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53/jecd.2013.20.2.0341

A Review of 「Bogoganeun Maeul」 Movement in Jellabuk-do  

Seo, Man Yong (Yeoju-Gun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Park, Su Young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v.20, no.2, 2013 , pp. 341-38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Bogoganeun Maeul Movement' which was drived by Jellabuk-do province at 1962. and to ascertain historical meaning of its among history of Korea rural developmen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insanghwal movement',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Jaegungukmin movement'. It was found that 4,031 Maeul was designated a Bogaganeun Maeul at 1962. and leader of its village got an appointment as 'light of rural' by province administration.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 historical meaning that even if it was in theoretically and administrative frame. Bogaganeun Maeul was a self-regulating first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that was drived by Jeollabuk-do and starting point of model of 'Mobum Burak'. Besides Bogaganeun Maeul was tourism village for an inspection and learning by observation. and first article that 'Sightseeing village' word appeared initially in the newspaper.
Keywords
Bogoganeun Maeul; Sinsanghwal Movement;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Jaegungukmin Move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정기환. (2002). 우리나라 농촌개발정책의 방향. 농정연구, 2, 113-132.
2 정현주. (2004).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여성정책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조효원. (1960). 자치의식앙양의 구체적인 방안 : 지역사회개발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지방행정, 9, 82-86.
4 채우공. (2004). 재건국민운동의 사회교육활동의 재조명.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최병석. (1967). 지역사회개발을 논함. 농림과학 논문집, 147-160.
6 최재원. (1987). 지역사회개발의 사적 고찰 II. 지역사회개발논집, 9, 1-20.
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2). 농어촌 정주생활권 개발의 장기방향.
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9). 한국농정 50년사.
9 한봉석. (2006). 이승만정권 말기 지역사회개발사업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황병주. (2008).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허남혁. (2011). 한국 농촌개발 통치성의 계보 : 농촌진흥운동에서 1사1촌 운동까지.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5-198.
12 허은. (2003a). '5. 16'군정기 재건국민운동의 성격-'분단국가 국민운동'노선의 결합과 분화. 역사문제연구, 11. 11-51.
13 허은. (2003b). 국가의 농촌 통제 : 조세 징수에서 가족계획까지. 내일을 여는 역사, 23, 56-68.
14 허은. (2004). 1950년대 후반 지역사회개발사업과 미국의 한국 농촌사회 개편구상. 한국사학보, 17, 275-312.
15 홍문표 국회의원실. (2012. 10. 22). 2012년 산림청 산촌생태마을 운영실태 국정감사 보도자료.
16 경향신문. (1960. 9. 27). 국회, 신생활운동에 냉담.
17 경향신문. (1961. 3. 13). 신생활운동에 정부서도 적극 협조.
18 경향신문. (1962. 1. 30). 본지를 통한 공개건의에 최고회의 공개답변(3)
19 경향신문. (1962. 2. 22). 허실 4. 지도체계.
20 경향신문. (1962. 10. 30). 2만여명이 참가.
21 경향신문. (1963. 2. 12). 정치불감증과 지방민.
22 경향신문. (1963. 5. 8). 모범부락 겉치레만 번드르르.
23 경향신문. (1963. 5. 9). 모범부락육성책에 대한 재검토를 바란다.
24 동아일보. (1960. 9. 27). 학생들의 신생활운동과 성인사회의 반성.
25 동아일보. (1962. 8. 22). 이름부터, 보고가는 마을.
26 동아일보. (1963. 5. 18). 재건국민운동을 성공으로 이끄는 길.
27 동아일보. (1963. 6. 22). 호남기행 모범부락 中
28 동아일보. (1963. 6. 24). 호남기행 모범부락 下
29 동아일보. (1963. 8. 27), 현실(10), 보고가는 마을.
30 동아일보. (1966. 6. 9). 정치적인 관청, 농협.
31 매일경제. (1970. 10. 20). 의견 보고가는 마을.
32 새전북신문. (2010. 6. 3). 전북의 기억<39> 5.16 군사쿠데타와 전북.
33 자유신문. (1945. 11. 18). 國泰民安의 新生活運動 協會結成코 實踐의 炬火.
34 한국농어민신문. (2010. 5. 21). 2010년 국무총리실 전국 체험마을 운영실태 조사.
35 Kraybill, D & L. Lobao. (2001). County government survey : change and challenges for the new millennium Washington, D. C; National Association of Counties.
36 Van der Ploeg & Jan Douwe. (2000). Revitalizing agriculture : Farming economically as starting ground for rural development. Sociologia Ruralis, 40(4), 497-511.   DOI   ScienceOn
37 국가기록원. (www.archives.go.kr).
38 김건우. (2009). 1964년의 담론 지형. 대중서사연구, 22, 71-90.
39 코베이. (www.kobay.co.kr).
40 한국향토문화 전자대전. (www.grandculture.net)
41 강영은. (2012). 한국 농촌경관 변천 특성 연구: 1950년대 이후 농촌개발사업의 경관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김동규. (1964). 지역사회개발사업과 농촌개발문제. 연세경영연구 산업과 경영, 2(1), 241-245.
43 김영미. (2008). 마을의 근대화 경험과 새마을운동. 정신문화연구, 31(1), 271-299.
44 김영미. (2011). 그들의 새마을운동. 서울: 푸른역사.
45 김은경. (2009). 1950년대 신생활운동 연구. 여성과 역사, 11, 203-240.
46 김은경. (2007). 1950년대 가족론과 여성.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7 김익동. (1995). 새마을금고 조직형성의 역사적 배경과 발전과정. 사회과학과 정책 연구, 17(1), 33-63.
48 김일철. (1982). 지역사회연구의 동향과 그 과제. 한국사회학연구, 6, 1-12.
49 농정연구센터. (2002). 상향식 농촌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농림부 용역보고서.
50 농촌진흥청. (1978). 농촌지도사업 전개과정.
51 농촌진흥청. (2004). 농촌진흥 40년사.
52 구자인. (2006). 신활력사업의 추진현황과 개선과제: 정책집행현장으로부터의 문제 제기. 농정연구, 18, 167-185.
53 김강섭, 이상정. (2006). 농촌지역 개발정책의 변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2), 3-10.
54 농촌진흥청. (2006). 시군지방자치단체의 농촌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농촌개발정책.
55 대한지방행정협회. (1962). 각 도의 농촌건설 : 제주도편: 지역사회개발보조사업에 대하여. 내무행정, 11, 47-51.
56 박경. (2006). 농촌지역개발정책의 추진체계 개편방안. 농정연구, 18, 91-110.
57 박서호, 박창홍. (1993). 마을연구 방법론 정립에 관한 연구 : 마을의 개념정립 및 인식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5(2), 71-90.
58 박진도, 한도현. (1999). 새마을운동과 유신체제-박정희 정권의 농촌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역사비평, 여름, 41-43.
59 박섭, 이행. (1997). 근현대 한국의 국가와 농민 : 새마을운동의 정치사회적 조건. 한국정치학회보, 31(3), 47-67.
60 박정삼. (1963). 사회교육과 지역사회개발론. 서울 : 일지사.
61 보건사회부. (1987). 부녀행정 40년사.
62 식량농업연구소. (1960). <좌담>지역사회개발사업 현지지도원들의 생활상. 식량과 농업, 4(4), 125-126.
63 윤길병. (1958). 신진제국의 사회개발추세와 우리나라의 지역사회개발사업. 내무행정, 8, 220-230.
64 윤정란. (2010). 4월 혁명과 여성들의 참여 양상. 여성과 역사, 12, 69-110.
65 윤준상, 박은병. (2012). 효율적인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을 위한 주민만족요인분석-부여군 포괄보조금제도하에 지역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9(4), 773-798.
66 이석주, 윤상헌. (2009). 포괄보조금 제도하의 지역특화발전을 위한 '테마클러스터 형 지역개발방식'에 대한 소고. 농촌계획, 15(4), 51-57.
67 이환병. (2011). 모범 농민․마을의 성장과 농촌 새마을운동.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8 이해진. (2004).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지역개발사업. 농촌사회, 19(1), 7-47.
69 임석우. (1963). 전라북도 보고가는 마을 조성운동. 지방행정, 12, 165-173.
70 임종명. (2012). 해방공간과 신생활운동. 역사문제연구, 27. 219-265.
71 재건국민운동본부. (1963). 재건국민운동.
72 전라북도. (1962). 전북농촌발전사 : 보고가는 마을. 서울 : 보광사.
73 전재호. (2010). 5.16군사정부의 사회개혁정책 : 농어촌고리채정리사업과 재건국민 운동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4(2), 37-61.
74 정갑진. (2009). 1970년대 한국 새마을운동의 정책경험과 활용. 한국개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