and 25m1 of saline was injected into the epidural space and the cerebrospinal fluid pressure was read in the sitting position. $\underline{Sitting\;Position:}$ Mean pressure after injection $555{\pm}(110.9)mm\;H_2O$, Pressure rise rise (%) 51.3%, Mean opening pressure $366{\pm}(52.2)mm\;H_{2}O$, $\underline{Lateral\;position:}$ Mean pressure after injection $308{\pm}(70.8)mm\;H_{2}O$, Pressure(%) 86.7%, Mean opening pressure $165{\pm}(42.6)mm\;H_{2}O$. These pressure changes responded almost simultaneously as saline was injected. This pressure rise of 51.3% in the sitting position and 86.7% in the lateral position are clinically very significant. Therefore, it is most possible that the immediate relieve of post, spinal headache by injection of fluid into the epidural space is simultaneous with the increase of the cerebrospinal fluid pressure.

  • PDF

만성 신경병성 통증이 유발된 쥐의 뇌척수액에서 단백체학을 이용한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s의 정량분석 (A Proteomic Approach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s in the Cerebrospinal Fluid Obtained from a Rat Model of Chronic Neuropathic Pain)

  • 김동희;홍성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1권2호
    • /
    • pp.112-118
    • /
    • 2008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tatively analyze proteins associated with the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in cerebrospinal fluid (CSF) that was obtained from a rat model of chronic neuropathic pain following administration of intrathecal $CGRP_{8-37}$. 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100-150 g, 5-6 w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ham controls and neuropathic pain models. At the time of operation for neuropathic pain model, an intrathecal catheter was threaded through the intrathecal space. At 1 or 2 wks after the operation (maximum pain state), a test dose of 1, 5, 10, or 50 nM of $CGRP_{8-37}$ was injected into the intrathecal catheter and the CSF was then aspirated. Conventional proteomics to evaluate the CSF were then performed using high resolution 2-D, gel electrophoresis followed by computational image analysis and protein identification by mass spectrometry. Results: Treatment with $CGRP_{8-37}$ effectively alleviated mechanical allodynia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most effective response was obtained when a dose of 50 nM was administered,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tained following administration of only 5 nM $CGRP_{8-37}$.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proteomic analysis were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Specially we detected 30 differentially expressed spots in 7 images when 2-D gel electrophoresis was conducted. The intensity of 6 of these spots (spot number: 20 and 26-30) was found decrease the $CGRP_{8-37}$ dose increased; therefore, these spots were evaluated by mass spectrometry. This analysis identified 2 different proteins, CGRP (spot numbers: 26-30) and neurotensin-related peptide (spot number: 20).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GRP plays a role in chronic central neuropathic pain and is a major target of chronic neuropathic pain management.

확산강조영상의 검사기법에 따른 맥락얼기의 신호강도 분석 (Analysis of Signal Intensity in Choroid Plexuses by Diffusion Weighted Imaging)

  • 오종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65-269
    • /
    • 2013
  • 뇌척수액을 생산하고 있는 choroid plexuse를 확산강조영상 검사기법에 따라 신호강도를 분석하여 임상적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T2^*$-DW-EPI 기법을 적용하여 choroid plexus가 고 신호 강도를 보이는 대상자를 추가적으로 FLAIR-DW-EPI 기법을 적용하여 영상을 얻었다. 두 기법으로 얻은 확산강조영상을 가지고 choroid plexus의 신호강도와 확산계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FLAIR-DW-EPI 기법에서는 choroid plexus의 신호가 뇌 실질과 같거나 저 신호로 나타나 두 기법간의 신호강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T2^*$-DW-EPI 확산강조영상에서 choroid plexus가 고 신호를 보인 환자의 경우 FLAIR-DW-EPI 기법을 추가로 검사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choroid plexus의 질병 유무를 진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광범위한 뇌경색증이 합병된 지발형 B군 사슬알균에 의한 수막염 증례 (Late-Onset Group B Streptococcal Meningitis Complicated with Extensive Cerebral Infarction)

  • 조민수;김용민;조혜경;최수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1호
    • /
    • pp.45-49
    • /
    • 2018
  • B군 사슬알균은 3개월 미만 영아에서 발생하는 침습성 감염증의 주요한 원인균이다. 신생아 침습성 B군 사슬알균 수막염에 의한 뇌혈관 합병증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생후 29일 신생아에서 세균성 수막염이 진단되었다. 입원 3일째 경련이 발생하였고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다발성의 광범위한 대뇌피질(양측 전두엽, 측두엽 및 후두엽)과 뇌량 및 좌측 후두엽에서 급성 뇌경색증 합병된 소견을 보였다. 환아의 혈액과 뇌척수액에서 B군 사슬알균이 분리되었고 serotype III, ST-19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환아는 피질맹과 발달 지연을 보이고 있다.

Intraventricular Antimicrobial Therapy for Intractable Ventriculitis: Two Case Reports

  • Lee, Ji Weon;Yoon, Yoonsun;Kim, Sang-Dae;Kim, Yun-Kyung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1호
    • /
    • pp.46-53
    • /
    • 2022
  • 뇌실염은 일반적으로 정맥 내 항생제를 통하여 치료하나, 불응성 뇌실염의 치료는 정맥 내 항생제 치료와 뇌실 내 항생제 치료의 병행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론적으로 항생제의 뇌실 내 투여는 정맥 내 단독 투여보다 뇌척수액에서 더 높은 항생제 농도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본 증례 보고는 기존의 전신 항생제 치료에 불응하는 폐렴 간균과 메티실린 내성 표피 포도상 구균에 각각 뇌실 내 겐타마이신과 반코마이신 투여를 통하여 뇌실염을 치료한 2례로서 이후에도 주요 합병증 등이 없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Nontyphoidal Salmonella Meningitis in an Immunocompetent Child

  • Moon, Hye Jeong;Lee, Yoonha;Han, Mi Seo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1호
    • /
    • pp.54-60
    • /
    • 2022
  • 살모넬라 수막염은 소아청소년에서 흔하지 않은 병이나 심각한 신경학적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영아, 특히 3개월 미만의 연령과 악성 종양, 말라리아 감염,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면역 저하 상태는 살모넬라 수막염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에서는 고열과 구토, 의식 변화를 주소로 내원한 이전 특이병력 없던 건강한 8세 여아의 살모넬라 수막염 증례를 소개한다.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D군 살모넬라가 배양되었으며, 뇌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정상이었다. 면역 글로불린 수치와 림프구 수는 정상 범위였고,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에서 원발성 면역결핍 질환을 일으키는 유전자 변이는 검출되지 않았다. 3세대 세팔로스포린 투약으로 환자의 증상은 빠르게 호전되었으며 합병증이나 후유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비장티푸스 살모넬라균은 면역이 정상인 소아에서 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조기에 항생제를 투여하면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뇌척수액 미세순환을 통한 래트 내이 외림프의 가돌리늄 조영제 증강 특성 (Enhancement Characteristics of Gadolinium Contrast Agent in the Rat Inner Ear Perilymph through CSF microcirculation)

  • 김민정;이상열;이희중;이태관;장용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93-198
    • /
    • 2022
  • Contrast 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ing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 (GBCA) is a very useful in vivo technique to visualize the inner ear pathology including endolymphatic hydrops. Although systemic intravenous (IV) administration can visualize the perilymph space, the visualization was possible by indirect passage of contrast agent through blood-perilymph barrier. All animal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performed under anesthesia with 5% isoflurane. Lipopolysaccharide (LPS) was instilled into the left tympanic cavity through the tympanic membrane using a sterile 27gauge needle to induce hydrops model. Tucker-Davis Technologies system was used to measure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ABRs). For intracerebroven-tricular (ICV) administration, 25 µmol of GADOVIST (Bayer, Berlin, Germany) was used and diluted GADOVIST injection was 10 µl. MR imaging was acquired with a 9.4 Tesla MRI scanner. Transmit-receive volume coil with 40 mm inner diameter and 75 mm out diameter was used. ICV administration well demonstrated the strong enhancement along the cerebrospinal fluid (CSF) microcirculation pathway including CSF fluid in the subarachnoid space and CSF space of the inner ear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IV administration showed no contrast enhancement along the CSF microcirculation pathway and showed weak enhancement in the inner ear structures. In case of rat hydrops model, ICV administration showed that the reduced contrast enhancement in the perilymph space of the hydrops induced inner ear compared to the contrast enhancement in the perilymph space of the normal inner ear. New systemic ICV administration method provide contrast enhancement of GBCA in the inner ear through CSF microcirculation pathway.

Rapid Progression to Brainstem Encephalitis Caused by Enterovirus 71 Without Throat and Skin Lesions After a One-Day Fever

  • Kyung Min Kim;Soo Yeon Kim;Mi Kyoung Song;Ji Young Kim;Anna Cho;Ji Young Park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2호
    • /
    • pp.91-96
    • /
    • 2023
  • Enterovirus (EV) 71은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로부터 처음 분리된 이후로 주로 수족구병으로 나타났으며 소아에서 전형적인 피부 발진, 구강 병변 및 발열을 동반한다. 피부 발진은 수포성으로 손과 발에 영향을 미치고 수포가 없는 반구진 양상일 수도 있으며 특히 어린 소아 및 유아에서는 팔꿈치, 무릎 그리고 엉덩이를 침범할 수도 있다. EV 71 감염으로 인한 신경학적 합병증은 매우 드물지만 주로 뇌간 뇌염으로 나타난다. 대근육 운동 발달 지연 이외에 건강했던 30개월 된 남아가 발열, 혼수 증상으로 내원하였고 입원 후 무호흡 및 호흡 정지 증상이 동반되어 뇌척수액 검사 및 뇌 MRI, 뇌파검사를 하였다. 검사 결과 뇌간 뇌염 및 미만성 대뇌 기능 장애가 확인되었고 비인두도말 및 대변 검체에서 EV 71이 검출되었으며 유전자 검사에서 myoclonic epilepsy with ragged red fiber syndrome이 확인되었다. 저자들은 기저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인해 인후 및 피부 발진의 증상 없이 발열 하루 만에 빠르게 진행되는 EV 71 감염으로 인한 뇌간 뇌염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턱관절장애 관련 제질환의 임상적 접근 (Clinical Approach to Diseases Related to TMJ Disorder)

  • 이영준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8-31
    • /
    • 2022
  •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나는 급성 턱관절장애의 경우, 첫번째 유형은 주로 턱관절 디스크공간의 문제와 하악의 위치를 바로잡아주는 근육의 문제가 주 원인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만약 턱관절 디스크공간이 정상공간이라면 턱의 지그재그 움직임이나 턱관절잡음, 턱통증, 턱탈구, 그리고 개구장애 등이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근육의 문제 중에서는 턱관절 디스크원판을 양측에서 잡아주는 내외측 익돌근의 문제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내측 익돌근의 긴장 및 수축이 디스크 원판을 내측으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하악의 좌우 지그재그 움직임을 야기시키고 턱관절잡음이나 턱통증 및 개구장애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나머지는 저작에 관여하는 근육들이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제2형 급성 턱관절장애의 경우는 제1형 급성 턱관절장애가 한단계 더 발전하여 이와 연관된 근육이나 인대의 긴장수축이 오랜 시간 진행되어, 이들이 다시 상부 경추의 아탈구와 두개골의 비정상적 움직임에까지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게 되면 뇌에서 필요 충분한 뇌혈액공급이나 뇌척수액순환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형 만성 턱관절장애의 경우는 제2형 급성 턱관절장애가 좀 더 진행되면서 척추 및 근골격계의 구조변화, 교합 및 턱의 구조변화 그리고 안면구조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점점 진행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각종 척추 디스크질환, 관절질환을 비롯해서 두개천골계의 순환문제, 부정교합 및 턱 비대칭, 안면 비대칭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두번째 유형의 만성 턱관절장애는, 턱에서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그리고 과다한 부정적 자극들이 오랜 기간 누적되면서 턱에 분포된 C 섬유를 비롯한 3차신경의 가소성변화를 유발하면서 결국 중추신경계를 포함하여 전체신경계의 회로망에까지 파급되어 다양한 만성질환 또는 난치성 질환들이 양산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아마도 지금까지 서양의학에서 아직 밝혀내지 못한 대부분의 질병들이 여기에 포함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뇌척수액과 말초혈액 내 알츠하이머병의 생화학적 생체표지자 (Biochemical Biomarkers for Alzheimer's Disease in Cerebrospin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 이영민;최원정;박민선;김어수
    • 노인정신의학
    • /
    • 제16권1호
    • /
    • pp.17-23
    • /
    • 2012
  •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AD) is still obscure even to specialists. To improve the diagnostic accuracy, to find at-risk people as early as possible, to predict the efficacy or adverse reactions of pharmacotherapy on an individual basis, to attain more reliable results of clinical trials by recruiting better defined participants, to prove the disease-modifying ability of new candidate drugs, to establish prognosis-based therapeutic plans, and to do more, is now increasing the need for biomarkers for AD. Among AD-related biochemical markers, cerebrospinal beta-amyloid and tau have been paid the most attention since they are materials directly interfacing the brain interstitium and can be obtained through the lumbar puncture. Level of beta-amyloid is reduced whereas tau is increased in cerebrospinal fluid of AD patients relative to cognitively normal elderly people. Remarkably, such information has been found to help predict AD convers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Despite inconsistent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plasma beta-amyloid is thought to be increased before the disease onset, but show decreasing change as the disease progress. Regarding other peripheral biochemical markers, omics tools are being widely used not only to find useful biomarkers but also to generate novel hypotheses for AD pathogenesis and to lead new personalized future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