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 주민

검색결과 730건 처리시간 0.031초

사업추진배경에 따른 농촌지역정보화 운영전락 : 비교사례 연구 (How Promoter Background Works for Management Strategies of Cyber Rural Communities: A Comparative Case Study)

  • 박상혁;권진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권1호
    • /
    • pp.113-127
    • /
    • 2003
  • 본 연구는 농촌지역정보화 사업의 사례연구를 통해 '민간주도형' 농촌지역정보화 마을과 '정부주도형' 농촌지역정보화 마을간의 다른 추진주체의 운영상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민간주도형'인 경우, 자생력, 커뮤니티, 다양한 아이디어 창출 등의 측면에서 강점을 보인 반면, '정부주도형'인 경우, 확산속도, 사이트 운영, 하드웨어 보급 등의 측면에서 강점을 나타냈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농촌지역정보화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특히 지역정보화 사업을 추진하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에게 방향설정을 제시해 줄 것이다.

  • PDF

한 농촌지역 주민에서 혈당장애와 당뇨병에 영향을 주는 요인연구 (Factors Affecting on Impaired Blood Glucose and Diabetes in Residents of a Rural Area)

  • 이태용;고락현;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74-1385
    • /
    • 2008
  • 건강관리를 위한 지역사업으로 충남 금산군에서 실시된 조사에서 주민들의 혈당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주민 1,857명을 대상으로 2006년 1월과 7월에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공복시 혈당검사에서 전체적으로 정상군은 75.4%, 공복혈당장애군은 21.5%, 당뇨병군이 3.1%의 순이었고, 성별로는 남자에서 정상군 69.3%, 공복혈당장애군은 26.1%, 당뇨병군은 4.6%이었고, 여자는 각각 80.2%, 17.9%, 1.9%로 남자가 여자보다 공복혈당장애와 내당능장애가 높게 나타났다.

주민참여 의사결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상주시 낙양지구 사례를 대상으로- (A Study of the Decision-Making System of Residents Participation - focused on Example of Nakyang Residence Area in Sangju City -)

  • 원세용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3-30
    • /
    • 2011
  • Even though the existing urban residential district was obsolete and out of date in respects of physical environment, it is maintaining the function of dwelling. It ends up being regenerated as a viable urban residential district when improved the dwelling environ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been planning for the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for those areas applying for innovative ideas. But the government programs have often been troubled with people in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projects or making a plan. In this respect, two parties couldn't communicate freely about the problem of those areas. So, the problematic issues of the areas should be shared with local residents at the beginning of decision making and the process of workshop participating local residents will be needed for understanding the standpoint of the resident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residents participating workshop to figure out current problems of the urban residential district in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 of Nakyang residence area in Sangju city. Upon investigation residents participating workshop is very practical in making a plan, but needs positive participation by resident and a decision making system dealing with the information shared and the understanding gained by participants.

강북구 148 마을 건강주민운동사업의 성과와 한계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of the Health Community Organization Project in 148 Village, Gangbuk-gu)

  • 홍종원;박웅섭;김상아;김남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2권3호
    • /
    • pp.155-167
    • /
    • 2017
  • 이 연구는 서울시 강북구 건강마을 사업에 대한 문헌고찰과 운영주체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주민운동의 관점에서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고, 기존 건강증진 사업과의 차별성을 찾아 향후 건강증진 사업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빈곤층의 비율이 높고, 물리적 환경이 열악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건강친화 마을 만들기 사업은 주민조직화의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기존 건강증진사업과 다음과 같은 방법론적 차별성과 성과가 있었다. 첫째, 주민 스스로 지역보건의료 계획을 수립하고 주민의 성장을 통한 건강증진사업이 이루어졌다. 둘째, 기존 건강증진사업에서는 볼 수 없었던 주민활동가가 팀을 이루어 보건소 및 전문가, 주민 간 긴밀한 협력을 위해 매개자로 활동하였다. 셋째, 병의원이나 보건소가 아닌 대안적 주민참여 건강증진 공간인 건강카페를 통한 건강증진 구심점이 마련되어 다양한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었다. 넷째,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고려한 접근을 통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었다. 따라서 향후 건강친화 마을 만들기와 같은 지역사회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사업을 실시할 때 이 연구에서와 같은 방법론적 접근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다양한 사업주체들이 모인만큼 이해관계와 역할분담과 관련된 어려움이 발생한 점과 시범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사전에 명확히 예상하기 못해 갈등이 유발되었던 점 등의 한계가 있었던 만큼 향후 유사한 사업의 계획 시 이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점 등을 고려한 내용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주민건강운동의 관점에서 건강마을사업 확산 된다면 사회 전체에 건강증진 효과를 만들 것이다.

주민참여에 의한 마을가꾸기 사업에 따른 체험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관한 연구 -충주 목계 문화·역사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duct and Development of Experience Program according to Recreating Village Project by the Inhabitants Participation - Focused on the Chungju Mokge Village -)

  • 김승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5-42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onduct and development of the experience program according to recreating village project by the inhabitants participation on the culture and historical villages resources. The conduct and development of the experienced program according to recreating village project by the inhabitants participation is that should be developed step by step the experienced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enced program of the village is typical exchange program. secondly, the inhabitants participation is necessary on the experienced program, and the planning program that the improved residential quality life. thirdly, the experienced program will be represent to the attributes. lastly, the experienced program is the important that the village's leaders of all competences. Therefore, the experienced program must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residents and to develop of the better programs.

  • PDF

농공단지 대상지의 지형분석 모델링 적용기법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Methods for Terrain Modeling of Agricultural Industry Complex Area)

  • 연상호;민관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36-1241
    • /
    • 2009
  • 농공단지 조성사업은 농공단지 조성에 따른 기업유치로 지역주민의 농외소득증대를 도모하여 고용효과는 물론 수도권 및 대도시권 공업과밀지역 공장이전을 촉진하여 도시인의 농촌유입 유도 및 농촌거주자의 이촌을 억제하여 이 지역 주민의 소득제고와 제천지역 인구증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 농공 단지조성은 지형여건, 토지이용의 효율성, 공사비 등을 고려하여 활용 가능한 지구계를 최대한 확보토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의 지형공간분석을 위해서는 GIS 기반의 다양한 매핑과 공간 분석을 입체적으로 접근하여 현황을 상세히 파악하고 단지조성으로 인한 주변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홍수나 여러 자연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및 계획이 재검토 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상세한 지형분석 및 모델링을 통하여 사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그에 대응한 시스템을 강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이곳의 농공단지의 부지조성공사에 따른 우기 시에는 토사유출이 예상되므로, 우수 유출량 및 토사유출량에 따른 재해영향에 대한 저감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주민(住民) 참가(參加)에 의한 지역시설설계방법(地域施設設計方法)에 관한 연구 - 동경도(東京都) 세전곡구(世田谷區) 앵구구민(櫻丘區民)센터 설계과정을 통하여 - (A Study on User Participatory Design Method for Community Facilities - Through Sakuragaoka Community Center Design Process in Japan -)

  • 이을규;양관목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65-7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find a user participatory design method for the Sakuragaoka Community Center, Japan, through the following investigations: (1) Construction-Meeting Group (CMG) organized people of various social standings, who proposed the design terms desired for their community facilities, after indepth discussions and visiting similar facilities, (2) Aesthetic-Urban Committee (AUC) organized architectural professional advisors, who proposed facility size, functions, sky line, and accessibilities, (3) The administration office of Setagaya-Ku played an important role that included the organization of CMG and AUC and collected design concepts from participating user and professional advisors.

  • PDF

주민참여에 의한 마을가꾸기 사업의 도농교류 체험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매뉴얼 개발 -충주 목계 문화·역사마을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Manual according to the Urban-Rural Correlative Experience Programs of Recreating Village Project by the Inhabitants Participation -Focused on the Chungju Mokge Village-)

  • 김승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93-100
    • /
    • 2010
  • It is recommended that the villagers should organize their own council based on the resources which the village owns to manage the experience programs in the experience village, but it is criticized that there is no consideration about inhabitants abilities when the project is about to be constructed and the programs is developed.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develop the manual which is depending on urban-rural correlative experience programs conduct that is developed by the test to increase inhabitants abilities effectively. Therefore, the manual of the programs should be utilized as a early guide to help the village jump up to the standard level of program procedure, and the inhabitants should create ideas continually to develop better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manual rather depending on the manual. And for another, the manual should often be upgrad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s of the village.

슬로시티 상주의 운영방안과 주민참여 (Participatory Planning for Operating Slowcity Sangju)

  • 도경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4호
    • /
    • pp.903-93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etter ways for operating Slowcity Sangju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bout Participatory planning and empirical investigation. As a form of participatory planning, survey was conducted and examined the perception of residents toward importance of different sub-plans in operating Slowc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idents in Sangju have high level of preference on the economy related plans such as adding values to local products by applying the name of Slowcity to their resources. In addition, the more expectation and understanding to slowcity they have, the more interested in the participatory process and slowcity planning the residents become. Consequentl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t is required for successful participatory planning of Slowcity to building an association for operating Slowcity with local peoples.

주민주도형(住民主導型) 지구환경계획(地區環境計劃)(まちづくり)에 대한 한일비교연구(韓日比較硏究) -패턴랭귀지를 사용한 마을계획과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Japan on the Community Design by the People - About design process of rural community applied 'Pattern Language' -)

  • 최효승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23-40
    • /
    • 1999
  • In this paper, I made a comparative study of design process of Kuryong-Ri, Keumsong-Myun, Chechon City, Chungbuk Province which is one of rural communities in Korea and framing process of master plan for Hama street at Sirahama town on Wakayama Ken, famous hot-bath resort in Japan. Both processes have common points to adopt identical design philosophy and method called 'Pattern Language'. The aim of this study to provide valuable reference for applying at community design by the people in the future, though analyzing common and unlike points, laying stress on the process of user-participation rather than its final results. It is possible confirm Pattern Language is effective tool for carrying out community design by the peo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