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슬로시티 상주의 운영방안과 주민참여

Participatory Planning for Operating Slowcity Sangju

  • 도경록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 투고 : 2011.11.30
  • 심사 : 2011.12.12
  • 발행 : 2011.12.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etter ways for operating Slowcity Sangju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bout Participatory planning and empirical investigation. As a form of participatory planning, survey was conducted and examined the perception of residents toward importance of different sub-plans in operating Slowc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idents in Sangju have high level of preference on the economy related plans such as adding values to local products by applying the name of Slowcity to their resources. In addition, the more expectation and understanding to slowcity they have, the more interested in the participatory process and slowcity planning the residents become. Consequentl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t is required for successful participatory planning of Slowcity to building an association for operating Slowcity with local peopl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신겸, & 도경록. (2011). 슬로시티 관광개발의 실효성 평가-증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5(3), 287-306.
  2. 강신겸. (1999). 지역관광개발에서의 이해관계자 유형 및 협력과정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논총, 11, 45-59.
  3. 고승익, & 홍봉기. (2004). 관광개발에 있어서 지역주민의 참여에 관한 연구. 제주도연구, 26, 119-143
  4. 김사영. (1998). 지방자치단체의 관광개발 목표가치 설정에 관한 실증연구. 관광연구, 11, 5-30.
  5. 김사영. (2009). AHP기법을 활용한 지역관광개발 사업 특화계획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3(3), 7-22.
  6. 김성진. (2002). 생태관광진흥방안연구. 서울: 한국문화정책연구원.
  7. 김혜민. (2006). 농촌마을 새발 사업의 전개와 주민 참여에 관한 연구-산청 남사 전통테마 마을을 대상으로-. 농촌계획, 13(3), 1-11.
  8. 김혜천. (2000). 지역주민의 도시계획에 대한 인식수준과 주민참여의 차이성에 관한연구. 도시행정학보, 14(1), 3-18.
  9. 문성민. (2004). 산촌관광 계획과정에서의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이해관계자 역할 관계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16, 179-195.
  10. 박경문, 임은영, & 조영태. (2010). 한국형 슬로시티 인증 평가 항목 개발 연구. 국토계획, 45(3), 47-59.
  11. 박희정, 장희정, & 손대현. (2008). 지속가능한 관광으로서 슬로시티 가능성 연구.CERI Entertainment review, 10, 2-28.
  12. 송미령, & 성주인. (2004).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사업의 평가와 모형정립.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신용석, & 이태희. (2005). 지역축제 이해집단 분석틀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해집단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8(4), 295-312.
  14. 안종철, & 이성호. (2003). 관광단지개발에 있어서 주민 참여방안에 관한 연구-동 부산권 관광단지: 기장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도시연구보, 14, 89-98.
  15. 안종현. (2007). 주민참여에 의한 농촌관광마을 만들기: 장흥군 진목마을을 사례로.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2), 197-210.
  16. 윤화영, & 김동석. (2008). 산촌지역 생태관광개발에 대한 주민의식과 참여에 관한 연구-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지역과 강원도 원주시 황둔리 지역을 중심으 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3), 280-288.
  17. 이경희. (2004). 농촌관광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문화관광연구, 6(1), 333-343.
  18. 이연택. (2004). 국가관광정책에 있어서 지역주민 참여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143-160.
  19. 이정록, & 안종현. (2005). 그린투어리즘과 관광마을 만들기: 이론과 실제. 지리학논총, 45.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197-209.
  20. 장희정. (2007). 슬로시티 도입을 통한 대안 관광모색 CERI Entertainment review, 8, 89-110.
  21. 전상영, & 현근. (2011). '4대강 살리기 사업' 효과에 대한 시행지역 주민의 기대심리분석: 충주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5(1), 83-116.
  22. 조록환. (2003). 농촌관광사업 지역의 사회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조승현. (1999). 지역개발정책의 형성과 지역주민의 역할.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조영태, 최상희, 장인석, & 박경문. (2007). 한국형 슬로시티 추진전략. 토지연구, 24, 97-130.
  25. 홍성화. (2003).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정책에 대한 지역이해집단의 협력방안. 관광학연구, 27(2), 177-195.
  26. Alipour, H. (1996). Tourism Development within Planning Paradigms: The Case of Turkey. Tourism Managemnt, 17(5), 367-377.
  27. Bramwell, B., & Sharman, A. (1999). Collaboration in Local Tourism Policy- Making. Annals of Tourism Research, 26(2), 392-415. https://doi.org/10.1016/S0160-7383(98)00105-4
  28. Fallon, L. & Kriwoken, L. (2003). Community Involvement in Tourism Infrastructurethe case of the Strahan Visitor Centre. Tasmania. Tourism Management, 24(3), 289-308. https://doi.org/10.1016/S0261-5177(02)00072-9
  29. Jamal, T. (2011). Conflict in Natural Area Destinations: A Critique of Representation and "Interest" in Participatory Process, 6(3), 352-379.
  30. Jamal, T., & Get. D. (1995). Collaboration theory and community tourism planning. Annals of Tourism Research, 22(1), 186-204. https://doi.org/10.1016/0160-7383(94)00067-3
  31. Keogh, B. (1990). Public Participation in Community Tourism Planning. Annals of Tourism Research, 17(2), 449-465.
  32. Timothy, D. (1999). Participatory Planning: a view of tourism in Indonesia. Annals of Tourism Research, 26(2), 371-391. https://doi.org/10.1016/S0160-7383(98)00104-2
  33. Tosun, C. (2000). Limited to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Tourism Development Process in Developing Countries. Tourism management, 21(6), 613-633. https://doi.org/10.1016/S0261-5177(00)00009-1
  34. Yuksel, F., Bramwell, B., & Yuksel, A. (1999). Stakeholder Interviews and Tourism Planning at Pamukkale, Turkey. Tourism Management, 20(3), 351-360. https://doi.org/10.1016/S0261-5177(98)00117-4
  35. 상주시 홈페이지(www.sangju.go.kr/).
  36. 한국슬로시티본부(www.cittaslow.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