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개발정책

Search Result 292, Processing Time 0.05 seconds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Resident Satisfaction Degree o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y Rural Territory (지역유형을 고려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평가 및 개선방안)

  • Choi, Young-Wan;Park, Jeong-Won;Yoon, Yong-Cheol;Kim, Young-Joo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5 no.6
    • /
    • pp.227-235
    • /
    • 2011
  • This research had selected current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with the representative meaning of rural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to analyze results of projects and various policies of the govern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resident life and to develop rural regions. For the analysis, this research had selected 2 districts of the case study in Gyeongnam-province and Jeonnam-province, respectively. In the result of the satisfaction analysis on the projects, it was considerably difficult to analyze satisfaction degree by using a clear distinction of each region type when promoting overall project. However,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bout residents'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and satisfaction degree in the process of project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rural and mountain areas). In general, two districts' residents of rural areas expressed relatively more negative feedbacks in process of the project compared to two district residents of mountain areas.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it is needed to have residents'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a restoration of village community spirit to help each other and to cooperate, fostering a desirable leader, establishing effective village regulations, transition into an open and inclusive attitude, promoting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realization of the operating method in order to have an amicable project process in the future.

Analysis of water circulation in agricultural watershed based on SWMM model (SWMM 모델 기반 농업유역 물순환 특성 분석)

  • Kim, Ha-Young;Nam, Won-Ho;Mun, Young-Sik;Kim, Jonggun;Shin,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95-195
    • /
    • 2021
  • 최근 기후변화, 과도한 지하수 이용 등으로 유역 환경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하천의 건천화, 지표유출량 증가, 증발산량 감소 등 물순환 구조가 왜곡되고 있다. 물순환 과정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모의 요소와 해석 기법도 다르다. 따라서 지속가능하고 건전화된 물순환을 위해 해당 유역의 물순환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유역은 논, 용·배수로, 농업용 저수지가 존재하며, 종합적인 농촌용수 물순환 해석을 위해 농촌용수 요소별 해석 기술 및 모듈 개발, 모델링 기법 등을 이용하여 농촌수자원의 체계적·과학적 해석 및 관리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흥업저수지를 대상으로 농촌용수의 물순환 과정을 정립하였으며, 저수지 시점부·말단부, 농업용 저수지, 저수지 유역으로 구분하여 물순환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순환 모의 요소로 저수지 수위, 유역 유출량, 수로부 공급량 및 배수량, 회귀수량 등으로 선정하였으며, 수로 네트워크 기반의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농촌용수 물순환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물순환 해석 기법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 모의 요소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SWMM 모형과 모니터링을 비교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농촌지역 특성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촌수자원의 안정적인 공급과 국가 청정 수자원 확보를 위한 통합 물관리 정책을 실현하는데 기초 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Estimating the Payment of Farmland Reverse Mortgage and Its Policy Considerations (농지 역모기지의 월지급금 추정 및 정책적 시사점)

  • Park, Won-Seok;Cho, Deok-Ho;Kim, Byung-Kyu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4
    • /
    • pp.548-560
    • /
    • 2010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payment of farmland reverse mortgage(FRM) and to explore policy considerations about the restructuring of rural area after the initiation of farmland reverse mortgage. Farmland reverse mortgage provides stable monthly income basement for the welfare of rural elderly by liquidating fixed asset such as farmlands which the elderly in rural area ow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M model based on Housing Equity Conversion Model, which is suggested by Rodda et al (2003), was built. Then, critical factors like farmland value rising rates and interest rates were elaborated, and affordable and proper monthly payment were estimated. 246,982 won, 419,374 won and 757,379 won is given to the borrower at age 65, 75 and 85 respectively with 100,000,000 won value farmland. Second, policy consideration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launch of FRM, and restructuring of rural area after launching FRM were discussed. Three policy considerations were proposed. First is about the integrated asset management system for rural elderly people. Second is about the reasonable settlement of corporate farmers system. And third is about the preparations for rural land use planning.

  • PDF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in Goryeong (고령군 관광자원의 이용 및 개발)

  • Choi, Jeong-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6
    • /
    • pp.680-697
    • /
    • 2008
  • Goryeong, the center of Daegaya's historic culture, has pushed tourism development utilizing Daegaya's historic cultural resource. The tourist's cognition level of Goryeong is very low and the tourists of Goryeong have been decreased compared with them of Gyeongbuk. However, Goryeong has a variety of cultural tourism resources and geographical proximity with Daegu, and the potential of it attracts the tourism market. This research examines the tourism demands and supplies of Goryeong and then recommend the improvemental aspect of tourism po1icy and the developmental aspect of tourism resource in Goryeong. Goryeong needs the tourism po1icy to cotstruct the system which supplies the useful tourism information to tourism organizations and firms and to create the sustainable tourism product innovation. The tourism development should be pushed in two ways: the revitalization of the developed tourism resources and the creation of tourism product.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Korea Agricultural Population Forecasting Model and long-term Prediction (농가인구예측 모형 개발 및 중장기 전망)

  • Han, Suk-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6
    • /
    • pp.3797-3806
    • /
    • 2015
  • A population decline in rural area i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household, with agricultural workers, as a result, affects the farming income. Agricultural population is a foundation of agriculture structure. Agricultural population decline influences agricultural policies to be implemented for the future and there is concern about slowdown in produ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the ability to use the model and conduct applied analyses of various kinds and to make rational agricultural policies by forecasting and analyzing agricultural population change.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some assumptions about the giving-up farming rate (GFR) of the key points on the agricultural population model or, After estimating only one equation with respect to the total population, and then distribute by sex and 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actions are different from the farmhouse, gender, age by estimating giving-up farming rate (GFR) equations each gender & age.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find that Farm Population changes of the simulation can be performed for a variety of agricultural policy in conjunction with existing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s as well.

정책알림 - 2014년 달라지는 양계정책 및 시행지침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6 no.2
    • /
    • pp.116-120
    • /
    • 2014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2014년도 농림축산식품사업시행지침설를 발표했다. 이 지침서는 총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및 산림청 소관 사업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제1권에는 농림축산식품분야 재정사업관리 기본규정에 대한 해설과 식량 원예 식품 산림분야 사업시행지침을 수록하였고, 제2권에는 농촌개발 축산 광특회계분야 사업시행지침을 상세하게 수록하였다. 이 지침서에 의문이 있을 때에는 가까운 시군구, 읍면동,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사무소, 농업기술센터, 농협 산림조합, 한국농어촌공사 지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지사에 문의하기 바란다. 사업시행지침의 2014년도 사업비는 사업추진과정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이 지침서의 내용은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www.mafra.go.kr ${\rightarrow}$ 농림축산식품사업시행지침서)에 게재되어 있으며, 개별적으로 지침서를 구입할 수도 있다.

IPA Analysis of Agricultural Climate Adaptation Policies (농업부문 기후변화 대응정책의 IPA분석)

  • Sang-ho Lee;Jae-ho Ho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30 no.4
    • /
    • pp.213-227
    • /
    • 2023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farm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feasibility of climate change awareness and adaptive measures in agriculture, utilizing paired sample t-test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farmers' views on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climate change issues, with specific factors standing out. The IPA analysis identified key issues requiring sustained attention, including climate change magnitude, extreme weather events, livestock damage scale, pest fluctuations, and variability in flowering periods. Additionally, the study revealed significant disparities in farm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feasibility of adaptive measures, except for specific items related to heat indices.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Rural Amenity (농촌어메니티 교원 연수 프로그램 효과 분석)

  • Hwang, Jeong-Im;Kim, Eun-Ja;Choi, Yoon-Ji;Rhee,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7-9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초 중등 교원들의 농업 농촌에 대한 가치 인식 및 학교 현장에서의 학생 지도력을 높이기 위해 교원들에게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이론과 체험 학습을 제공하는 '농촌어메니티 체험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농촌어메니티 개념 및 정책 이해', '농촌어메니티 현장 이해 및 체험', '농촌어메니티 수업 적용'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된 총 20시간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09. 7. 23. ~ 8. 13.까지 2박 3일씩 5차에 걸쳐 2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연수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교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비율이 56.9%로 남성(43.1%)에 비해 높았으며, 일반교사의 비율(53.3%)이 부장교사(26.9%)나 교장 교감 (19.8%)의 비율에 비해 높았다. 연령 분포에서는 50대가 35.2%로 가장 많고, 40대가 32.7%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경력이 20년 이상인 교원들이 67.2%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관 분포에서는 초등학교 교원들이 54.8%로 가장 많았으며,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이 각각 20.3%, 18.8%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역 분포에서는 중소도시에서 근무하는 교원들이 70.6%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농촌거주 경험이 있는 교원들이 64.8%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수 참여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한 인식 변화를 분석(Paired samples t-test)한 결과 참여 이후 '농업 농촌에 대한 관심 정도', '농업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농촌의 생활 정주, 관광 휴양 여건에 대한 인식',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이해도'가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중요도 인식'(5점 척도)에서는 환경자원, 자연자원, 역사자원, 경관자원, 시설자원, 경제활동자원, 공동체활동자원으로 분류된 37개의 세부자원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연수 참여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단, 환경자원 가운데 '수질'의 평균 점수는 사전 4.8671, 사후 4.8960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수 전반에 대해 만족하는 교원의 비율이 98.5%로 나타났으며, 연수 이후 농업 농촌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했다는 응답이 98.0%, 학생 지도력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95.0%, 연수에서 학습한 내용을 학생지도시 활용하겠다는 응답이 97.5%로 집계되어,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이 설계시 수립한 목적 달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Single-households Elderly Spatial Distribution an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for Rural Social Service Improvement (농촌 사회서비스 정책 지원을 위한 농촌 고령일인가구 분포와 대중교통 접근성의 관계 분석)

  • Park, Ro-Un;Park, Mee-Jeong;Shin, Min-Ji;Kim, Sang-Bum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6 no.2
    • /
    • pp.99-111
    • /
    • 2019
  • This paper aims to analysize the regional disparity of rural life service. In other words,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ingle-households elderly and servic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ru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high concentration of the single-households elderly in Gyeongsangbuk-do and Jeollanam-do, and the distribution of them shows a tendency to cluster locally. Second, the vulnerability area of public transportation are concentrated on the myeon area. Third, The above-average proportion of vulnerable single-households elderly in Gyeongsangbuk-do and Jeollanam-do are concentrated on the myeon area. This result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and high values are concentrated.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ural polices.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and Farmer(s Attitudes in England (영국의 환경농업장려지구(ESAs) 사업과 농민의 태도 연구)

  • 김기혁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2
    • /
    • pp.177-191
    • /
    • 1999
  • 본 연구는 영국의 환경농업장려지구(ESAs) 사업의 내용과 이에 대한 농민의 태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친환경농업정책의 내용과 한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경농업정책은 농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농민은 정해진 계약에 따라 영농을 하게 되면 일정한 보상금을 받는다. 특정지구에서만 실시하는 사업과 전지역에서 시행되는 사업이 있으며 동일사업에 대한 적용 기준과 보상금 등은 지역마다 상이히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환경농업정책은 ESAs 사업이다. 이는 농업으로 인해 환경이 민감하게 훼손될 수 있는 지구를 설정하여, 환경 농업을 장려하는 사업이다. 이에 참여함으로써 농민이 받는 장려금은 환경 친화적인 영농을 함으로서 예상되는 농민의 손실분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와 같은 환경농업정책에 대하여 영국의 농민들의 태도는 적극적이는 못하다. 경영규모가 적은 농민과 지정지구내에서 영농하는 농민들은 비교적 친환경 농업에 적극적이다. 대규모 농장의 경우 경제적 수익 향상을 농업의 주목적으로 생각하고 있어 환경농업정책의 참여에 소극적이다. 따라서 환경농업은 소규모 농장을 중심으로 국지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발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는 환경농업 정책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