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관광마을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9초

농촌관광사업의 Stakeholders의 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ttributes of Three Stakeholders on the Outcome of the Village-based Rural Tourism Project in Korea)

  • 조경래;박덕병;정구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7-282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관광사업의 Stakeholders간의 관계 측면에서 참여주민의 특성이 개발기관과 주민조직의 특성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이 세 요소가 개발 성과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참여주민의 특성으로 사회와 참여주민에 대한 가치체계, 즉 사회자본의 요소들인 신뢰, 규범, 공동체의식 및 네트워크에의 참여를, 개발기관의 특성으로 지원내용과 지원만족도를, 그리고 주민주직의 특성으로 주민조직의 경영역량인 기획, 조직, 지도력, 통제를 측정항목으로 설정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45개 마을에서 227명의 농촌관광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사회자본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0.60으로 상당 부분의 영향을 미침을 설명하고 있었다. 반면 개발기관의 지원특성은 주민조직의 경영역량과 유의성 있는 상관이 있었으나 사업성과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사업의 효과가 외부지원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민 자체의 역량에 의해서 결정됨을 설명한다. 농촌관광사업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공동체의식, 주민과 개발기관간의 상호 신뢰감 조성 등 주민의식의 고양이 필요하며, 특히 주민조직체의 경영역량 함량을 위해 제도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6차산업 농어촌관광마을 선택속성 세분시장에 따른 체험프로그램 선호도 및 행동의도 연구 (A Segmentation of Rural Tourism Village's Selection Attributes which affects Experience Programs Preferences and Behavior Intention in 6th Industry)

  • 윤유식;양정임;장양례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3호
    • /
    • pp.755-775
    • /
    • 2013
  • 본 연구는 6차산업 박람회에 참관한 참관객을 대상으로 농촌체험관광 방문시 중요고려 요인에 대하여 시장세분화를 시도하고 이러한 세분화된 시장에 대하여 향후농촌관광 행동의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농촌체험마을 선택시 중요속성 6개 요인을 도출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군집분석결과 2개의 군집으로 세분화하여 만족도 및 선호체험프로그램, 체험관광행동의도, 및 체험관광개발 지지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시장 특성별 상품개발과 마케팅 전략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전북 「보고가는 마을」 운동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Bogoganeun Maeul」 Movement in Jellabuk-do)

  • 서만용;박수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2호
    • /
    • pp.341-38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5.16 군정기 1962년 전라북도가 추진한 "보고가는 마을"운동을 소개하고, 당시의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농촌지역개발 초기의 사업내용과 그 의미가 현재 마을 단위 농촌지역개발과 어떻게 연계되어 오고 있는지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60년대 잡지, 신문, 보고서 등의 관련 자료를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1962년도 "보고가는 마을"은 총 4,031개 마을이 조성되었으며, 각 부락의 지도자들은 "농촌의 등불"로 지정되었다. 당시 관련 자료의 재구성을 통해 "보고가는 마을"이 재건국민운동과 지역사회개발사업의 이론적, 행정적 틀 내에 있었고, 신생활운동과 생활개선사업이 실질적인 사업내용으로서, 해방이후 전라북도가 자체적으로 추진한 최초의 농촌지역개발사업이며, 관 주도로 추진된 전국의 모범부락 운동의 시발점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고가는 마을"은 시찰과 견학을 위한 일종의 관광부락, 전시부락이었고, '관광마을'이라는 단어가 신문에 등장한 최초의 사업이었다. 본 연구는 국가의 정책을 중심으로 한 지금까지의 농촌지역개발사에서 간과되어 온 미시적인 지방사를 발굴하였다는 측면에서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농촌관광마을 육성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Economic Impact Analysis of Rural Tourism Development Projects)

  • 손은호;박덕병;윤준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3호
    • /
    • pp.155-179
    • /
    • 2014
  • 산업연관분석은 현재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소득과 고용의 측면에서 지역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농촌관광마을 육성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은행(2011)에서 작성한 산업연관표(2009)를 이용하여 농촌관광의 생산, 소득, 고용, 부가가치 승수를 도출하였다. 산업연관모형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 2011년 농촌관광개발로 인한 직간접 및 유발 생산파급액은 1조 3,872억 원, 소득파급액은 2,872억 원, 부가가치파급액은 2,754억 원, 고용자는 41,127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식점업의 생산과 고용승수는 타 산업에 비하여 높은 반면, 소득 및 부가가치승수는 타 산업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식점업이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 고용창출효과가 높은 산업이라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린투어리즘 포텐셜 분석을 위한 관광마을 수준의 월별 방문객 추정 - 하회마을을 중심으로 - (Estimating Monthly Tourist Population for Analysis of Green Tourism Potential in Village Level - A Case Study of Hahoe Village -)

  • 고옥결;김대식;김용훈
    • 농촌계획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델을 이용하여 농촌관광마을의 월별 관광객을 추정하였다. 단일 마을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하회마을을 대상으로 구축하였다. 월별 시계열 자료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구성되었는데(2008년도 누락), 2000년에서 2007년까지 자료는 최적 모델의 도출에 나머지는 예측치의 검정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최적모델에 필요한 시계열 자료의 길이는 6년으로 나타났으며, 최적모델은 계절성을 고려한 SARIMA(2,1,1)(1,1,2)12로 나타났다. 최적 시계열 년수로 나타난 6년을 사용하여 2000-2005, 2001-2006, 그리고 2002-2007의 자료로부터 각각 SARIMA(2,1,1)(1,1,2)12를 도출하여, 차기년도들에 대한 예측결과를 비교한 결과, 높은 $R^2$값을 보였다.

마을 관광협의체가 농촌관광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Tourism Council on the Activation of Rural Tourism)

  • 이익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87-195
    • /
    • 2019
  • 본 연구는 관광협의체가 농촌관광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관광협의체가 구성되어 있는 농촌관광지와 관광협의체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농촌관광지를 대상으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비교지표는 관광객 수, 매출규모, 소득수준 등의 통계적 정량지표와 설문조사를 통한 만족도, 재방문, 구전의도의 정성지표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정량적 지표와 정성적 지표의 모든 항목에서 관광협의체가 구성되어 있는 농촌관광지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협의체를 구성하는 구성원이 행정기관, 전문가, 관광운영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의견과 독특한 축체 등 전략적 프로그램 등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해 관광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구성시 각 분야의 전문가 및 주민이 고루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농촌관광 방문객의 만족결정요인 (Satisfaction Decision Factors of Visitors of Rural Tourism)

  • 장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96-403
    • /
    • 2010
  • 본 연구는 농촌관광의 수요자인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문항을 도출하고, 도출된 만족도 측정문항을 이용하여 방문객의 전반적인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만족결정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양평군 소재 농촌체험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농촌관광 방문객의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문항은 24개 문항으로 도출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농촌관광 방문객 만족결정요인은 체험프로그램, 비용, 인솔자, 농촌성 등 4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농산촌 개발마을 사례별 마을개발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의식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on the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ccording to the Types of Rural and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 김종호;전준헌;이덕재;이광희;김성일;김통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714-72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산촌 체험관광마을별로 마을개발사업의 현황과 내용 그리고 이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식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산촌에 체험관광 도입 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농산촌 체험마을형태인 산촌개발마을, 녹색농촌체험마을, 농촌전통테마마을, 그리고 산촌개발사업이 완료된 마을에 농촌체험마을 사업이 들어간 혼합형 마을의 각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을개발사업의 결과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산촌개발마을인 객현리와 녹색농촌체험마을인 부래미마을은 여러 면에서 긍정적 반응을 보인데 반하여, 혼합형 마을인 신론 도원리는 마을개발사업으로 인한 변화기 마을에 거의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을개발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주민소득 향상이라는 측면과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체험마을의 형태에서 지역주민은 서비스 교육, 리더십 강의 등 교육의 필요성과 참여의향이 높게 나타났고, 녹색농촌체험마을 사업이 실시된 마을에서 마을의 발전방향으로 체험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