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ng the Payment of Farmland Reverse Mortgage and Its Policy Considerations

농지 역모기지의 월지급금 추정 및 정책적 시사점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1.30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payment of farmland reverse mortgage(FRM) and to explore policy considerations about the restructuring of rural area after the initiation of farmland reverse mortgage. Farmland reverse mortgage provides stable monthly income basement for the welfare of rural elderly by liquidating fixed asset such as farmlands which the elderly in rural area ow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M model based on Housing Equity Conversion Model, which is suggested by Rodda et al (2003), was built. Then, critical factors like farmland value rising rates and interest rates were elaborated, and affordable and proper monthly payment were estimated. 246,982 won, 419,374 won and 757,379 won is given to the borrower at age 65, 75 and 85 respectively with 100,000,000 won value farmland. Second, policy consideration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launch of FRM, and restructuring of rural area after launching FRM were discussed. Three policy considerations were proposed. First is about the integrated asset management system for rural elderly people. Second is about the reasonable settlement of corporate farmers system. And third is about the preparations for rural land use planning.

이 논문은 농지 역모기지의 월지급금을 추정하고, 농지 역모기지 도입 이후 농촌지역 원활한 구조조정을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들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농지 역모기지는 농촌지역 고령자들에게 농지와 같은 고정자산을 담보로 안정적인 월소득 기반을 제공해 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Rodda et al.(2003)이 제안한 주택지분전환모형에 기초하여 농지 역모기지(FRM)모형을 개발하고, 농지가치 상승률, 이자율 등 모형에 들어가는 변수들을 예측하였으며, 이를 통해 생애 연지급금계획모형을 적용하여 적절한 월지급금을 추정했다. 이에 따라 농지가치가 1억 원일 때, 65세, 75세, 85세 고령자가 받는 월지급금은 각각 46,982원, 419,374원, 757,379원으로 추정되었다. 둘째로, 성공적인 농지 역모기지의 도입과 농촌지역 구조조정을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으로 다음 3가지를 제안했다. 첫째는 농촌 고령자를 위한 통합자산관리시스템을 개발해야 하고, 둘째는 기업농체제의 합리적인 정착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것, 셋째는 농촌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한 선제적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Keywords